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삼육대 2021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 ‘4.38대 1’

보도자료

  • 수 신 : 언론사 교육담당 기자
  • 문 의 : 홍보팀장 박 순 봉 (02)3399-3807
    언론담당 : 하 홍 준 (02)3399-3810
  • 발 송 일 : 2020.1.11.  보도일자 : 즉시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소 : ( 01795 ) 서울시 노원구 화랑로 815
– 대표전화 : (02)3399-3810
– E-mail: hahj@syu.ac.kr

삼육대, 2021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 ‘4.38대 1’
아트앤디자인학과 15.30대 1…전체 최고 경쟁률

삼육대(총장 김일목)는 11일 2021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388명 모집에 1699명이 지원해 4.38대 1의 전체 경쟁률을 기록했다.

가군 일반전형은 265명 모집에 1222명이 지원해 4.61대 1, 다군 일반전형은 115명 모집에 429명이 지원해 3.73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모집단위(일반전형)는 가군 아트앤디자인학과로 23명 모집에 352명이 지원해 15.30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어 건축학과(4년제) 11.00대 1, 항공관광외국어학부 5.09대 1을 기록했다.

실기고사는 오는 17일 정시 가군 아트앤디자인학과를 시작으로, 가군 생활체육학과 19~20일, 다군 음악학과 31일 실시할 예정이다. 최초합격자는 가, 다군 모두 2월 4일 입학관리본부 홈페이지에서 발표한다. (끝)

[보도자료] 삼육대, 7일부터 2021 정시모집 원서접수

보도자료

  • 수 신 : 언론사 교육담당 기자
  • 문 의 : 홍보팀장 박 순 봉 (02)3399-3807
    언론담당 : 하 홍 준 (02)3399-3810
  • 발 송 일 : 2020.1.7.  보도일자 : 즉시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소 : ( 01795 ) 서울시 노원구 화랑로 815
– 대표전화 : (02)3399-3810
– E-mail: hahj@syu.ac.kr

삼육대, 7일부터 2021 정시모집 원서접수
수능 4개 영역 반영…탐구는 1과목만
지능정보융합학부·항공관광외국어학부 신설

삼육대(총장 김일목)는 7일부터 11일까지 2021학년도 정시모집 가, 다군 원서접수를 진학어플라이에서 실시한다.

모집인원은 총 324명으로, 지난해 279명에서 16.1% 증가했다. 모든 학과에서 수능위주 단일전형인 일반전형으로 학생을 모집해 대입전형 간소화 틀을 유지했다.

일반전형 일반학과(부)는 수능 100%를 반영해 신입생을 뽑는다. 생활체육학과는 수능 60%, 실기 40%로 선발한다. 음악학과와 아트앤디자인학과는 지난해까지 학생부(20%)를 반영했으나, 올해 정시모집부터 수능 20%와 실기 80%로 뽑는다.

수능성적은 국어·수학·영어·탐구(1과목) 등 4개 영역을 모두 반영한다. 탐구는 지난해 2과목 반영에서 올해 1과목으로 줄었다. 제2외국어 또는 한문으로도 대체 가능하다.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은 인문 및 예체능계열 학과에 지원할 경우 국어 35%, 수학 25%, 영어 20%, 탐구 20%, 자연계열은 국어 25%, 수학 35%, 영어 20%, 탐구 20%를 적용한다.

영어는 본교 기준 환산등급표에 따라 1등급 100점부터 9등급 0점(8등급 60점)까지 차등 적용한다. 전 학과(부)에서 한국사 지원자에게는 등급에 따라 총점에 최대 5점(1~3등급)까지 가산해준다.

삼육대는 문과와 이과의 구분 없이 교차지원이 가능하다. 다만 자연계열(간호학과, 건축학과(5년제), 동물생명자원학과, 물리치료학과, 보건관리학과, 식품영양학과, 지능정보융합학부, 컴퓨터공학부, 화학생명과학과, 환경디자인원예학과) 지원자 중 수학 ‘가’형 응시자는 취득점수의 10%를 수학영역 점수에 가산하여 수능성적을 산출한다.

신설 학과도 있다. 2021학년도부터 지능정보융합학부와 항공관광외국어학부 신입생을 모집한다. 지능정보융합학부는 인문사회계열인 경영정보학과와 공학계열인 IT융합공학과를 통합한 학부다. AI 중심의 공학적 전문 역량을 바탕으로 인문사회학적 소양과 경영적 통찰력을 갖춘 전문 인재를 양성한다. 이번 정시모집 가군에서 29명을 선발한다.

항공관광외국어학부는 기존 중국어학과와 일본어학과를 통합한 학부다. 외국어 능력과 동아시아 문화지식을 바탕으로 항공·관광 서비스 분야 전문성을 지닌 융합형 인재를 양성한다. 정시모집 가군에서 8명을 뽑는다. (끝.)

편입학 경쟁률 ‘7.09 대 1’

학사편입 물리치료학과 ‘51대 1’…최고 경쟁률 기록

삼육대는 5일 2021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248명 모집에 1759명이 지원해 7.09대 1의 전체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형별로는 일반편입은 162명 모집에 1194명이 지원해 7.37대 1, 학사편입은 23명 모집에 384명이 지원해 16.70대 1을 기록했다.

이 외에도 △RN/BSN 1.40대 1 △의료인력 및 유치원교사양성 6.27대 1 △농어촌 2.75대 1 △특성화고교 5.00대 1 등을 나타냈다.

모집단위별로는 물리치료학과와 간호학과 등 보건계열 학과 경쟁률이 높았다. 학사편입 물리치료학과가 1명 모집에 51명이 지원해 51.00대 1로 전체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학사편입 간호학과는 8명 모집에 238명이 지원해 29.75대 1로 뒤를 이었다. 일반편입에서는 간호학과 28.75대 1, 물리치료학과 21.33대 1로 역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지원자 서류제출기한은 오는 15일 오후 5시까지(당일 소인인정)다. 실기고사일은 생활체육학과 1월 19~20일, 음악학과, 아트앤디자인학과는 27일 예정이다. 면접고사는 27일 진행하며, 합격자 발표일은 2월 4일이다.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963278
미주중앙일보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8986108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1/01/06/2021010602426.html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10616147419264
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837
경기일보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2339032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59847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52082
스마트경제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443
위드인뉴스 http://www.withinnews.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155&item=&no=23811
아시아통신 http://www.newsasia.kr/detail.php?number=5766&thread=22r12
뉴스타운 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1257

[보도자료] 삼육대, 2021 편입학 경쟁률 ‘7.09 대 1’

보도자료

  • 수 신 : 언론사 교육담당 기자
  • 문 의 : 홍보팀장 박 순 봉 (02)3399-3807
    언론담당 : 하 홍 준 (02)3399-3810
  • 발 송 일 : 2020.1.6.  보도일자 : 즉시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소 : ( 01795 ) 서울시 노원구 화랑로 815
– 대표전화 : (02)3399-3810
– E-mail: hahj@syu.ac.kr

삼육대, 2021 편입학 경쟁률 ‘7.09대 1’
학사편입 물리치료학과 ‘51대 1’ 최고 경쟁률 기록

삼육대(총장 김일목)는 5일 2021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248명 모집에 1759명이 지원해 7.09대 1의 전체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형별로는 일반편입은 162명 모집에 1194명이 지원해 7.37대 1, 학사편입은 23명 모집에 384명이 지원해 16.70대 1을 기록했다.

이 외에도 △RN/BSN 1.40대 1 △의료인력 및 유치원교사양성 6.27대 1 △농어촌 2.75대 1 △특성화고교 5.00대 1 등을 나타냈다.

모집단위별로는 물리치료학과와 간호학과 등 보건계열 학과 경쟁률이 높았다. 학사편입 물리치료학과가 1명 모집에 51명이 지원해 51.00대 1로 전체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학사편입 간호학과는 8명 모집에 238명이 지원해 29.75대 1로 뒤를 이었다. 일반편입에서는 간호학과 28.75대 1, 물리치료학과 21.33대 1로 역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지원자 서류제출기한은 오는 15일 오후 5시까지(당일 소인인정)다. 실기고사일은 생활체육학과 1월 19~20일, 음악학과, 아트앤디자인학과는 27일 예정이다. 면접고사는 27일 진행하며, 합격자 발표일은 2월 4일이다. (끝.)

송태민 교수, ‘코로나 위험 예측 인공지능’ 개발

SNS 소셜 빅데이터 수집·분석해 위험신호 포착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우수사례 선정

삼육대 보건관리학과 송태민(사진) 교수가 SNS상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코로나19 위험요인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

송 교수는 인공지능 개발을 위해 지난해 1~6월 뉴스사이트, 블로그, 카페, SNS, 인터넷 게시판 등 237개 온라인 채널에서 언급된 코로나 관련 소셜 데이터 총 403만 2883건을 수집했다.

수집된 데이터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 등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통해 코로나19 감정(위험·안전), 대상, 감염경로, 관련 바이러스, 증상, 대처, 예방활동, 이슈, 산업 등 10개 주제로 분류했다.

이후 주요 키워드를 ‘단어빈도’와 ‘문서빈도’로 나눠 분석했다. 단어빈도는 한 문서에서 특정 키워드가 나타난 빈도를 집계하는 것으로, 그 키워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문서빈도는 전체 문서에서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문서의 수를 집계해, 얼마나 폭넓게 등장하는지 알 수 있다.

송 교수는 이 같은 소셜 빅데이터로 머신러닝 학습데이터를 생성하고, 모델링 과정을 거쳐 코로나 위험예측 인공지능을 개발했다.

이 인공지능은 온라인상에서 특정 키워드의 빈도와 증가율 등을 분석해 ‘잠재신호→약신호→강신호→강하지만 증가율이 약한신호’에 이르는 미래신호(Future Signal) 흐름을 포착할 수 있다. 가령 코로나 관련 키워드 중 ‘무증상’에 대한 약신호가 잡히면, 향후 관련 내용이 강신호와 같은 메가트렌드로 확산될 수 있기에 사전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송 교수는 “빅데이터 분석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활용해 사회적 문제를 예측하고, 현상에 대한 복잡한 연관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밝혀낼 수 있다”면서 “이 같은 인공지능 개발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코로나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위험요인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체계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0년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사업 우수사례로 선정돼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장 표창을 받았다.

※ 아래 영상은 지난 12월 16일 온라인으로 생중계된 ‘2020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성과보고회’에서 송 교수의 발표 내용이다.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963047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1/01/06/2021010601155.html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101061154595894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101061848524363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10609577489607
매일일보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783325
에듀동아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10106131623531903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59782
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805
스트레이트뉴스 http://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2266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51947
스마트경제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408
메트로신문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10106500110
한경잡앤조이 http://www.jobnjoy.com/portal/joy/life_view.jsp?nidx=446966&depth1=2&depth2=2&depth3=8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02639
위드인뉴스 http://www.withinnews.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155&item=&no=23798
핀포인트뉴스 https://cnews.pinpointnews.co.kr/view.php?ud=202101061815521672b45d942afb_45
메디컬투데이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411167
뉴스타운 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1152
보안뉴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93981&kind=
아시아통신 http://www.newsasia.kr/detail.php?number=5769&thread=22r12

정든 학교 떠나며 장학금 기부한 환디과 동문

바울관 플라워샵 ‘그린다’ 운영
“가르침과 기회 주신 교수님들께 감사”

바울관 지하 플라워샵 ‘그린다’를 운영해온 환경디자인원예학과 동문이 모교를 떠나며, 그간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싶다면서 ‘코로나 극복 장학기금’ 100만원을 기부했다.

조윤정(15학번, 사진) 동문은 2019년 2월 졸업 직후부터 2년간 그린다의 운영을 맡아왔다. 그린다는 환경디자인원예학과 졸업생들을 위한 일종의 창업 인큐베이팅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졸업자에게 2년 단위로 공간을 임대해 4년간 배운 이론을 현장실무에 적용하면서 창업 전 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지난 12월 31일부로 운영기간을 마치고 후임자에게 인수인계를 한 조 동문은 학교와 지도교수님께 감사한 마음에 어떻게 보답할 수 있을지 고민하다가, 교내에서 코로나19 장학기금을 모금한다는 소식을 듣고 기부를 결심하게 됐다.

조 동문은 그린다를 운영하며 이화여대 대학원에도 진학해 색채디자인을 전공했다. 최근 동대학원 박사과정 합격 후 입학을 앞두고 있는 그는 플라워샵 운영경험과 학부전공인 원예학, 석박사전공인 색채학 등을 접목해 개인 플라워샵을 운영하고, 교육자로 활동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지난 6년간 많은 가르침과 기회를 주신 교수님들 덕분에 발전하고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큰 금액은 아니지만, 이 장학금이 후배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코로나를 잘 극복해서 취업에도 모두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랍니다.”

[SBS] 생활체육학과 임지헌 교수, 매직테니스 소개

SBS <모닝와이드 3부>
어르신 생활체육백서 – 테니스 편
2021년 1월 5일(화) 7:35 방송
생활체육학과 임지헌 교수 출연

[내레이션]
건강한 100세 시대를 꿈꾸는 어르신들을 위한 어르신 생활체육백서. 어르신들을 위한 건강 프로젝트. 지금 시작합니다. 누구나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는 운동 매직테니스. 초보자인 성원 씨도 경기하는 모습이 꽤나 그럴 듯한데요.

[김성원/개그맨]
지금 어르신들과 매직테니스를 치고 있었는데요. 오늘 저희가 특별히 함께할 분을 모셔봤습니다.

[내레이션]
오늘 초대한 생활체육 지도자는 삼육대 생활체육학과 임지헌 교수입니다.

[김성원/개그맨]
매직 테니스 코트를 보니까 일반 테니스 코트랑 조금 다른 것 같은데 다른 점이 뭔가요?

[임지헌 교수]
매직테니스는 맞춤형 테니스인 만큼 움직임이 많지 않은 어르신들을 위해 일반 테니스코트의 4분의 1정도 크기를 사용하는데요. 코트가 작더라도 운동량이 많아서 부상의 염려가 있습니다. 그래서 워밍업을 꼭 충분히 해줘야 합니다.

(후략)

다시보기(유료) https://programs.sbs.co.kr/culture/morningwide/vod/65007/22000401072

[보도자료] 삼육대 송태민 교수, ‘코로나 위험 예측 인공지능’ 개발

보도자료

  • 수 신 : 언론사 교육담당 기자
  • 문 의 : 홍보팀장 박 순 봉 (02)3399-3807
    언론담당 : 하 홍 준 (02)3399-3810
  • 발 송 일 : 2020.1.6.  보도일자 : 즉시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소 : ( 01795 ) 서울시 노원구 화랑로 815
– 대표전화 : (02)3399-3810
– E-mail: hahj@syu.ac.kr

삼육대 송태민 교수, ‘코로나 위험 예측 인공지능’ 개발
SNS 소셜 빅데이터 수집·분석해 위험신호 포착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우수사례 선정

삼육대 보건관리학과 송태민 교수가 SNS상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코로나19 위험요인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

송 교수는 인공지능 개발을 위해 지난해 1~6월 뉴스사이트, 블로그, 카페, SNS, 인터넷 게시판 등 237개 온라인 채널에서 언급된 코로나 관련 소셜 데이터 총 403만 2883건을 수집했다.

수집된 데이터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 등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통해 코로나19 감정(위험·안전), 대상, 감염경로, 관련 바이러스, 증상, 대처, 예방활동, 이슈, 산업 등 10개 주제로 분류했다.

이후 주요 키워드를 ‘단어빈도’와 ‘문서빈도’로 나눠 분석했다. 단어빈도는 한 문서에서 특정 키워드가 나타난 빈도를 집계하는 것으로, 그 키워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문서빈도는 전체 문서에서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문서의 수를 집계해, 얼마나 폭넓게 등장하는지 알 수 있다.

송 교수는 이 같은 소셜 빅데이터로 머신러닝 학습데이터를 생성하고, 모델링 과정을 거쳐 코로나 위험예측 인공지능을 개발했다.

이 인공지능은 온라인상에서 특정 키워드의 빈도와 증가율 등을 분석해 ‘잠재신호→약신호→강신호→강하지만 증가율이 약한신호’에 이르는 미래신호(Future Signal) 흐름을 포착할 수 있다. 가령 코로나 관련 키워드 중 ‘무증상’에 대한 약신호가 잡히면, 향후 관련 내용이 강신호와 같은 메가트렌드로 확산될 수 있기에 사전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송 교수는 “빅데이터 분석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활용해 사회적 문제를 예측하고, 현상에 대한 복잡한 연관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밝혀낼 수 있다”면서 “이 같은 인공지능 개발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코로나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위험요인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체계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0년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사업 우수사례로 선정돼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장 표창을 받았다. (끝.)

컴퓨터메카트로닉스공학부, 국내 최대 ICT 공모전서 다수 입상

과기정통부 ‘한이음 공모전’ 참가…금상 2팀, 동상 1팀
‘드론·어플 활용한 위치 탐색 서비스’ 금상

▲ ‘2020 한이음 공모전’에서 금상을 받은 ‘우물‘s AD’ 팀이 수상작을 발표하고 있다.

삼육대 컴퓨터·메카트로닉스공학부 학생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한 ‘2020 한이음 공모전’에서 금상 2팀과 동상 1팀 등 다수의 입상 실적을 거뒀다.

한이음 공모전은 대학생(멘티)이 ICT기업전문가(멘토)와 팀을 이뤄 8개월간 현업 실무 기술이 반영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최종 결과물을 공모하여 우수작을 선정하는 전국 최대 규모의 ICT 공모전이다.

컴퓨터·메카트로닉스공학부는 재학생들의 실무 프로젝트 수행 역량 강화를 위해 매년 ‘한이음 멘토링’ 사업에 참여하도록 지도하고 있는데, 올해는 11개팀 33명의 학생이 참가했다.

이 중 우물‘s AD 팀(팀장 서혜지)은 ‘드론과 어플을 활용한 위치탐색 서비스’로 금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조요청을 하면, 사용자의 위치, 신고시간 등이 서버에 업로드 되고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드론을 출동시키는 서비스다. 드론에는 카메라모듈이 부착돼 있어 실시간으로 현장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위급상황에 대비해 LED, 사이렌, 서치라이트도 달려 있다.

서혜지(17) 팀장은 “일반적인 구조요청 상황은 물론 해상사고, 건물붕괴, 산사태 현장 등 인원과 구조자의 위치를 정확히 알기 힘들거나, 사람의 접근이 힘들어 구조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사용자의 위치탐색을 통한 구조’에 초점을 둔만큼, 범죄예방에도 활용이 가능성이 기대된다.

▲ ‘두유 노 로딩암’ 팀의 ‘IoT 디지털트윈을 이용한 교육용 로딩암 시뮬레이터’.

두유 노 로딩암 팀(팀장 나두민)은 ‘IoT 디지털트윈을 이용한 교육용 로딩암 시뮬레이터’로 금상(해양수산부장관상)을 받았다. 선박에 원유를 공급하는 파이프 설비인 로딩암(loading arm)을 안전하게 시뮬레이션해볼 수 있는 국내 최초의 로딩암 교육자료다.

이 팀은 조종법, 안전수칙, 하역절차 등을 시뮬레이터에 탑재하고, 실제 로딩암 조종기와 유사한 조종기를 제작했다. 또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해 가상현실에서 예습한 결과 값을 실제 현장의 목업(Mock-up·실물 크기 모형)에 그대로 전달하고, 시뮬레이션 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TWS 트윗스 팀(팀원 권지현 최수연)은 ‘소상공인을 위한 스마트창고’로 동상(한국정보산업연합회장상)을 수상했다. 소상공인은 제품구상부터 판매까지 많은 업무를 처리해야 하지만 자본과 인력이 매우 한정적이다. 이 시스템은 직관적인 웹 인터페이스와 다품종 소량 생산에 최적화된 입출고 머신을 적용하여 소상공인도 적은 인력으로 효율적인 창고관리가 가능하도록 했다.

한편 시상식은 지난 12월 4일 세종대에서 비대면으로 열린 ‘2020 ICT멘토링 엑스포’에서 진행됐다. 수상자들은 이날 작품 설명회에도 참가해 실무 역량을 입증하고, 본교의 위상을 높였다.

◇ 수상자 명단
▲금상 우물‘s AD
팀장 서혜지(이하 17), 팀원 김동혜 박다영 신예빈 권택준(19)

▲금상 두유 노 로딩암
팀장 나두민(이하 16), 팀원 윤민석 이현석 임유빈 주세환

▲동상 TWS 트윗스
팀원 권지현(이하 18) 최수연

음메~ 흰 소의 기운 받으소!

김성운 교수 회화작품, <어린이 조선일보> 신년호 전면 게재

▲ 눈 오는 고향 전원, 91×117, Acrylic on Canvas, 2013.

아트앤디자인학과 김성운 교수의 흰 소 그림 ‘눈 오는 고향 전원’이 <어린이 조선일보> 신년호 1면 전면에 걸쳐 게재됐다.

2021년 신축년(辛丑年), 흰 소의 해를 맞아 어린이들을 동심과 상상의 세계로 안내하는 회화작품이다. 편집 막바지까지 이중섭의 대표작 ‘흰 소’와 경합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는 “새해에는 우직하게 나아가는 흰 소의 기운을 받아 모든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기를 기원한다”고 기획의도를 설명했다.

서양화가인 김 교수에게 소는 대표적인 테마다. 무려 30년째 소 그림을 그려오고 있다. 소는 고향의식을 추억하는 상(像)으로서, 정신적으로 나날이 황폐해져가는 현대인의 고향의식을 증폭시키며, 인간의 순수한 감정으로 회귀하게 한다. 그의 작품은 한국미를 재조명해 전통문화 역량을 상승시킨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 교수의 소 그림은 미의회도서관에 영구 소장돼 있으며, 프랑스, 일본 등 유수 콜렉터들에게도 소장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김 교수는 “소는 채식동물로 인간을 위해 농사를 짓고, 짐과 수레를 끌며, 사람을 태워 이동시켜 주고, 결국 희생되는 헌신의 아이콘”이라며 “2021년은 이웃을 위해 소의 헌신을 닮는 한 해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지면보기 http://pdf.chosun.com/boypdf/202101/01/50.ST1.A0.C.A.0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