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말씀
-
기도력
-
월
-
다른 날 기도력
8일/왕의 행렬- 1일 - 에덴의 통치자 아담과 하와
- 2일 - 상실한 통치권
- 3일 - 둘째 아담 그리스도
- 4일 - 이스라엘의 보이지 않는 왕
- 5일 - 하늘에 계신 우리의 통치자
- 6일 -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심
- 7일 - 강요당한 왕국
- 8일 - 왕의 행렬
- 9일 - 예루살렘의 왕
- 10일 - 영광의 왕
- 11일 - 온 세상을 다스리는 통치자
- 12일 - 하나님의 관용의 한도
- 13일 - 천국에 들어갈 자격
- 14일 - 아들의 신분
- 15일 - 양자된 아들과 딸
- 16일 - 속죄의 댓가
- 17일 - 아브라함과 그 자손
- 18일 - 하늘의 시민들
- 19일 - 충성심을 시험함
- 20일 - 하나님의 요구를 첫째로
- 21일 - 지상국가보다 위에
- 22일 - 순종으로 말미암는 축복
- 23일 - 하나님의 은혜의 청지기
- 24일 - 진리의 청지기
- 25일 - 힘의 청지기
- 26일 - 감화에 대한 청지기
- 27일 - 왕의 족속
- 28일 - 그리스도 나라에 참여함
왕의 행렬
주제성구
“시온의 딸아 크게 기뻐할지어다 예루살렘의 딸아 즐거이 부를 지어다 보라 네 왕이 네게 임하나니 그는 공의로우며 구원을 베풀며 겸손하여서 나귀를 타나니 나귀의 작은 것 곧 나귀 새끼니라.” 슥 9:9
그리스도께서 탄생하시기 오백 년 전에 선지자 스가랴는 이스라엘의 왕의 오심을 이와 같이 예언했었다. …그리스도께서는 왕의 입성에 대한 유대인의 풍습을 따르고 계셨다. …예수께서 나귀새끼를 타시자마자 승리의 함성이 하늘을 찌르는 듯했다. …군중들은 예수에게 만세를 불러 저희 왕 메시야로서 환영했다. 저들은 황제와 같은 승리의 행렬을 이룰 수는 없었으나 승리에 대한 자연의 상징인 늘어진 종려나무 가지를 꺾어 흔들면서 큰 소리로 호산나의 환호성을 울리었다. 예수께서는 그의 지상생애에서 과거에 이런 시위행렬을 허락하신 일이 없었다. 그는 이 결과를 환히 내다보셨다. 이것은 그에게 십자가를 초래할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신을 구세주로서 공공연하게 드러내는 것은 그의 목적하신 바였다. 그는 타락한 세상에 대한 그의 사명의 절정을 장식할 희생에 관심이 집중되기를 바라셨다. 이 세상에서 일찍이 이와 같은 승리의 행렬을 볼 일은 없었다. 그것은 세상의 유명한 정복자들의 행렬과는 같지 않았다. 왕의 용맹의 전리품들인 신음하는 포로들의 대열로 이 장면의 특색을 이루지 않았다. 그러나 구세주의 주위에는 죄 많은 인류를 위해 그의 사랑으로 이룩한 수고의 영광스러운 전리품들이 있었다. 예수로 말미암아 사단의 권세에서 구원을 받고 감사하여 하나님을 찬양하는 포로들이 있었다. 굳은 혀가 풀린 벙어리가 호산나를 불렀다. 그가 고치셨던 절름발이가 종려가지를 꺾어 흔들었다. 이 승리의 장면은 하나님께서 친히 명하신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