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뉴스룸] 김동건 교수 “동양하루살이, 빛에 반응… 생태적 유도 필요”
화학 방제 아닌 선제적 대응 제시동양하루살이의 대량 출몰로 시민 불편이 커지는 가운데, 김동건 교양교육원 교수 겸 환경생태연구소장의 연구가 현장 대응에 적용된 사례가 JTBC 르포를 통해 소개됐다. 해당 내용은 지난 5월 26일 JTBC 메인 뉴스 프로그램 ‘JTBC 뉴스룸’을 통해 방송됐다. (방송보기▷[르포] "간판 불도 못 켜" 습격 시작…올해 '팅커벨' 대번식 관측까지)보도는 ‘팅커벨’로 불리는 하루살이의 급격한 개체 수 증가와 이로 인한 시민 피해를 르포 형식으로 조명했다. 특히 경기 남양주 미사대교 인근에서는 김 교수가 주관한 조명 포집 실험이 함께 진행됐는데, 이는 연구 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된 것이다.해당 실험은 하루살이의 생태적 특성, 특히 빛에 대한 반응을 활용해 개체를 특정 지점으로 유도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김 교수는 인터뷰에서 “동양하루살이는 다양한 빛 중에서도 블루라이트 파장을 선호한다”며, “단순히 제거하기보다는 생태적 특성을 고려해 유도하는 방식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실제로 해당 포집장치 한 곳에서 최대 10만 마리 이상의 하루살이가 유입되는 성과가 확인됐다.김 교수는 “기후변화로 인해 동양하루살이의 번식 환경이 더욱 유리해지고 있다”며 “화학적 살충보다는 생태적 유도 방식을 통해 개체 수를 선제적으로 줄이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글 하홍준 hahj@syu.ac.krⓒ 삼육대학교 브랜드전략본부 커뮤니케이션팀 supr@syu.ac.kr
2025.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