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기준] 교과목 정보는 입학년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교과목 정보는 교무처 학사지원팀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보건학개론(Introduction of Public Health)
보건 과학 전반에 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 기초과정으로서 건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건강관리와 관련된 모든 내용을 포괄적으로 학습한다. 건강의 개념, 역학, 보건통계, 질병예방 및 관리, 보건관리 분야 등에 대해 익히며 환경, 질병관리, 보건관리 분야 등 질병예방 및 보건교육 활동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체계적으로 배운다.
건강상담학(Health Counselling)
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 보건교육사 및 건강운동사(심폐재활운동치료사) 등에게 필요한 건강과 상담심리, 건강상담의 과정, 건강상담의 대화기법, 건강행동변화이론 등 관련 지식과 기술, 태도를 학습하여 효과적이고 적절한 상담능력을 배양한다.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
마음과 행동의 과학으로 정의되는 심리학의 연구들이 밝혀낸 마음과 행동에 관한 사실들이 무엇이며, 이를 설명하는 개념이나 이론들이 어떠한 것인지를 알고, 사람의 행동의 원인과 사람들 간의 차이, 대인관계를 포함한 사회상황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는 교과목이다. 또한, 과학적 심리학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다양한 연구법을 소개하며, 이러한 발견들이 인간 활동의 이해와 설명에 어떤 함축을 갖는지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노인보건학(erontological Health)
노인 인구의 증가는 의료비상승으로 인한 국가경제 뿐 아니라 개인과 가족 구성원의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와 건강 유지 및 적절한 삶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중재 수단을 학습함으로 국민보건향상 및 노인건강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의학용어(Medical Terminology)
병의원을 비롯한 보건의료기관에서 의무기록에 사용하는 의학용어를 공부함으로써 의무기록을 읽고 이해하며 통계작성, 질병수술 분류 등 내용분석 업무를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인체 해부구조, 생리현상 및 병리과정과 연관 지어 이해하도록 하고 질병 및 수술 관련 용어도 숙지시킴으로써 의학 관련 용어를 충분히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한다.
보건의료데이터 관리(Healthcare data management)
보건의료데이터를 수집, 분석, 활용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한다. 이를 위해 보건의료데이터 관리 개념, 데이터베이스 개념, 보건의료 데이터관리 기술,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활용 등에 대해 학습한다.
스트레스와 건강(Stress and Health)
최근 보건의료 분야의 혁명적인 변화는 몸과 마음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우리를 질병에 취약하게 만드는 스트레스에 대한 조명이다. 본 강좌는 스트레스와 건강, 그리고 인간에 관한 주목할 만한 개념과 지식을 사례들과 함께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강좌에서는 불투명한 스트레스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스트레스와 신체적 질환들의 관련성에 관해 살펴보며, 우울증을 비롯한 스트레스와 관련된 정신질환들을 개관하고, 우리 일상에 적용할 수 있는 스트레스 관리법과 일부 원칙들을 살펴본다.
디지털헬스케어(Digital Healthcare)
디지털 헬스케어 교과목은 보건 기술의 혁신적 발전과 이러한 발전이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함. 이 과목은 웨어러블 기술, 모바일 헬스 애플리케이션, 텔레헬스, 빅 데이터, 인공지능(AI)을 포함하여 보건 분야에 적용된 디지털 헬스케어의 다양한 측면을 다룸.
보건교육학(Health Education)
보건교육 대상자의 행동과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지속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보건교육의 이론적 습득을 통하여 개인 또는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효율적인 보건교육의 계획과 실행에 목표를 두고 있다. 건강문제와 인간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건강행동을 변화시키기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를 위해 보건교육의 기본 개념, 건강증진의 이해, 보건교육 이론, 지역사회/학교/산업장/보건의료기관 보건교육에 대해 배우며 질병예방 및 보건교육 활동을 수행하는 보건교육사의 역할에 대한 지식을 배운다.
보건사회학(Sociology of Heath)
보건사회학은 보건이나 의료문제의 사회적측면을 사회학적으로 해명해가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건강이나 질병을 둘러싼 사회적요인과 행정부정책에 관련된 문제 분석과 이론을 학습하므로 보건정책수립 및 의사결정의 기초능력을 배양한다. 국제보건학 (International Health)전 지구적 차원에서 일어나는 보건문제를 해결하여 인구와 환경의 건강을 증진하고 건강형평성 달성을 목적으로 하는 다학제적인 학문이다. 현재 불평등한 건상 상태를 나태내는 인구집단의 발굴하고 적절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 분석, 현황에 대한 정확하고 체계적인 이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효율적인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행정법총론(Public Administration Laws)
현대의 사회적 법치국가 아래서 행정법관계가 가지는 구조적 특질과 성격을 규명하여 행정법적 분쟁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합리적인 이해조정의 원리를 알고 적용하는 능력을 키운다. 특히 행정에 대한 법적 구속과 이를 담보하기 위한 여러 수단들을 공익과 사익의 균형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한다.
해부생리학(Anatomy & Physiology)
인체의 구조 및 기능을 과학적으로 학습하여 생명현상의 기전을 이해하며, 장기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질병의 발생기전을 이해시키고, 건강관리에 필요한 기본 지식을 습득한다. 인체의 골격구조, 근육구조, 신경구조, 내분비구조, 순환기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비뇨기계, 혈액 및 조혈기계와 같은 해부학적 측면과 영양과 에너지대사, 물질수송, 면역체계, 생체의 항상성 유지 등과 같은 생리학적인 측면을 습득시킴으로써 생명현상의 본체를 이해하도록 한다.
보건통계학(Biostatistics)
통계의 기초개념, 확률론, 확률분포, 변수와 척도 등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추정 및 가설검정, 자료의 정리 및 요약,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분산분석, 빈도분석, 시각화 등을 할 수 있는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한다. 건강수준과 관련된 보건지표에 대하여 이해하고 통계적 추정을 통하여 보건의료분야의 불확실한 사안에 대한 판단의 근거를 마련하는 등 통계학적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여 활용하도록 한다.
글로벌의료마케팅(Global Medical Marketing)
보건의료 소비의 세계화와 급속한 의료산업화의 변화 속에서 소통과 마케팅의 전략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본 강좌는 글로벌 사회의 보건의료서비스 마케팅의 개념과 전략을 개괄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좌에서는 보건의료서비스와 의료서비스마케팅에 대해 이해하고, STP (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전략, 마케팅믹스 등 주요 마케팅 지식을 학습하며, 글로벌 사회를 향한 의료마케팅 전략과 사례를 조망한다.
산업위생학(Industrial Hygiene)
산업보건 전공을 위한 필수 기초 교과로써 근로자 건강보호와 관리를 위해 알아두어야 할 내용을 파악한다. 유해요인의 종류, 직업성질환, 작업환경측정의 이해, 산업보건 허용 기준 등을 이해한다.
보건교육방법론(Health Education Methodology)
보건교육에 활용되는 방법과 매체 이용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보건교육방법을 이해하고, 교수-학습이론, 교수-학습과정, 보건교육계획, 보건교육방법의 유형, 보건교육전략, 보건교육매체 종류 및 활용, 보건교육자료 개발 방법 등에 대해 배운다. 이를 통해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대상과 특성, 교육환경을 고려한 보건교육방법 및 교육매체를 선정하고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모자보건 및 성교육(maternal childhood health & Sex Education)
책임 있는 성 생활에 대해서 교육 및 상담을 담당할 미래의 보건교육자들에게 필수적인 정보와 개념을 습득,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생식과 생리의 개요, 생식보건의 역사적 변화추이, 모자보건과 가족계획, 출산과 관련된 불임증, 인공임신중절, 각종 피임방법의 원리, 에이즈와 성병에 관한 학습함으로써 생애주기별 생식보건문제와 효과적인 예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특히 청소년의 성문제 예방을 위한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행복한 가정생활로 연장시킬 수 있는 적극적이고 책임 있는 성의 태도를 습득하게 한다.
산업보건학(Industrial Health Science)
사람들이 일하고 생활하는 곳에는 건강에 장해를 줄 수 있는 유해인자가 항상 존재한다. 산업위생(Occupational Hygiene)은 이러한 유해인자를 알아내고(recognition), 측정하고 평가(evaluation)하여 문제점이 있으면 관리(control)하는 과학적인 활동이다. 이 수업를 통해 산업위생, 산업보건학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한다.
병리학(Pathology)
병리학은 인체의 비정상적인 구조와 생리기능에 의해 초래되는 질병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질병을 인체의 각 기관계에 따라 분류하며 이들 각 질병에 대한 정의,원인,발병기전,경과,증상 및 징후, 진단, 예후, 합병증 등을 이해하도록 한다.
보건경제학(Health Economics)
보건의료시장의 빠른 변화 속에서 경제학적 관점과 지식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본 강좌는 경제학의 주요 원리와 개념을 학습하고, 보건의료 부문에 응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좌에서는 보건의료 서비스의 수요와 공급, 보건의료시장에서의 건강보험과 병원 및 제약산업의 역할과 특성 등을 이해한다. 또한, 보건의료사업의 경제성 평가 방법 즉, 한정된 자원의 추가적 배분과 형평성 있는 개입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전략을 살펴본다.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Health Program Development & Evaluation)
보건교육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실행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구체적으로는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기본 개념, 건강행위 이론, 행동 변화방법, 요구도 조사, 목적과 목표설정, 프로그램 설계에 대해 배워 보건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본 이론과 방법을 습득하고 프로그램 평가이론 및 방법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해 다양한 평가방법을 배운다.
보건행정학(Health Administration)
자연과학적 전문지식과 접근방법을 뛰어넘어 사회과학적 학문방법을 적용하여 보건행정 현상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다룬다. 보건행정의 개념 및 원리, 조직과 기능, 보건의료자원, 보건기획과 정책, 보건행정 관리기법, 지역사회 보건사업 등에 대해 학습한다.
조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조사방법론 강의를 통해 건강문제 해결에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기본적 방법을 배우고 조사방법의 실질적인 응용능력을 함양한다. 이를 위하여 보건 분야의 연구범위를 설정하고,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문헌탐색과 보건 분야의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보건의료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설계, 연구모형, 연구문제 설정, 자료수집, 표본설계, 설문지 작성 방법 및 연구윤리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보건조직과 리더십(IHealth Organization and Leadership)
전략적인 조직관리와 리더십은 보건조직 성공의 필요충분조건이다. 본 강좌는 조직학이 품고 있는 가치 있는 개념과 시야를 학습하며, 보건의료 부문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좌에서는 조직의 의미를 정의하고, 조직 안의 인간에 관해 학습하며, 조직의 목표와 구조, 의사결정과 소통, 조직의 성공을 위한 리더의 역량과 효과적인 관리 전략을 살펴본다.
작업환경측정관리(Working Environment Management)
작업환경측정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전문지식과 문제 해결능력을 겸비한 실무중심, 건강관리 전문가 양성하고 작업환경측정관리의 실제를 이해하고 측정개념과 원리를 파악하며, 이를 통해 작업환경측정 방법을 이론적으로 숙지하여 건강관리 사정 및 평가를 할 수 있는 전문지식을 배양한다. 근로자가 일하는 작업현장에는 건강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유해인자가 항상 존재한다. 작업환경측정관리는 이러한 유해인자를 측정, 평가하는 이론을 습득하고 관리하는 기법을 학습한다.
손해사정론(Working Environment Management)
손해사정론은 보험 청구의 기초적이고 복잡한 과정들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학습하는 과목임. 보험 정책, 위험 평가 및 손해 조정 절차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목표로 함. 학생들은 실제 사례를 통해 손해사정 전문가로서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게 됨.
보건교육 및 중독 실습(Health Education & Addiction Practice)
보건문제와 인간의 건강행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건강행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건강행위의 형성, 변용과 관련된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지역사회 보건사업을 위한 보건 교육적 요소를 파악하고 그 접근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각기 자기분야에서 보건 교육적 수단을 활용할 수 있는 기본원리와 기술을 습득한다.
보건사업관리학(Health Service Management)
국가의 사회경제발전에 따라 발생한 국가행정의 급부로서 보건행정과 관리에 대한 기본지식과 사회과학적 이해를 확립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이에 본 교과는 개인과 집단의 건강관리를 위한 보건사업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행정적인 구조와 절차를 이해하는 과목으로 보건의료체계에 관한 내용뿐만 아니라 보건사업과 관련된 조직, 재무, 자원연계방안 등 운영방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이를 위해 보건관리의 개념, 보건의료체계의 이해, 보건사업의 운영체계, 보건조직과 자원관리, 보건사업의 질 관리, 보건기획과 리더십 개발, 자원연계방법, 사례관리 등에 관한 개념 및 이론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지역사회 보건사업들의 실현에 필요한 행정적인 구조와 절차를 구상하는 것에 대해 배운다.
직업건강관리(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산업보건 분야 핵심 교과로서 작업장에서의 근로자 건강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여러 유해인자와 이에 의한 직업성 질환의 발병기전을 이해하고 사업장 안전유지와 근로자 건강증진 및 관리를 위한 전분 보건의료계획 수립과 운영을 실시할 수 있는 산업보건 전문가를 양성한다.
의료재무론(Healthcare Financial Management)
의료재무관리는 병원조직의 재무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금흐름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을 찾아 자금의 조달과 투자결정, 배당, 재무계획과 통제 등의 재무기능을 이해하고 재무계획 실행 통제의 과정을 다룬다. 특히 이 수업을 통해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재무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의료기관의 환경변화를 이해할 수 있으며, 병원의 수익원 확보 및 안정적 관리 방안을 중심으로 가치평가의 기본구조와 투자결정, 자본조달과 자본구조, 운전자본관리, 재무분석과 재무계획 등에 대한 지식 및 기술을 획득할 수 있다.
역학(Epidemiology)
인구집단의 건강, 질병발생 및 분포, 건강결정요인, 효과적인 예방법에 관한 기본지식을 학습한다. 아울러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분야에 필요로 하는 연구자료 분석방법의 기초이론과 실습을 배운다. 이를 위해 보건 분야에 응용되는 역학의 개념 및 범위, 그리고 질병의 발생과 분포를 기술하고, 이들 발생 빈도와 분포를 결정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역학적 연구 디자인들을 학습한다. 또한 역학 연구 자료의 종류, 수집 및 분류방법, 진단도구의 정확성, 인과적 연관성 등에 관해 학습한다.
정신보건(Mental Health)
마음의 안녕은 건강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며, 현대인의 사회적 웰빙과 건강증진을 위한 공중보건의 중요한 관심 사안이다. 본 강좌는 정신건강과 관련된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하여, 자신과 타인의 마음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를 모색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강좌에서는 정신건강 기초 이론과 생애주기에 따른 정신건강 특성을 살펴보고, 주요 정신장애의 핵심증상 및 진단기준에 관한 지식을 학습하며, 정신보건 중재 개발과 수행을 위한 전략을 살펴본다.
보건의사소통론(Health Communication)
의사소통에 관한 기초 이론을 습득하여 건강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대상별 의사소통방법 및 기술을 이해한다. 그리고 건강정보의 특성을 고려한 메시지 개발과 의사소통 경로에 관한 활용능력을 학습한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의 개념과 유형, 보건의사소통 이론, 보건의사소통 경로, 보건의사소통 형성전략, 의사소통 전략과 기술, 대중매체와 보건의사소통, 건강메시지 개발 및 캠페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등에 관한 개념 및 방법에 대해 배우며 보건정보 및 건강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다.
보건의료법규(Medical Laws)
보건의료 관련 직접 적용되고 있는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국민건강보험법, 암관리법, 개인정보보호법, 국민건강증진법, 지역보건법 등에 대해 다룬다. 이를 통해 보건행정을 전개함에 있어 업무수행에 필요한 법적 기초를 충분히 숙지하도록 한다.
병원인사관리(Quality Management in Healthcare)
병원인사관리 개념을 이해하고 질 관리 과정과 질 향상 도구를 이용하여 의료기관의 환자 안전 및 질 관리 활동을 이해하기 위한 지식을 습득한다. 이를 위해 의료의 질 개념, 병원인사관리 접근방법, 병원인사관리 도구, 병원인사관리 활동, 의료의 질 평가제도 등에 대해 학습한다.
병원인사관리(Quality Management in Healthcare)
병원인사관리 개념을 이해하고 질 관리 과정과 질 향상 도구를 이용하여 의료기관의 환자 안전 및 질 관리 활동을 이해하기 위한 지식을 습득한다. 이를 위해 의료의 질 개념, 병원인사관리 접근방법, 병원인사관리 도구, 병원인사관리 활동, 의료의 질 평가제도 등에 대해 학습한다.
환경과 건강(Environmental Health)
우리 주변의 환경요인으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생태계의 건전성을 보호하기 위하여 환경오염과 유해화학물질 등이 인체의 건강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평가하고 이를 예방 및 관리하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이를 위해 환경보건의 기본 개념, 생물학적/화학적/물리적 환경보건요인, 공기관리/식수/폐기물/작업환경관리 및 건강영향, 환경보건역학의 개념 등에 대해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