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학과 학부생들, 연차학술대회에서 포스터발표로 주목 받아


지난 8월 20일부터 22일까지 그랜드힐튼 서울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15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에서 삼육대 상담심리학과 학생들이 학술발표로 큰 주목을 받았다.

한국심리학회는 산하 15개 분과학회들의 모학회로서 15,000여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매년 여름에 가장 규모가 큰 행사인 연차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작년에 이어 이번 연차학술대회에서도 대학생 포스터발표 세션이 마련되었는데, 전국에서 참여한 총 34팀 가운데 삼육대 상담심리학과 연구팀이 7팀으로 단일 학교 최다 발표라는 영예를 누렸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난 한 학기 동안 상담심리학과 교수들의 지도 아래 팀을 구성하여 연구를 설계하고 데이터를 조사 및 분석하느라 구슬땀을 흘렸다. 그 결과, 학부생으로서는 쉽지 않은 양질의 연구물을 7편이나 발표하여 학교와 학과의 위상을 드높였다.

이번에 연차학술대회에서 발표한 포스터논문의 제목과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다. ‘성인 초기 남녀의 정서조절양식과 성 인식 및 성 태도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강이슬, 김미연, 정다은, 조사랑, 최희수), ‘내현적 자기애가 음식중독에 미치는 영향: 섭식기대와 정서적 섭취의 매개효과’(신지영, 김보람), ‘성별에 따른 애정표현행동, 애정행동 중요도, 성적 자기주장 및 성 허용도 간의 관계’(황희원, 김현진, 송윤경, 이가연), ‘내현적 자기애가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고민정, 김선정. 조서지, 조인경), ‘섭식 길티플레져(Guilty Pleasure)가 운동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신지영, 나윤아, 임송이, 문선아, 김송이), ‘과민성 대장증후군과 대인 공격성 간의 관계: 대인 과민성의 매개효과’(박예준, 이두리, 윤희선, 김재희, 이미진), ‘사회적 음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갈등관리기술의 조절효과’(김근호, 김초롬, 민수경).

사회복지학과 정종화 교수 언론보도


실버아이tv 2015 한국복지경영학회 논문발표
방송일시: 2015.8.9

실버아이tv http://www.silver-itv.co.kr/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서비스 제도화 모색 토론회 개최

정종화 교수 삼육대 사회복지학과>
(한국장애인부모회가) 기존의 부모회 단독으로 수행했던 동료상담 교육을 전국에 5개 대학과 연계해서 이 교육을 시작했다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웰페어뉴스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2524
에이블뉴스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44&NewsCode=004420150721142436979317

양평군, ‘장애인 삶의 질 책임질게요’

이날 세미나 첫 번째 시간은 삼육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정종화 교수가 실태조사의 결과 및 제언을 중심으로 주제발표를 했다.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715000350&md=20150716003832_BL

생활체육학과 김은경 교수, 서울특별시장 표창 받아


삼육대 생활체육학과 김은경 교수는 지난 7월 17일 박원순 서울특별시장으로부터 표창장을 수여받았다.

김 교수는 서울특별시가 주최하는 장애인 무료해변캠프 운영 등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과 재활증진에 이바지한 공을 인정받아 이 표창을 받게 됐다.

김 교수는 해변캠프 기간 내 장애인과 가족들을 대상으로 수상 안전교육을 실시했으며, 삼육대 재학생으로 이루어진 봉사단과 함께 시설 설치와 철거 작업을 도와 장애인 해변캠프가 성공적으로 마치는데 일조했다.

남상용 삼육대 교수 연구팀, 다육식물 수출 활성화 연구 주목


▲ 남상용 연구 책임자(삼육대학 교수)가 다육식물을 식물공장과 수경재배 기술을 도입한 연구과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온라인 유통형 수출 모색
팬시제품형 수출 모델 개발

대중국수출다육식물실증과제사업단 남상용 삼육대학 교수 연구팀은 ‘다육식물의 대중국 수출을 위한 사업모델 개발’ 실증 연구개발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중략)

남상용 연구 책임자는 “다육식물은 좁은 공간에서 최소 관리로 재배 가능해 국내뿐 전 세계적으로 시장이 팽창하는 화훼분야다”라면서 “우리 연구팀은 소비확대 제품 개발과 함께 다육식물을 식물공장과 수경재배를 접목한 기술적 제어로 균일하면서 조기에 대량 생산하는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한국농어민신문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780

영미어문학부 김용성 교수, 한국문학과종교학회 제12대 회장 선임


영미어문학부 김용성 교수가 한국문학과종교학회 제12대 회장에 선임됐다.
 
한국문학과종교학회는 7월 8일-9일 양일간 서강대에서 “젠더 이야기와 종교”를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중이며, 8일 오전 열린 정기총회에서 김용성 교수를 2년 임기의 신임회장으로 선출했다.

김 회장은 서강대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풀브라이트 스칼라(Fulbright Scholar)로 미국 듀크대학교(Duke University)에서 연구년을 마쳤다.

한국아메리카학회 편집이사와 편집위원, 글로벌기독교세계관학회 편집위원을 지냈으며, 한국문학과종교학회 총무이사를 거쳐 부회장과 편집위원장으로 일했다. 현재 RI KOREA 사회분과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1992년 창립된 한국문학과종교학회는 국내외 학계에서 “문학과 종교”에 관한 학제 간 연구의 기초를 다지는 학술토론의 장을 꾸준히 마련해 오고 있다. 현재 500여명의 회원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학술지 『문학과 종교』를 통해 그 성과를 매년 발표해 오고 있다.

김 회장은 “한국문학과종교학회가 종교적 관점에서의 문학과 문화읽기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모든 인문학 분야를 아우르는 활발한 연구와 역동적 학술활동을 선도하도록 학회차원의 연구 활성화 및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의지를 표명했다.

기사원문 바로가기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50709/72368838/1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7/08/2015070804348.html
서울신문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709029026
세계일보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709029026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7082136265&code=100401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4bcdd62726134306af1beabcadd1a2ea
문화일보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5070901072942000001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7/08/0200000000AKR20150708192100004.HTML?input=1195m
뉴스 1     http://news1.kr/articles/?2320239
jtbc 뉴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956723
경기일보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994704
제주일보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55137
일간스포츠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8201003
머니투데이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070813297417052&outlink=1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708000931&md=20150709003237_BL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49046
미디어팬 http://www.mediapen.com/news/articleView.html?idxno=82849
메트로신문 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5070800153
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917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3706

신지연 교수 저서, 2015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로 선정


삼육대 유아교육과 신지연 교수(삼육대학교 부속유치원 원장)의 저서 ‘열두 달 자연관찰 중심의 유아숲교육 프로그램’이 2015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로 선정됐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2014년부터 출판 및 국민 독서문화 증진을 위해 세종도서를 선정하고 있다. 이것은 종전에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한 ‘문광부 추천 우수학술도서’ 선정사업을 개칭한 것이다.

2015년에는 498개 출판사에서 3851종의 도서를 각 분야 전문가 76명의 위원이 심사해서 320종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책은 각각 1,000만원 이내로 구입하여 전국 공공도서관과 병영도서관에 배포된다.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목록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홈페이지(www.kpip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도서소개 >

열두 달 자연관찰 중심의 유아숲교육 프로그램

최근 숲과 자연에서 유아들을 교육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세계적인 추세가 되었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모든 생명체들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그러므로 참교육은 사랑의 관계 속에서 얻어지는 행복과 생명을 지향해야 한다. 그 행복과 생명은 모든 생물체들에 대한 생명 존중과 인간의 자존감에서 우러나오는 “섬김과 나눔”의 따뜻한 인성과 신체적 건강에 기초한다. “섬김과 나눔”의 인성과 신체적 건강은 전인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유아들이 숲과 자연 속에서 놀면서 발견하는 생명체들에 대한 궁금증을 교사와 함께 찾아보는 것만으로도 매우 즐겁고 건강하고 유익한 활동이 된다. 더 나아가 생명체들의 관찰을 통하여 모든 생명체들은 상생의 연결고리 속에서 서로를 위해 희생하며 특히 인간의 행복과 생명유지에 필수적 유익을 주기 위하여 존재한다는 생태학적 진실을 알게 된다. 유아들은 모든 생명체들과 그것들을 품어주는 숲과 자연이 너무도 감사한 존재임을 깨닫는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유아들은 모든 생물체에 대한 “생명존중의 가치”와 인간의 자존감과 섬김의 인성을 터득하게 된다. 그리고 유아들은 숲과 자연이 주는 유익한 영양분을 마음껏 누리며 건강해 진다. 이러한 이유로 이 숲교육프로그램은 “자연관찰(nature observation)”에 초점을 두었다.
 
이 책은 유아들의 눈높이에서 숲과 유아교육을 접목하여 실제적인 숲활동으로 풀어 설명하고 있으며 현장전문가들의 숲반과 숲의 날 운영을 바탕으로 책의 완성도를 높였다.

삼육보건대학 신임 총장에 박두한 삼육대 교수


박두한 삼육대 기초의약과학과 교수가 삼육보건대학 제18대 총장에 선임됐다. 임기는 오는 9월 1일부터 4년이다.

박 신임 총장은 연세대 화학과 학사, 카이스트 화학과에서 이학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한국화학연구소 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 박사 후 연수를 거쳤다. 대한화학회 종신회원, 미국화학회 정회원, 유기화학분과회 회원으로도 활동했다.

1993년부터는 삼육대 화학과 교수로 재직, 교무처장과 기획처장 등 학내 요직을 두루 맡았으며 2010년부터 기초의약과학과 학과장으로 지냈다.

박 신임 총장은 “전임 총장이 닦아놓은 토대를 이어받아 학교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할 것”이라며 “대학 구성원들이 자율 속에서 질서를 유지하며 자신의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48702

[인터뷰] 상담심리학과 서경현 교수

"데이트 폭력 처벌이 고작 벌금 8만 원?"

[한수진의 SBS 전망대] 대담 :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서경현 교수

출처: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042727&plink=ORI&cooper=NAVER

———————————————————————————————————

"밀당 못 참는…집착남을 조심하라"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출처: http://www.nocutnews.co.kr/news/4433888

■ 방 송 : FM 98.1 (18:00~20:00)
■ 방송일 : 2015년 6월 24일 (수) 오후 7시
■ 진 행 : 정관용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 출 연 : 서경현 교수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건축학과 정광호 교수, 서울특별시 공공건축가로 선정


건축학과 정광호 교수가 서울시 공공건축가로 선정되었다.

서울시 공공건축가제도는 세계적인 디자인시티를 목표로 하는 서울시가 공공건축물에 대한 창의적 디자인 도입을 위한 유능한 건축가를 발굴, 육성하기 위해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 2011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제도이다.

공공건축가의 주요업무는 공공 발주 건축물의 기획 및 설계참여, 설계업무에 대한 조정 및 자문, 재건축, 재개발, 뉴타운 사업의 수립 및 자문업무 등에 참여하여 건축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정교수는 이외에도 서울시 한옥위원, 경기도 공공건축가, 국방부 및 교육개발원 평가위원, 우정사업본부 및 한국자산관리공사 설계자문위원, 노원구 및 남양주시 건축위원으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정교수의 서울시 공공건축가 위촉기간은 201561일부터 2017531일까지 2년이다.

정종화 교수, 장애인의 ‘Social Care’와 ‘자립생활’ 실현

장애인의 ‘Social Care’와 ‘자립생활’ 실현
제도적 위험요인 탈출할 수 있도록 전문가·정책 움직여야

자립생활의 철학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구분하는 이분법적인 사고를 넘는데서 시작된다. 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그것이 장애가 되지 않는 사회 그것을 추구하는 것이다. 여기서부터 자립생활은 출발하고 있으며, Social Care의 목표도 이와 같은 것이다.

장애인이기 때문에 무엇을 해주어야 한다고 하는 생각보다 장애를 어떻게 하면 Social Care 서비스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인가를 먼저 생각하면, 장애를 가지고 있어도 장애가 되지 않는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장애를 문제로 보아왔고, 그 문제를 가진 장애인을 보호의 대상으로 여겨왔던 약자의 시선에서 탈피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중략)

에이블뉴스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6&NewsCode=000620150601093951690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