학과소개 | INTRODUCTION | |
상담심리학과는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내면의 고민과 대인관계 갈등 등으로 심리적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간의 행복과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과 연구를 수행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및 현장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전공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본 학과는 1999년에 ‘기독교상담학과’로 설립되었고, 2005년에 ‘상담학과’, 2012년에 ‘상담심리학과’로 개명하면서 발전을 거듭해왔다. 2006년에 대학원 기독교교육학과가 ‘상담교육학과’로 개명하면서 석사과정을 본격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하였고, 2011년에 ‘상담심리학과’로 개명하였으며, 2016년에 박사과정을 개설하였다. 특히 2014~18년에 국가의 CK-II 사업 지원을 받으며 중독상담사 양성과정을 특성화 사업으로 운영하고 있다. 본 학과는 학생들에게 전문성 높은 이론 및 실무 교육을 제공하고, 진학 및 취업 역량 강화의 기회를 마련해주며, 건강하고 행복하게 학교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성심을 다해 지원하고 있다. |
교육목표 | EDUCATIONAL GOAL | |
○ MISSION – 세계를 향한 정직한 교양인 | ||
➠ 시민의식 – 폭넓은 교양과 수준 높은 상담자 윤리의식 함양
➠ 소통 – 촉진적 관계를 형성하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진행하는 역량 함양 |
||
○ VISION – 미래를 향한 창의적 지식인 | ||
➠ 창의성 – 지식∙기술∙경험을 바탕으로 내담자 문제를 이해하고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찾는 역량 함양
➠ 자기주도 – 심리∙상담 기법의 발전과 변화하는 사회수요에 부응하는 지속적인 자기계발 역량 함양 |
||
○ PASSION – 인류를 향한 실천적 봉사인 | ||
➠ 글로컬 – 다양한 문화심리를 이해하고 인류번영에 기여하는 글로컬 리더십 함양
➠ 나눔실천 – 상담자의 사회적 책무를 이행하고 봉사를 실천하는 역량 함양 |
학과인재상 | PERSON TO NEED | |
○ 인간의 행복과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경험을 겸비한 심리상담 전문가
○ 인간의 행복과 건강 증진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적용하는 학술/연구 전문가 ○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장실무 역량을 갖춘 휴먼서비스 전문가 |
운영지침 | GUIDE TO MANAGEMENT | |
○ 시민의식 강화
– 인성교육을 통한 교양 및 도덕성 강화, 상담자 윤리의식을 강조하는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 제공 ○ 소통 역량 함양 –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에 관한 지식 전달, 동기 및 선후배 관계 증진 기회 제공, 교수-학생 관계 강화 ○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 – 전문성 높은 수업 운영,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한 문제해결 역량 강화, 사례토의 및 전공실습 강화 ○ 자기주도적 자기계발 역량 함양 – 최신 경향을 반영한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학생 중심의 다양한 동아리 활동 장려 및 지원 ○ 글로컬 리더십 함양 – 어학 실력 강조, 어학 프로그램 기회 제공 및 연결, 다문화상담 역량 증진 ○ 봉사 실천역량 증진 – 이타적 봉사 강조, 다양한 국내외 지식봉사 및 해외봉사대 참여 기회 제공 ○ 인재상별 진로지도 – 심리상담 전문가: 자격증 취득 강조 및 스터디클럽 운영 – 학술/연구 전문가: 대학원 진학을 위해 어학 및 연구 역량 개발 기회 제공 – 휴먼서비스 전문가: 취업 동아리 운영, 다양한 취업 루트 개발 |
졸업학점 | CREDITS FOR GRADUATION | |||||||||||
|
교육과정 로드맵 | ROAD MAP | |
학기 | 교과목 | 학점 | 심리상담 전문가 모델 | 학술/연구
전문가 모델 |
휴먼서비스 전문가 모델 | 교과목 관련 자격증 | |||
아동청소년
상담사 |
중독
상담사 |
전문
상담교사 |
|||||||
전공
이해 과정 |
1-1 | 심리학개론 | 3(3) | ○ | ○ | ○ | ○ | 임상 | |
상담학개론 | 3(3) | ○ | ○ | ○ | |||||
발달심리학 | 3(3) | ○ | ○ | ○ | 정신, 청소년, 지도 | ||||
1-2 | 상담면접론 | 3(3) | ○ | ○ | ○ | ||||
생리심리학 | 3(3) | ○ | ○ | 정신 | |||||
학습심리학 | 3(3) | ○ | ○ | 정신, 청소년, 지도 | |||||
기초
역량 확보 과정 |
2-1 | 상담의 이론과 실제 | 3(3) | ○ | ○ | ○ | ○ | ○ | 임상, 청소년, 지도, 전문 |
아동상담 | 3(3) | ○ | 정신, 미술, 지도 | ||||||
미술치료 | 2(2) | ○ | 미술 | ||||||
사회심리학 | 3(3) | ○ | ○ | 정신, 지도 | |||||
인간관계 심리학 | 3(3) | ○ | ○ | ○ | |||||
산업 및 조직 심리학 | 3(3) | ○ | |||||||
2-2 | 집단상담 | 3(3) | ○ | ○ | ○ | ○ | ○ | 정신, 청소년, 지도, 전문 | |
청소년상담 | 3(3) | ○ | 지도 | ||||||
중독상담 | 3(3) | ○ | 중독 | ||||||
놀이치료 | 2(2) | ○ | 미술 | ||||||
코칭심리학 | 3(3) | ○ | ○ | ||||||
이상심리학 | 3(3) | ○ | ○ | 정신, 임상, 지도 | |||||
소비자 및 광고 심리학 | 2(2) | ○ | ○ | ||||||
진로
역량 고도화 과정 |
3-1 | 상담윤리 | 2(2) | ○ | ○ | ○ | 전문 | ||
진로상담 | 2(2) | ○ | ○ | 직업, 지도, 전문 | |||||
특수아상담 | 3(3) | ○ | ○ | 정신 | |||||
심리검사 | 3(3) | ○ | ○ | ○ | ○ | ○ | 정신,임상,청소년,지도,전문 | ||
임상심리학 | 3(3) | ○ | ○ | 정신, 임상, 지도 | |||||
건강심리학 | 3(3) | ○ | ○ | 정신, 지도 | |||||
범죄 및 법정 심리학 | P(2) | ○ | ○ | 정신 | |||||
3-2 | 가족상담 | P(2) | ○ | ○ | ○ | 정신, 지도, 전문 | |||
학교상담 | 2(2) | ○ | |||||||
직업상담 | 2(2) | ○ | 직업 | ||||||
드라마치료 | 3(3) | ○ | |||||||
성격심리학 | 3(3) | ○ | ○ | ○ | 정신, 지도 | ||||
심리통계 | 3(3) | ○ | ○ | ○ | |||||
심리학 현장실습 I | 3(3) | ○ | ○ | ○ | 임상 | ||||
현장
실천 역량 강화 과정 |
4-1 | 연구방법론 | 3(3) | ○ | ○ | ○ | ○ | 정신, 지도, 전문 | |
가정사역 | 3(3) | ○ | ○ | ||||||
심리학 현장실습 II | 3(3) | ○ | ○ | ○ | 임상 | ||||
심리통계실습 | 2(4) | ○ | ○ | ○ | |||||
캡스톤디자인 | 2(4) | ○ | ○ | ||||||
휴먼서비스 I | 2(3) | ○ | |||||||
4-2 | 노인상담 | 3(3) | ○ | ○ | 지도 | ||||
다문화상담 | 3(3) | ○ | |||||||
성 심리 및 상담 | 3(3) | ○ | ○ | ○ | 정신 | ||||
독서치료 | 2(2) | ○ | ○ | ||||||
부모교육법 | 3(3) | ○ | ○ | ||||||
휴먼서비스 II | 2(3) | ○ |
# 약자: 정신(정신보건임상심리사),임상(임상심리사2급),직업(직업상담사2급), 청소년(청소년상담사3급),지도(상담심리지도사1급),
전문(전문상담사2급), 미술(미술심리상담사2급), 중독(중독상담전문가2급)
학년별교육과정 | ||
학년 | 학기 | 이수
구분 |
교과목 | 학점 | 시간 | 이수권장 | 비고 | |
이론 | 실습 | 복수전공 | ||||||
1 | 1 | 교필 | 채플 | P | ||||
1 | 교필 | 인성과 사회 | 2 | 2 | 핵심교양 | |||
1 | 교필 | 노작교육(1학기/2학기 택1) | 1 | 1 | 지정시간 | |||
1 | 교필 | 지역사회공헌(1학기/2학기 택1) | 1 | 1 | ||||
1 | 교필 | 글로컬사고와표현(1학기/2학기 택1) | 3 | 3 | ||||
1 | 교필 | 글로컬영어 I | 3 | 3 | 지정시간 | |||
1 | 교필 | MVP+교육(1학기/2학기 택1) | P | 캠프수업 | ||||
1 | 교필 | 흡연음주예방교육(1학기/2학기 택1) | P | 캠프수업 | ||||
1 | 교필 | 인생설계와 진로 I | 1 | 1 | 지정시간 | |||
1 | 교필 | 컴퓨팅 사고력 | 3 | 1 | 2 | 재학중 이수 | ||
1 | 교선 | 영역별 교양선택 I | 3 | 3 | ||||
1 | 전선 | 심리학개론 | 3 | 3 | ○ | |||
1 | 전선 | 상담학개론 | 3 | 3 | ||||
1 | 전선 | 발달심리학 | 3 | 3 | ○ | |||
1학기 소계 | 26 | 22 | 4 | |||||
2 | 교필 | 채플 | P | |||||
2 | 교필 | 종교와 인생 | 2 | 2 | 핵심교양 | |||
2 | 교필 | 노작교육(1학기/2학기 택1) | 1 | 1 | 지정시간 | |||
2 | 교필 | 지역사회공헌(1학기/2학기 택1) | 1 | 1 | ||||
2 | 교필 | 글로컬사고와표현(1학기/2학기 택1) | 3 | 3 | ||||
2 | 교필 | 글로컬영어 II | 3 | 3 | 지정시간 | |||
2 | 교선 | 영역별 교양선택 II | 3 | 3 | ||||
2 | 전선 | 상담면접론 | 3 | 3 | ○ | |||
2 | 전선 | 생리심리학 | 3 | 3 | ||||
2 | 전선 | 학습심리학 | 3 | 3 | ||||
2학기 소계 | 22 | 20 | 2 |
학년별교육과정 | ||
학년 | 학기 | 이수
구분 |
교과목 | 학점 | 시간 | 이수권장 | 비고 | |
이론 | 실습 | 복수전공 | ||||||
2 | 1 | 교필 | 채플 | P | ||||
1 | 교필 | 생활과 윤리 | 2 | 2 | 핵심교양 | |||
1 | 교선 | 영역별 교양선택 III | 3 | 3 | ||||
1 | 전선 | 상담의 이론과 실제 | 3 | 3 | ○ | |||
1 | 전선 | 아동상담 | 3 | 3 | ○ | |||
1 | 전선 | 미술치료 | 2 | 2 | ||||
1 | 전선 | 사회심리학 | 3 | 3 | ○ | |||
1 | 전선 | 인간관계 심리학 | 3 | 3 | ○ | |||
1 | 전선 | 산업 및 조직 심리학 | 3 | 2 | 1 | |||
1 | 교직 | 교육학개론 | 2 | 2 | ||||
1 | 교직 | 교육사회학 | 2 | 2 | ||||
1학기 소계 | 26 | 25 | 1 | |||||
2 | 교필 | 채플 | P | |||||
2 | 교필 | 역사와 문화 | 2 | 2 | 핵심교양 | |||
2 | 교필 | 인생설계와 진로 II | 1 | 1 | 지정시간 | |||
2 | 교선 | 영역별 교양선택 IV | 3 | 3 | ||||
2 | 전선 | 집단상담 | 3 | 3 | ○ | |||
2 | 전선 | 청소년상담 | 3 | 3 | ○ | |||
2 | 전선 | 중독상담 | 3 | 3 | ○ | |||
2 | 전선 | 놀이치료 | 2 | 2 | ||||
2 | 전선 | 코칭심리학 | 3 | 3 | ||||
2 | 전선 | 이상심리학 | 3 | 3 | ○ | |||
2 | 전선 | 소비자 및 광고 심리학 | 3 | 3 | ||||
2 | 교직 | 교육심리 | 2 | 2 | ||||
2 | 교직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2 | 2 | ||||
2학기 소계 | 30 | 30 |
학년별교육과정 | ||
학년 | 학기 | 이수
구분 |
교과목 | 학점 | 시간 | 이수권장 | 비고 | |
이론 | 실습 | 복수전공 | ||||||
3 | 1 | 교필 | 채플 | P | ||||
1 | 교필 | 인성교육 영역 | 3 | 3 | ||||
1 | 전선 | 상담윤리 | 3 | 3 | ○ | |||
1 | 전선 | 진로상담 | 3 | 3 | ○ | |||
1 | 전선 | 특수아상담 | 3 | 3 | ||||
1 | 전선 | 심리검사 | 3 | 3 | ○ | |||
1 | 전선 | 임상심리학 | 3 | 3 | ○ | |||
1 | 전선 | 건강심리학 | 3 | 3 | ||||
1 | 전선 | 범죄 및 법정 심리학 | 3 | 3 | ||||
1 | 교직 |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 2 | 2 | ||||
1 | 교직 | 특수아동의 이해 | 2 | 2 | ||||
1학기 소계 | 28 | 28 | ||||||
2 | 교필 | 채플 | P | |||||
2 | 전선 | 가족상담 | 3 | 3 | ○ | |||
2 | 전선 | 학교상담 | 3 | 3 | ||||
2 | 전선 | 직업상담 | 3 | 3 | ○ | |||
2 | 전선 | 드라마치료 | 2 | 2 | ||||
2 | 전선 | 성격심리학 | 3 | 3 | ○ | |||
2 | 전선 | 심리통계 | 3 | 3 | ||||
2 | 전선 | 심리학 현장실습 I | 3 | 1 | 2 | ○ | ||
2 | 교직 | 교육철학 및 교육사 | 2 | 2 | ||||
2 | 교직 | 교직실무 | 2 | 2 | ||||
2학기 소계 | 24 | 22 | 2 |
학년별교육과정 | ||
학년 | 학기 | 이수
구분 |
교과목 | 학점 | 시간 | 이수권장 | 비고 | |
이론 | 실습 | 복수전공 | ||||||
4 | 1 | 교필 | 채플 | P | ||||
1 | 전선 | 연구방법론 | 3 | 3 | ○ | |||
1 | 전선 | 가정사역 | 3 | 2 | 1 | |||
1 | 전선 | 심리학 현장실습 II | 3 | 1 | 2 | ○ | ||
1 | 전선 | 심리통계실습 | 2 | 2 | 2 | |||
1 | 전선 | 캡스톤디자인 | 2 | 2 | 2 | |||
1 | 전선 | 휴먼서비스 I | 2 | 1 | 2 | |||
1 | 교직 | 학교현장실습 | 2 | 2 | 4주 | |||
1학기 소계 | 17 | 11 | 11 | |||||
2 | 전선 | 노인상담 | 3 | 3 | ○ | |||
2 | 전선 | 다문화상담 | 3 | 3 | ||||
2 | 전선 | 성 심리 및 상담 | 3 | 3 | ○ | |||
2 | 전선 | 독서치료 | 2 | 2 | ||||
2 | 전선 | 부모교육법 | 3 | 3 | ||||
2 | 전선 | 휴먼서비스 II | P | 2 | ||||
2 | 교직 |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 2 | 2 | ||||
2 | 교직 | 교육봉사활동 | 2 | 2 | 60시간 | |||
2학기 소계 | 18 | 16 | 4 |
❑ 중독연계전공
건강특성화를 특화하고 있는 본 대학교의 교육목표에 따라 상담심리학과, 보건관리학과, 물리치료학과, 간호학과, 약학과가 연합하여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융합과 통합을 통해 미래사회에 필요한 건강과학분야의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고 ‘중독심리전공’과 ‘중독재활전공’을 개설하여 공동으로 운영한다.
[중독연계전공 교과목]
중독심리 전공 | 중독재활 전공 | ||||
분류 | 과목명 | 학점 | 과목명 | 학점 | |
기초
(12학점) |
필수
(6학점) |
심리학개론 | 3 | 심리학개론 | 3 |
생리심리학 | 3 | 생리심리학 | 3 | ||
선택
(6학점) |
상담학개론 | 3 | 상담학개론 | 3 | |
이상심리학 | 3 | 이상심리학 | 3 | ||
건강심리학 | 3 | 건강심리학 | 3 | ||
응용
(24학점) |
필수
(15학점) |
중독의 이해 | 3 | 중독약리학 | 3 |
중독상담 | 3 | 중독치료 및 재활 | 3 | ||
중독평가 | 3 | 중독평가 | 3 | ||
심리학현장실습 | 3 | 심리학현장실습 | 3 | ||
연구방법론 | 3 | 연구방법론 | 3 | ||
선택
(9학점) |
심리검사 | 3 | 심리검사 | 3 | |
집단상담 | 3 | 집단상담 | 3 | ||
가족상담 | 3 | 가족상담 | 3 | ||
임상심리학 | 3 | 임상심리학 | 3 |
참고) “중독의 이해, 중독상담, 중독평가, 중독약리학, 중독치료 및 재활”은 매 학기와 매 계절학기에 개설되며, 나머지 교과목은 학과 교과과정에 맞추어 각각 개설됨
교수진
학비내용 및 장학금
졸업 후 진로 | EMPLOYMENT | ||
학과인재상 | 관련 진로방향 | ||
인간의 행복과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경험을 겸비한 심리상담 전문가 | 전문상담교사, 아동청소년상담사,
중독상담사, 임상심리사, 직업상담사, 미술치료사 |
||
인간의 행복과 건강 증진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적용하는 학술/연구 전문가 | (대학원 진학 및 졸업 후)
심리학연구원, 상담전문가 |
||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장실무 역량을 갖춘 휴먼서비스 전문가 | 공무원, 공공기관 직원, EAP 분야 종사자,
행정사무 종사자, 서비스 산업 분야 종사자 |
관련 자격증 | CERTIFICATE | |
교사자격증: 전문상담교사 2급(교육부)
국가자격증:임상심리사 2급(보건복지부), 정신보건임상심리사 2급(보건복지부), 직업상담사 2급(고용노동부), 청소년상담사 3급(여성가족부) 민간자격증: 일반심리사(한국심리학회), 전문상담사 2급(한국상담학회), 중독상담전문가 2급(한국생산성본부), 상담심리지도사 1급(전국대학상담학과협의회), 미술심리상담사 2급(한국인성개발교육협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