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552 보건학 (Introduction to Public Health)
보건학의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기 위한 개념・영역・이론・실천방법 등을 학습한다. 특히 보건관리・환경보건・산업보건・보건교육・역학보건인구 등의 영역에서의 이론과 적용방법 등을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2000548 보건통계학 (Biostatistics)
통계의 기초개념, 기술통계, 확률론, 확률분포, 추정 및 가설검정,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분산분석, 빈도분석 및 보건통계 등을 다룬다. 건강수준과 관련된 보건지표에 대하여 이해하고 통계적 추정을 통하여 불확실한 사안에 대한 판단의 근거를 마련하는 등 통계학적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여 활용하도록 한다.
2000530 보건교육학 (Health Education)
보건관련전문가을 위해 건강 및 보건행태와 관련된 보건교육 이론을 소개한다. 인간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심리학적인 요인들을 분석 및 연구를 통해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1285 조사방법론 (Health Recearch Methodology)
보건 분야의 연구를 계획하고,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배양한다. 이를 위하여 보건 분야의 연구범위를 설정하고,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문헌탐색과 보건 분야의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보건의료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주제를 선정하는 방법, 가설의 설정방법, 연구설계법, 연구계획서 작성방법, 설문지작성방법, 표본조사방법, 표본 자료의 선정법, 변수와 척도에 따른 통계기법의 선정방법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2000554 보건학특론 (Advanced Public Health)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의 공중 보건의 문제를 예방하고 인류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법론, 분야, 대책 등을 문제해결 중심의 학습을 통해 연구한다.
2000550 보건통계학특론 (Advanced Biostatistics)
보건 통계학 입문을 수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며, 보건학 분야 연구에서 얻어지는 자료의 구조를 바르게 이해하고, 자료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통계적 추론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본다.
2000537 보건연구방법특론 (Advanced Research Methodology in Public Health)
보건학연구에서 연구가설의 생성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의 방법론적 타당성을 어떻게 평가하는 지 설명한다. 개별 보건학 연구영역에서 사용하는 주요 연구방법론과 그 적용사례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도모한다.
2000978 역학특론 (Advanced Epidemiology)
개개 역학연구방법의 구체적 수행과정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비뚤림과 그 영향에 대해 학습한다. 아울러 각 역학연구에서 산출되는 관련성 지표의 계량적 특성을 소개한다.
2001945 임상실험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for Clinical Experiment)
인간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연구를 할 때의 윤리적인 측면부터 실험실계, 자료의 분석과 결과 및 논의의 기술방법 등을 최신 이슈와 함께 학습한다.
2000677 생리학특론 (Advanced Physiology)
인체 각 기관의 기능과 정상 상태의 내부 환경 유지에 관여하는 각종 기전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2000514 병리학특론 (Advanced Pathology)
최근의 질병과 연관된 연구 동향, 연구과제나 특별 주제 관한 내용을 발표하고 질의응답, 연구 전망에 대하여 주제 토론을 갖는다.
2001483 해부학특론 (Advanced Anatomy)
기능별 해부학과 의학용어 등과 연구 동향, 연구과제나 특별 주제 관한 내용을 발표하고 질의응답, 연구 전망에 대하여 주제 토론을 갖는다.
2001947 스트레스관리특론 (Advanced Stress Management)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 신경 및 행동학적인 이해를 토대로, 스트레스관련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이론을 학습하고 실습한다.
2001195 임상영양특론 (Advanced Clinical Nutrition)
질병에 따른 대사이상에 대해 이해하고 그에 맞는 식사를 이해한다.
2001951 보건사업특론 (Advanced Health Management)
보건사업, 보건교육사업, 건강증진사업 등에 관련된 실제적인 사례연구와 국제적인 사례연구, 그리고 보건사업의 개발과 평가에 대한 부분을 학습한다.
2000532 보건기획 및 정책특론 (Public Health Planning and Policy)
보건사업의 비전, 목표, 우선순위의 결정, 보건사업의 선전과 홍보, 실행방법, 그리고 평가방법 등을 학습한다. 뿐만 아니라 보건문제의 발견, 보건정책의 아젠다형성, 정책대안의 고안과 선택, 보건정책의 유형과 종류, 그리고 보건정책의 평가방법 등을 학습한다.
2001952 보건교육학특론 (Advanced Health Education)
보건교육학을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보건교육의 적용과 적용된 이론에 대한 평가, 연구방법, 결과의 평가 등을 학습한다.
2001953 보건교육프로그램특론 (Advanced Public Health Programming)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사례에 대한 분석과 해석, 사례별 프로그램의 개발 실습과 평가 등의 과정을 학습한다.
2001619 건강심리학특론 (Advanced Health Psycology)
건강 상담의 사례별 상담을 훈련하고 사례관리방법, 그리고 상담프로그램의 개발과 전개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2001954 건강상담이론 (Theory of Health Counseling)
상담기법 중 건강증진과 관련된 상담, 우울 및 정신장애와 관련된 상담, 사회적 문제 및 약물 오남용 등에 관련된 상담, 건강행동 개선을 위한 상담 방법을 학습한다.
2001955 약물오남용 (Advanced Intervention for Drug Abuse)
알코올, 담배, 마약 등 중독성 약물의 신경정신적 메카니즘과 물리적, 사회적 폐해를 학습하고, 효과적인 상담, 중재, 정책방법들을 학습한다.
2001956 유기유해물질론 (Advanced Harmful Organic Chemistry)
유기화학물의 지식을 습득하고, 인간과 생태게에 영양을 미치는 유기화학물에 대해 학습한다.
2001959 의료경영학 (Medical Business)
경영이론의 선택, 리더십의 형태를 연구하며 인력자원과 재정적인 책임 등을 포함한 보건의료기관의 기능과 관련된 동기이론과 인간행동 이론 등을 연구한다. 보건의료경영의 경향을 조사한다.
2000111 건강비용편익분석 (Cost and Benefit Analysis in Public Health)
이 과정은 보건의료분야에서 특히 중요한 의사결정론의 확률적 원리를 이해하고, 특히 베이즈 정리와 사후확률, 의사결정분석법, 시물레이션, 메타분석과 체계적 고찰, 임상지침, 의사결정나무분석법, 경제적 평가방법론 등의 다양한 근거중심의 의사결정방법론을 익히고 위험부담을 최소로 하는 최선의 전략을 선택할 수 있다.
2000540 보건의료정보학 (Public Health Informatics)
이 과정은 보건의료정보학의 기본개념, 용어, 각 분류와 영역별 기초 내용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 강의를 수강한 학생은 보건의료정보학의 정의와 역사를 설명할 수 있고, 보건의료정보학의 영역을 나눌 수 있으며, 각 영역별 주요 개념과 응용분야를 다룰 수 있다.
2000369 논문연구 1 (Advanced Research 1)
이 과정은 건강전문가인 학생들에게 건강전문교육 연구 분야에서의 자료를 해석하고 분석하는 원리를 이해시킨다. 여기에는 측정이론 자료의 도식적인 표현, 확률이론 그리고 자료해석에서 기술 그리고 추론 통계 등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좀더 비평적인 방법으로 원형의 연구 보고서를 읽을 수 있다.
2000370 논문연구 2 (Advanced Research 2)
이 과정에서는 연구방법론의 종류를 소개한다. 역사적인 연구와 사례연구, 관찰연구, 조사, 유사 실험 설계, 실험설계, 일반적인 논점 그리고 유효성, 타당성 등을 배운다.
2001960 보건세미나 (Health seminar)
최근의 연구동향, 연구과제나 개인별 특별 주제, 또는 마지막 학기에 수행되는 연구 논제에 관한 내용을 발표하고 질의 응답, 연구 전망에 대하여 주제 토론을 갖는다.
2001961 성장관리크리닉 II (Growth Managment Clinic II)
성장기아이들의 키성장과 장부와 각 기관들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성장요혈(成長要穴) 과정으로 성장원혈, 성장락혈, 성장극혈, 성장모혈, 성장유혈 등의 원리와 작용, 취혈법과 성장혈에 따른 부위별 성장혈관리법을 학습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성장정형운동(成長整形運動) 과정에서는 체간과 사지의 부조화를 성장정형운동을 통하여 성장체를 정형하는 원리와 작용에 대하여 이론과 실기를 학습하도록 한다.
2001480 해부생리학특론 (Clinical Human Anatomy)
인체보건의 가장 기본적인 인체해부학을 이해하며, 생애주기 및 질병과 운동 등의 생활 습관의 변화에 따른 인체구조와 생리학적 기능의 변화에 대하여 강의한다.
2000264 국제보건 (Global Health)
국제 보건은 세계 수준에서의 사람들의 건강 과제, 혹은 그에 관해 연구하는 공중위생, 역학, 의학, 간호학, 인류학, 개발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등의 복합적인 학문 영으로 국제보건의 기본 개념, 공적개발원조 및 사업 등을 학습한다.
2000977 역학 (Epidemiology)
보건분야에 응용되는 역학의 개념과 영역을 이해하도록 한다. 이를 기초로 질병발생과 이에 관련하는 요인간의 원인적 관련성을 역학적인 개념에서 획득하고 질병의 원인규명을 위한 연구 방법들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한다. 질병의 발생양상에 대하여 논리적 계량적 지식과 연구방법의 기술을 습득하여 전문 임상지도자로 임무를 수행할 때에 사회전체의 건강과 질병관리에 대한 합리적인 사고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보건학의 고유한 기초방법론으로서 학문적인 체계, 질병의 발생과 분포, 질병의 발생원인과 전염병의 예방, 전파방법, 질병의 자연사와 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2000528 보건교육실습 (Health Education Practice)
보건문제와 인간의 건강행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건강행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건강행위의 형성, 변용과 관련된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지역사회 보건사업을 위한 보건 교육적 요소를 파악하고 그 접근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각기 자기분야에서 보건 교육적 수단을 활용할 수 있는 기본원리와 기술을 습득한다.
2000542 보건의사소통론 (Health Communication)
국민의 생활양식의 변화 및 행위의 변화를 유도하는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대상별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보건정보 및 건강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다.
2000551 보건프로그램개발 및 평가 (Health Program Development & Evaluation)
효과적인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계획, 개발, 실시, 평가에 대한 과정과 방법을 학습한다. 지역사회의 요구사정, 우선순위 결정 및 계획서 작성방법, 보건교육의 내용, 프로그램 및 교수방법 등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중재방법 및 사회조사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2000535 보건사업관리학 (Health Work Management)
국가의 사회경제발전에 따라 발생한 국가행정의 급부로서 보건행정과 관리에 대한 기본 지식과 사회과학적 이해를 확립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이에 본 교과는 개인과 집단의 건강관리를 중심으로 보건 행정의 과학적 연구를 시도하고 현장 조직과 연계된 이론을 학습함으로써 지역사회 보건사업들의 실현에 필요한 행정적인 구조와 절차를 구상하는 것을 학습한다.
2000526 보건교육방법론 (Health Education Methodology)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대상과 성격에 맞는 도구와 매체를 선택하여 조합하고, 매체를 선택하고 조합하며, 매체를 통해 전달될 자료를 선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자료를 활용하는 문제와 신뢰성 있고 유용한 자료를 창조적으로 개발하는 원리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2000539 보건의료법규 (Medical Laws)
보건 및 의료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법률 가운데 국민건강에 직접 적용되고 있는 국민건강증진법, 보건의료기본법, 지역보건법, 생명윤리법, 의료법, 전염병예방법 등 기본적인 법률들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숙지하여 보건행정을 전개함에 있어 그 법적 기초를 충분히 숙지하도록 한다.
2000527 보건교육세미나 (Seminar for Health Education Professionals)
효과적인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위하여 지역사회의 요구 사정, 우선 순위 결정 및 계획서 작성방법 방법 등을 개발하고 지역사회의 대상과 요구에 따라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계획, 보건교육의 내용, 프로그램 및 교수방법 등을 평가한다. 개인이나 집단의 행위변화를 유도하는 보건교육 중재방법 및 서베이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또한 보건학과 관련된 논문에 관하여 토의 및 평가한다.
2001900 보건인구학 (Health Demography)
인간 생태와 분석 기법 및 생체의학 연구를 통하여 사망률, 출생률 등의 보건 지표의 특성을 기술하며, 기타 인구학적 통계를 파악함으로서 인구 자질 향상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2001903 환경보건학 (Environmental Health)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물리, 화학, 생물학적 환경을 배우며 환경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이로 인해 피해는 이해하며 배우는 이론과정이다. 인구집단에 질병을 일으키는 화학적, 물리학적, 생물학적 환경요인을 찾아내고 그 발병기전을 연구하며 이러한 요인들이 우리의 생활공간인 대기, 물 토양 작업장에서 노출되는 정도를 파악하고 각각 인간에게 주는 보건학적인 영향과 대책에 관하여 논의한다.
2000555 보건행태론 (Health Behavior Theory)
행동과학이론을 기초로 하여 보건행태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변화전략을 터득한다. 아울러 보건행태에 관련된 이론을 습득하여 지역사회보건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기법을 학습한다.
2001270 정신보건 (Mental Health)
정신건강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들과 기초 이론을 배우는데 중점을 둔다. 정신질환의 유형과 정신장애의 판정기준들을 배우고. 정신의학의 한계점에 대해 학습한다. 그리하여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심리사회적 개입의 당위성을 찾고 사회복지적 개입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제반 프로그램을 개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2001905 흡연약물상담방법론 (Smoking and Drug Counseling Methods)
인간의 행동과 건강증진을 위해 흡연과 그 외 약물남용이 신체에 미치는 생리적・심리적・사회적 영향을 규명하고 그런 중독행동에 개입할 수 있는 기술들을 익혀 금연상담사 및 약물중독상담 전문가로서의 기본을 다진다.
2001526 환자상담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for Patients)
환자들의 치유, 재활, 합병증 예방 및 복지를 위해 상담하는 이론과 기술을 배운다. 이 과목에서는 환자들의 진료소 접근 행동, 진료에 대한 불안, 처방에 따르는 행동, 특정 질환과 심리, 치유를 위한 심리상태 유지 및 환경 조성 등을 다룬다.
2000816 스트레스관리 (Stress Management)
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잘 이해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기법들을 익혀 상담사로서 역량을 배양한다. 그럼으로써 스트레스 때문에 생기는 현대인들의 신체적・정신적 질환을 줄이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2001372 천연치료학특론 및 실습 (Principles in Naturopathic Medicine)
성경의 건강철학 및 법칙 즉 NEWSTART 건강원리로 라이프스타일의 개선을 통해 건강을 향상시키고,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학습힌다. 과목으로 8가지 자연 치 료제들 곧 영양, 운동, 물, 햇볕, 절제, 공기, 휴식, 믿는 마음 등을 활용하여 몸과 마음의 최상의 건강을 도모하고 예방과 치료로 전인회복을 추구하는 원리와 기술을 강의하며 천연치료 병원이나 임상현장에서 실습을 수행한다.
2001479 해부생리학 (Human Anatomy and Physiology)
인체의 형태학적 구조 및 특성과 생리학적 기능에 관한 이론과 실습 과정에 대한 지식을 수준별로 습득하게 한다. 생리학 연구에서 얻은 지식을 이용하여 인간의 생활권을 확대시키고, 질병의 본체를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건강증진을 향상시키는 원동력이 되도록 한다.
2000514 병리학특론 (Advanced Pathology)
질병의 본태와 원인 그리고 질병과정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인체의 기능 및 여러 가지 자각적, 타각적으로 나타나는 이상증상을 이해하도록 한다.
2001196 임상영양학 (Clinical Nutrition)
현대인에게 문제되는 질병의 원인을 살펴보고 이러한 질병발생과정에 있어 영양소의 역할을 검토한다. 또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임상영양학의 원칙과 기전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임상영양학의 방향을 검토한다. 환자의 영양 상태를 판정하는 이론과 방법을 익힌다. 영양 상태 판정 결과와 질병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영양 관리의 원칙을 연구한다. 최근에 발생율이 증가되는 성인병을 비롯하여 많은 질병이 식생활과 깊은 관련성을 지닌다. 따라서 이들 질병의 예방은 물론 치료의 일 방법으로 영양치료의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병리학의 개요, 영양치료의 일발원리, 약물치료와 영양치료의 관계 등을 공부하고 이어 식생활과 관련성이 높은 주요 질병 즉, 면역계 질환, 비뇨기계 질환, 심장순환기계 질환, 당뇨병, 선천성 대사이상, 간질환 및 암 등의 병리와 영양치료의 원리 및 방법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2000780 성인병치료학 (Chronic Disease Therapy)
산업화와 도시화 및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하여 유병과 발생이 날로 증가하여 보건학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는 노인병 및 주요 성인병에 대한 특징의 이해와 질병의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적절한 대책의 강구를 위한 이론적, 실제적 관리기법을 다룬다.
2001370 천연치료학특론 I (Naturopathic Medicine I)
성경의 건강철학 및 법칙 즉 NEWSTART 건강원리로 라이프스타일의 개선을 통해 건강을 향상시키고,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2001371 천연치료학특론 II (Naturopathic Medicine II)
영양, 운동, 물, 햇볕, 절제, 공기, 휴식, 믿는 마음 등의 8가지 자연 치료제들을 활용하여 몸과 마음의 최상의 건강을 도모하고 예방과 치료로 전인회복을 추구하는 원리와 기술을 강의하며 천연치료 병원이나 임상현장에서 실습을 수행한다.
2000341 노인보건학 (Geriatric Public Health)
노령화사회를 대비하여 노인의 특성과 노인 건강 문제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이해한다. 신체 노화에 따른 장애를 최소화하고, 최적의 건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노인건강증진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2003104 산업보건학 (Occupational Health)
산업보건은 근로자 건강보호와 관련된 모든 활동영역을 의미한다. 근로자 건강을 위협하는 유해인자의 탐색, 측정, 평가, 분석 및 관리를 중심으로 하는 예방적 활동과 업무와 관련되어 발생한 사고 및 질병에 대한 산업재해보상 중심의 사후관리 활동이 이 포함된다. 본 교과에서는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한 예방적 활동과 사회보장제도의 하나인 산업재해보상을 중심으로 산업보건 전반을 살펴본다.
2003116 해독학 (Detoxificology)
본 과목에서는 학생들이 중독의 근본적인 원인인 독소의 종류, 독소의 종류에 따른 질병 발생 메카니즘, 1단계 해독과 2단계 해독의 메카니즘에 대해서 배울 수 있다.
2003115 해독과 질병관리학 (Detoxification and Diseases Management)
본 과목은 학생들이 독소의 축적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뇌졸중, 암, 비만, 아토피, 알러지, 자가면역질환, 만성염증 등 각종 질병들의 원인, 증상, 그리고 해독 프로그램으로 그 질병들을 관리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2003113 해독 프로그램 운영법 및 실습 (Detox Program Management Method and Practice)
본 과목에서는 학생들이 해독 프로그램의 운영법을 배우고, 본인이 직접 해독 프로그램에 참가함으로 몸과 마음에서 매 단계마다 느낄 수 있는 변화를 체험한다. 그리고 해독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들을 돌보고 상담하면서 해독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재를 실습할 수 있다.
2003108 오토파지와 질병관리 (Autophagy and Diseases Management)
세포가 살아가면서 발생하는 각종 소기관이 훼손된 단백질 조각들과 염증 및 쓰레기들이 축적되면서 질병들이 발생한다. 일본의 요시노리 교수는 2016년도에 오토파지 메카니즘을 규명한 기여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본 과목에서는 학생들이 오토파지에 대한 최신의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세포 내 쓰레기들을 청소해주는 오토파지 메카니즘의 원리, 스위치 켜는 법, 그리고 각종 질병들의 예방 및 치료에 적용하는 방법들에 대해서 배울 수 있다.
2003109 장내미생물과 질병관리 (Gut Microbiomes and Disease Management)
사람의 몸 속에는 세포 수보다 더 많은 수의 미생물들이 장에 살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학생들이 장내미생물총이 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장-내 연결축 이론, 각종 세포와 조직에 미치는 영향, 각종 질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의 원리에 대해서 배울 수 있다.
2003107 발효해독과 질병관리 (Ferment Detoxification and Disease Management)
1단계 해독과 2단계 해독의 과정이 진행될 때 다양한 영양소들과 효소들이 사용된다. 본 과목에서는 학생들이 발효 방법, 효소 및 발효 배양물의 효능, 효소 및 발효 배양물의 질병 예방 및 치료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울 수 있다.
2003114 해독과 생활의학개론 (Detoxification and lifestyle Management)
질병의 원인인 독소를 해독하는 생활습관을 실천할 때 그 질병들이 근본적으로 예방되고 치료될 수 있다. 본 과목에서는 학생들이 해독을 위한 라이프스타일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해독을 위한 라이프스타일의 생활습관병 예방 및 치료 원리 및 효과에 대해서 배울 수 있다.
2003110 중독 원리 1 (Mechanism for Addiction Physiology & Pharmacology 1)
중독(특히 마약, 알코올, 담배)과 연관된 뇌와 인체에 관한 생리학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와 개념을 검토하며 그 원리와 기전을 학습하고 이해함으로 상담가의 역할 및 중독 치료에 사용되는 특정 약물 요법과 치료법에 대하여 활용할 수 있는 중독전문가의 기반을 다진다.
2003111 중독 원리 2 (Mechanism for Addiction Physiology & Pharmacology 2)
중독(특히 음식중독, 도박중독, 일중독, 운동중독, 인터넷 및 게임 중독)과 연관된 뇌와 인체에 관한 생리학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와 개념을 검토하며 그 원리와 기전을 학습하고 이해함으로 상담가의 역할 및 중독 치료에 사용되는 특정 약물 요법과 치료법에 대하여 활용할 수 있는 중독전문가의 기반을 다진다.
2003105 독소 생리학 (Toxin Physiology)
현재 지구상에는 5백만 개 이상의 자연 혹은 화학물질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학 물질들은 식품첨가물, 환경호르몬, 미세먼지, 농약 등을 통해서 체내로 유입되고 있고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학생들이 각종 질병을 발생시키는 독소들의 종류, 독소들의 인체 내로 흡수, 독소들의 분포와 저장, 독소들의 생체 내 대사 및 축적, 독소들의 배설 경로, 독소들의 유해성 및 질병 발생 기전 등에 대해서 배울 수 있다.
2003112 해독 및 비만관리법 (Detoxification and obesity management)
비만의 주된 원인은 내장 노폐물이 주범이다. 내장지방에 독소가 쌓이면 내장에 살고 있는 장내 미생물계의 불균형을 초래하면서 만병이 시작된다.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비만의 원인이 되는 내장 독소를 해독해야 한다. 본 과목에서 학생들은 비만의 진단 기준, 비만 유병율, 비만의 종류, 비만관련 질병, 비만과 독소, 비만 관리를 위한 다이어트 프로그램의 종류, 비만 관리를 위한 해독 프로그램, 비만관리와 식이요법, 비만관리와 운동, 비만관리와 심리요법 등에 대해서 배울 수 있다.
2003106 마음 해독 및 질병관리법 (Mind detoxification and disease management)
우리 몸은 뇌 신경세포의 신호를 받아서 움직인다. 몸의 세포가 문제가 있어서 작동에 문제가 생기는 질병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몸에는 문제가 없을지라도 몸에 신호를 보내는 마음이 문제가 생겼을 때도 몸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현대의학은 모든 질병의 90% 이상에서 마음의 문제가 기저에 깔려 있다고 한다. 본 과목에서 학생들은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필요한 분노, 미움, 죄책감, 열등감, 우울감, 스트레스 등 마음의 독소를 해독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