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임용고사 특강(주성태)
삼육대 특강 내용 전문 반갑습니다. 주성태 라고 합니다. 어제 대구에서 특강을 하고 오늘 아침 올라왔습니다. 가을의 끝자락 삼육대 켐퍼스가 너무 아름답습니다. 내일 모래 11월 16일은 수능시험일입니다. 수능을 본지가 엊그제 같았는데 벌서 졸업을 준비해야하고 취업을 준비해야 합니다. 청년실업이 북한의 핵실험보다 더 절실한 시점입니다.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오늘 저는 두 가지 관점에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하나는 왜 교사가 되어야 하는지? 둘째는 교원임용고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입니다. 첫 째, 왜 교사가 되어야 하는가? 11월 26일 초등 임용, 12월 4일 중등임용일입니다. 여러분들은 그나마 임용시험을 치룰 수 있는 자격을 갖춘 것 입니다. 이런 자격을 갖추지 못한 학생들은 아예 응시조차 할 수가 없습니다. 이런 절호의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는 노량진, 부산의 서면, 대구의 중앙로에서 교원임용이나 공무원준비를 하는 고시생들을 무수히 보아 왔습니다. 백수와 백조들의 고통과 외로움을 옆에서 지켜보고 있습니다. 이는 경쟁이라기보다는 처절한 생존의 몸부림입니다. 여러분들의 선배들입니다, 그분들은 졸업 후 1년 ~2년 간 임용재수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분석한 바로는 그들은 재학시절에는 피부로 느끼지 못하다가 철저한 경쟁의 환경을 목격하게 된 것입니다. 이 시대 최고의 직업은 교직입니다. 현재 결혼정보회사 배우자 1순위가 교 원이라고 합니다. 왜 교직이 인기일까요? 주 5일제 근무가 실시되고 있습니 다. 교원은 여기다 방학 2개월이 있습니다. 이 기간동안 자기개발과 해외 연수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 할 수 있습니다. 여기다가 봄방학 1주일, 수학여행 갑니다. 교사들 자기돈 한 푼도 내지 않습니다. 공휴일 등 360일 가운데 205일(수업일수 : 198~220) 정도 근무를 하면 됩니다. 이런 직업이 있습니까? 그래서 우리나라 교원나라 라고 합니다. 삶의 질을 높이는데 교직을 따라올 직업은 없습니다. 서로 교사가 되려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36만명의 교원이 있습니다. 교원노조가합법화 된 후 6만 명의 전교조들이 이 나라를 좌지우지하고 있습니다. 교사 10년차 년 봉이 5천만원정도입니다. 교사가 되면 그 순간 2.5톤 한대분의 배우자감이 줄을 섭니다. 그 만큼 인기가 많다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약사며느리가 최고의 신부감이었습니다. 요즘 약사는 동네 슈퍼 주인입니다. 아침 9시 출근하여 밤 10까지 창구에 서서 박카스 팔고, 소화제 팝니다. 교사는 9시 출근하여 5시 칼 퇴근입니다. 이런 교직은 철저한 경쟁을 통하여 임용이 됩니다. 여러분들은 이 경쟁에서 이기셔야 합니다. 중등은 경쟁이 약 20대1의 경쟁을 보이고 있습니다. 11월 10일 마감한 결과입니다. 이는 지역별, 학과별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쟁은 우수인력들이 벌이는 대단한 질적경쟁임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초등학교는 작년 까지만 해도 지원자 전원이 합격을 하였습니다. 올해 2536명 줄어든 4049명으로 집계됐다. 그렇다 하더라도 경쟁률은 1.5대 1의 경쟁률입니다. 지금 교대생들은 연일 정부에 대하여 모집인원을 늘리라고 합니다. 여러분 말이 됩니까? 우리나라 전체가 혹독한 경쟁으로 직업을 쟁취하는데 교대만 예외였습니다. 철밥통이 아니라 금밥통입니다. 어제 대구 중앙로에서 대구교대 생들이 시위를 했습니다. 지난 토요일 부산교대 생들이 서면에서 시위를 했습니다. 저는 아직 중등임용후보자들이 데모하는 것 본적이 없습니다. 이 시대 최고의 경쟁은 지난 9월 선거관리위원회 공무원 경쟁입니다. 무려 1900:1 이었습니다. 중등임용 또한 20:1은 가이 살인적 경쟁입니다. 그런데 초등임용시험만 줄서기 해서 되겠습니까? 여러분! 초등교사도 게을리 하면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사범대를 졸업하거나, 비사범대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거나, 대학원을 졸업하는 경우입니다. 여러분들은 비사범대에서 교직을 이수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제가 보건데 반드시 사범대생이 유리하리란 보장은 없습니다. 본인의 노력과 실력에 따라 합격의 길은 얼마든지 열려 있습니다. 가능합니다. 교직을 이수하면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이 2급정교사 자격증을 수여합니다. 임용이 되면 일정기간이 지나고 연수 등을 받으면 1급 정교사가 되고 교감연수를 받게 되면 교감으로 이어 교장으로 승진을 합니다. 교직은 전문직이므로 신분상 보장을 받는 특정직 교육공무원입니다. 교사는 교장의 명이 아니라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학생을 지도합니다. 그만큼 자율성이 보장된다는 것입니다. 2008학년도부터는 현재의 1차 객관식, 2차 면접과 수업실기 시험에서 1차 객관식, 2차 주관식 논술형, 3차 면접 수업시연으로 더욱 세분화됩니다. 이점을 잘 파악하셔야 합니다. 나누어준 자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자신의 전공에 대한 대비도 철저히 하셔야 합니다. 둘 째 교육학 준비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현재 중등 임용교육학은 50문항이 출제 됩니다. (초등 60문항) 50문항 속에 14개 파트의 내용이 모두 출제되고 있습니다. 2. 지난 10년간 기출문제 철저 분석에 의한 교육학의 14장에 대한 전략을 소개하겠습니다. 1) 교육학원론 부분 ① 교육의 개념 ② 교육의 목적 ③교육관련 법-헌법 제31조, 초․중등교육법과 시행령, 평생교육법과 시행령, 특수교육법과 시행령 등 ④ 교육의 규범적 정의와 서술적 정의 구별 ⑤교육의 종류-평생교육, 열린교육, 전인교육, 대안교육, 특수교육, 영재교육, 노작교육, 학교교육, 생애교육, 21C 대비교육 등의 정리 ⑥사상가별 교육의 접근 ⑦ 가소성 문제 ⑧ 북한교육 ⑨ 교육의 3요소(4요소) ⑩ 단선제와 복선제 등에 중점을 두어 준비를 하여야 한다. 2)한국교육사 부분은 전반적 흐름, 시대별 교육의 중점 사항, 시대별 초등․중등․고등 수준의 학교 구분 및 관학(官學)과 사학(私學)의 구분과 특징과 시대별 교육사상가 정리가 되어야 한다. ①삼국시대 고구려의 태학(太學)과 경당(扃堂)으로 구분 ②신라시대 전반부의 화랑도 교육, 후반부의 국학 교육과 원효와 설총의 교육사상 정리 ③고려시대의 관학인 국자감, 사학인 12공도의 구분, 최충, 안향, 이색의 정리 ④조선시대 전반부의 성리학(性理學), 후반부의 실학(實學)사상과 그 관련 학자의 정리 ⑤1880년대 이후의 개화기 교육과 민족선각자들의 사립학교 ⑥1906년 이후의 일제 강점기의 교육 ⑦해방이후 미(美) 군정기의 교육과 현대 교육으로 이어지는 교육, 성리학과 실학의 비교․특징, 서당(書堂), 학당(學堂), 서원(書院)의 특징, 근대 개화기 교육의 내용, 일제강점기하의 교육의 비교 등이 중요하다. 3) 서양교육사는 시대별 흐름과 특징이 중요하다. ① 그리스 시대의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사상 ② 로마의 시대구분과 퀸틸리안의 사상 ③중세(中世) 교육의 특징과 교육기관, 대학교육과 세속(世俗)교육 중 시민교육의 발달, 도제(徒弟)교육, 칼대제의 교육사상의 정리 ④근대(近代)의 르네상스 교육과 종교개혁의 비교와 특징, 루터의 의무교육의 발전 등에 관심을 두어야 함 ⑤ 17C 실학 사상가 중 코메니우스와 로크 중심의 구분 ⑥ 18C 계몽주의의 시대적 흐름과 루소의 교육사상 ⑦ 신(新) 인문주의의 페스탈로찌, 헤르바르트 교육의 정리 4) 교육철학은 교육학의 이론부분의 중심에 있다. ① 교육철학의 4대 기능 ② 지식의 구분-방법적 지식과 명제적 지식 ③ 전통교육철학인 자연주의, 관념론, 실재론과 실용주의 ④미국의 4대 현대 철학인 진보주의-본질주의-항존주의-재건주의의 비교와 특징 ⑤20C 전반부의 분석철학과 실존주의 철학, 20C 후반의 포스트모더니즘, 현상학, 해석학 ⑥21C 비판철학, 낭만주의, 인간주의, 신(新)자유주의, 홀리스틱 교육에 대하여 집중 준비하여야 한다. 5) 교육과정은 특히, 7차 교육과정이 중요하다. ① 교육과정의 개념 ② 교육과정의 4대 구성요소:교육목표→교육내용의 선정→수업과정→평가 ③4대 교육과정인 교과중심, 경험중심, 학문중심, 인간중심 교육과정 ④ 잠재적 교육과정과 영(零) 교육과정에 대한 준비와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비교 ⑤Scope와 Sequence의 원리와 방법 ⑥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사항을 철저히 준비하여야 한다.(☆☆☆) 6) 교육사회학 ①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와 특징, 관련학자의 구별, 신(新)교육사회학의 내용을 충실히 준비하여야 한다. ②문화(文化)의 개념과 문화전개, 문화접변, 문화지체, 문화기대, 문화실조 현상 ③교육의 평등의 문제 - 허용적 평등, 보장적 평등, 과정의 평등, 결과의 평등 ④학교팽창에 관한 이론 - 학습욕구 상승이론, 지위경쟁이론, 기술․기능이론, 신(新)마르크스 이론의 구분 ⑤교육사회심리학 이론 - 귀인(歸仁)이론, 자성예언이론, 교사기대 결핍설 ⑥ 호프의 교육 선발 방식 ⑦ 사회화의 개념과 종류 ⑧ 청소년 일탈이론도 중점적으로 준비하여야 한다. 7) 교육심리학 부분 ①학습심리학인
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