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공지
more교수 소개
more-
서경현
상담심리학과·교수임상건강심리학 전공-
- 학위
- 심리학박사
-
- 전공
- 임상건강심리학
-
- 전화번호
- 02-3399-1676
-
- 이메일
- khsuh@syu.ac.kr
학력
1996. 10: University of Santo Tomas 심리학 박사 (임상심리학 전공)
2000. 06: University of Wisconsin, Milwaukee Post-doc (건강심리학 전공)
[자격증]
한국심리학회 건강심리전문가
한국상담학회 수련감독급 전문상담사(중독상담)
한국심리학회 중독심리전문가
중독전문가협회 중독전문가 1급
한국상담심리학회/한국상담학회 정신보건상담사 1급논문
[연구논문: 학술지 게재 250여편 중 최근 3년 논문]
Park, A., Chung, S., & Suh, K. (2025). Roles of religious music and religious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damentalism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Korean Christians. Journal of Beliefs & Values, 46(1), 187-200.
Suh, K. (2024). Predictors of female smokers\' empowerment to quit smoking cigarette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22(6), 4051-4066.
Kim, S., An, J., & Suh, K. (2024). Predictors of preparedness for well-dying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Psychogeriatrics, 24(6), 1335-1346.
Ouyang, Y., Park, A., & Suh, K. (2024). Psychological predictors of attitude toward integrated arts education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arts. Behavioral Science, 14(10), 869.
Zhang, Q., Park, A., & Suh, K. (2024). Relationship between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Enjoyment of Playing Instruments Scale. Behavioral Science, 14(9), 744.
Kim, G., & Suh, K. (2024).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tress 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music use as a coping mechanism and happiness in Chinese older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sychogeriatrics, 24(5), 1103-1110.
백원대, 홍현주, 서경현 (2024). 사람 그림검사(Draw-A-Person) 해석체계 구축 및 타당성 제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 613-627.
Zhang, Q., Park, A., & Suh, K. (2024). The effects of anxiety regulation and stress regulation on the enjoyment of music listening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hinese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ia-pacific Journal of Convergent Research Interchange, 14(7), 347-357.
신해인, 서경현 (2024). 행동활성화체계가 청년기 밈 콘텐츠 사용 동기에 미치는 영향: 감각 추구와 고립 공포감의 이중 매개효과.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10(6), 255-266.
Kim, G., & Suh, K. (2024). Mediating effects of self-presentational motives and recognition of differences in self-worth between reality and SNS on inferiority complex and SNS addiction of Korean adults. Current Psychology, 43(10), 8614-8623.
Wang, J., & Suh, K. (2024). Music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lder Chinese adults: perceived stress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adaptability. Current Psychology, 43(8), 7275-7283.
서경현 (2023). 기독교인의 내적 종교성과 행복감: 감사성향, 전념 및 종교적 안녕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학과 학문, 25(3), 145-169.
서경현 (2023). 여성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스트레스연구, 31(4), 189-196.
Park, A., & Suh, K. (2023). Hardiness and expectations for future life: The roles of perceived stress, music listening for negative emotion 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Behavioral Science, 13(11), 287.
전겸구, 서경현 외 (2023).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2판 타당화 연구. 스트레스연구, 31(3), 133-141.
김관형, 서경현 (2023). 열등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와 자기가치 차이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9(6), 209-222.
김남중, 서경현 (2023). 예술전공 대학생의 융복합예술에 대한 태도의 예측요인. 한국융합과학회지, 12(5), 233-253.
An, J., & Suh, K. (2023). Relationship between grateful disposi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of Korean young adults: Focused on doub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positive interpretation. Behavioral Science, 13(4), 287.
전겸구, 서경현 외 (2023).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2판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8(2), 537-559.
서경현 (2023). 여성 흡연자의 금연효능감 예측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8(1), 227-238.
Choi, Y., & Suh, K. (2022). Verifying the usefulnes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model for predicting illegal use of online content: the role of outcome expectancies and social loafing. BMC Psychology, 10(1), 264.
Lim, Y., & Suh, K. (202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passive aggression traits: The Passive Aggression Scale (PAS). Behavioral Sciences, 12(8), 273.
Park, A., & Suh, K. (2022). Preoccupation with devotional songs and spiritual well-being of religious individuals: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religiosity and emotionally adaptive functions of music. Religions. 13(8), 697.
Ryu, J., & Suh K. (2022) Self-disclosure and post-traumatic growth in Korean adults: A multiple mediating model of deliberate rumination, positive social responses, and meaning of life. Frontiers in Psychology, 13, 878531.
서경현 (2022). 한국인들을 위한 간략형 강인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스트레스연구, 30(2), 60-68.
Beak, E., Chung, S., & Suh, K. (2022).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middle-aged Korean women: Focused on roles of existential consciousness and savoring beliefs. Religions, 13, 402.
류지현, 서경현 (2022). 외상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외상 강도에 의해 조절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1), 535-544.
[저역서: 2010년 이후 실적만]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해(학지사, 2025)
청소년 마약류 중독의 이해와 상담(학지사, 2024)
상담 및 심리치료 윤리(박학사, 2022)
건강심리학(센게이지러닝, 2019)
성격의 이해와 상담(학지사, 2018)
중독상담학개론(학지사, 2018; 학술부문 세종도서 선정)
중독의 이해와 상담실제(학지사, 2017)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론(시그마프레스, 2014)
중독상담(박학사, 2012)
재미있는 골프심리(이너북스, 2010: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선정)
[교외 연구용역 과제수주]
연구책임자(2024, 한국연구재단): 현시대 한국인의 효심에 대한 개념화 및 척도 개발(52,840,000원)
공동연구원(2023,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보건복지부): 금연치료 임상진료지침 개발(90,000,000원)
연구책임자(2022, 한국건강관리협회, 보건복지부) 22년도 군인, 의경 금연지원서비스 사업 대상자별 금연교육 프로그램 개발(30,000,000원)
연구책임자(2021, 한국연구재단): 여성 흡연자에게 특화된 금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52,000,000원)
연구책임자(2020, 도로교통공단) 음주 교육반 상담 프로그램 개발 용역(5,000,000원)
연구책임자(2019, 서울시) 2019년 산림복지시설 이용 만족도 조사 용역(15,000,000원)
연구책임자(2018, 한국연구재단): 건강행동 실천과 처방준수를 예측할 수 있는 내적 심리변인에 관한 건강심리학적 탐색(50,800,000원)
공동연구원(2018, 교육부):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임용제도 및 양성과정 개선안(30,000,000원)
연구책임자(2017, ITIS): 그림에 따른 아동 정서행동발달관찰시스템용 DB구축(20,000,000원)
연구책임자(2016, 한국연구재단): 웰빙 차원에서 역기능적인 종교성의 개념화와 척도 개발(50,800,000원)
공동연구원(2016, 국방부): 그린캠프 개선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용역(260,000,000원)
연구책임자(2013, 한국연구재단): 독거노인의 웰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48,000,000원)
연구책임자(2013, 한국근로복지공단):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산재근로자 적응 및 성장 프로그램(74,000,000원)
연구책임자(2012, 한국연구재단): 노년기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및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자기노출과 긍정 사회비교의 역할(23,700,000원)
연구책임자(2011, 서울시): 서울시 금연아파트 사업 효과검증 연구(6,000,000원)경력
2001∼현재: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2020∼현재: 대한스트레스학회 부회장
2017∼현재: 한국알코올및건강행동학회 부회장
2024∼현재: 한국심리학회 학회발전기획위원장
2022∼2024: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회장
2022: 삼육대학교 올해의 교수(인문사회계 연구부문)
2019∼2022: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부회장
2018∼2020: 한국중독상담학회 회장
2018∼2020: 삼육대학교 연구산학처장/산학협력단장
2016∼2018: 삼육대학교 연구처장
2025∼현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이사
2024∼현재: 한성대학교 IRB 위원
2020∼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RB 위원
2019∼현재: 서울심리지원 동북센터 운영위원
2018∼2022: 서울시립 창동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운영위원장
2019∼2020: 한국건강심리학회 편집위원장
2019: 한국심리학회 선거관리위원장
2018∼2020: 한국심리학회 공공정책위원장
2015∼2017: 한국건강심리학회 회장
2017∼2024: 서울북부해바라기센터 운영위원
2016∼2020: Vice President(부회장), Asian Society of Health Psychology
2017∼2020: 한국건강심리학회 감사
2017∼2020: 한국중독심리학회 감사
2018∼2019: 대한스트레스학회 전문이사
2017∼2018: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감사
2013∼2016: General Secretary(사무총장), Asian Society of Health Psychology
2015∼2017: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 문화융복합단 전문위원(RB)
2013: 삼육대학교 올해의 교수(인문사회계 연구부문)
2014∼2015: 한국심리학회 정보이사
2013∼2014: 한국심리학회 대외이사
2010∼2015: 한국건강심리학회 부회장
2011∼현재: 삼육대학교 부설 웰빙건강심리연구소 소장
2011∼2014: 한국건강심리학회 편집위원장
2012∼현재: 한국중독상담학회 부회장
2012∼2013: Chair, Organizing Committee, 5th Asian Congress of Health Psychology
2012∼현재: 지방행정연수원 겸임교수
2011∼2012: 한국심리학회 재무이사
2010∼2011: 한국중독상담학회 학술이사
2008∼현재: 대한금연학회 이사
2008∼2013: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부교수
2007∼2009: 한국심리학회 중독심리위원회 위원
2007∼2010: 서울시 女幸동반자 위원
2011∼현재: 서울시 노원구 생명존중위원회 위원
2010: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이사
2009: La Sierra University 방문교수
2008∼2010: 한국알코올과학회 편집위원
2008: 한국알코올과학회 총무이사
2007∼2010: 한국건강심리학회 편집위원
2007∼2010: 한국건강심리학회 수련위원장
2006∼2007: 한국심리학회 자격제도위원장
2005∼2006: 한국건강심리학회 교육이사
2004: Treasurer, 2nd Asian Congress of Health Psychology
2003∼2007: 삼육대학교 상담학과 조교수
2003∼2004: 한국건강심리학회 재무이사
2003: 삼육대학교 올해의 교수
2001∼2002: 삼육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전임강사
2000∼2001: 성균관대학교 강사
1999∼2000: University of Wisconsin, Milwaukee 알코올연구소 연구원
1998∼1999: 서울위생병원 건강교육과 건강심리학자
1995∼1996: Sunrise Hill Community Center 임상심리 인턴 -
-
정구철
상담심리학과·교수심리측정-평가 전공-
- 학위
- 교육학박사
-
- 전공
- 심리측정-평가
-
- 전화번호
- 02-3399-1678
학력
연세대학교 (문학사, 심리학 전공)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심리측정 및 평가 전공)
[자격증]
한국학교심리학회 학교심리사 1급
한국중독심리학회 중독심리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수련감독급 상담전문가논문
[연구논문: 최근 4년 논문만]
정구철, 이지수, 구효민 (2022) 대학생의 성장지향성이 학교생활소진에 미치는 영향_ 성별에 의해 조절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7(3), 143-151.
Park, H.J. & Jeong, G.C. (2022)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Pet and Post-Traumatic Growth after Pet Loss: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rough Separation. Behav. Sci. 12(8), 291(1-12).
Lee, G. & Jeong, G.C. (2022) Influence of Religious Practice and Church Interpersonal Trust on Spiritual Experience during COVID-19 Pandemic. Religions, 13(7), 580(1-13).
김은진, 정구철 (2022) 청소년들의 시간관리능력이 대면 및 비대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5), 643-655.
강훈희, 정구철 (2022) 코로나19 기간에 경험한 생활 스트레스와 보상소비성향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조절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7(2), 337-344.
김은희, 정구철 (2022) 지각된 부-모 관계의 질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과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7(2), 377-384.
Lee, E.H., Shin, S.H., & Jeong, G.C., (2022) Smoking Awareness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Smoking Female Workers: Secondary Data Analysis. Int. J. Environ. Res. PublicHealth, 19(5), 2841(1-13).
염보은, 정구철 (2022) 비합리적 신념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과 지연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7(1), 349-356.
정구철 (2021)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에서 관계중독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6(2), 155-161.
이영선, 정구철 (2021) 요양기관 근로자의 정서지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내외통제성에 의해 조절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6(1), 269-276.
박마리, 정구철 (2021) 청소년들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반추사고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6(1), 216-222.
정구철 (2020)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의해 조절된 투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2), 611-622.
이영선, 정구철 (2020) 장기요양노인 부양가족의 부양부담과 삶의 질 간의 관계 : 가족탄력성과 부정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5(4), 681-693.
Lee, G., Jeong, G.C., Yim, J.E. (2020) Consideration of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during COVID-19: A Theoretical Review. Int. J. Environ. Res. PublicHealth, 17(21), 1-17.
정구철, 김영화 (2020)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한국과 중국 청소년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8), 397-407.
정구철, 전영숙, 박희숙 (2020) 대학생의 갈등해결전략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에 의해 매개된 정신화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8), 367-369.
박효진, 정구철 (2020) 반려동물산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동물학대경험 및 생명존중의식 간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15(2), 367-369.
김보람, 정구철 (2020)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내외통제성의 조절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5(2), 353-366.
박희숙, 정구철 (2020)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삶의 이유 간의 관계에서 부부관계 만족도와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 495-504.
정구철, 김영화 (2019)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9), 430-440.
주지향, 정구철 (2019)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투지 및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8), 240-251.
[교외 연구용역 과제수주]
2017: 고도흡연율 고등학교 흡연예방사업 전략 및 프로그램 공동 개발(보건복지부)
2016: 청소년 \'흡연예방 표준교육프로그램(SENSE)\' 공동 개발(보건복지부)
2016: \'담배연기 없는 대학\' 정책모형 개발 공동 연구(보건복지부)
2014~2015: 경기도 금연학교 운영(교육과학기술부)
2014~2015: \'학교폭력 대응 프로그램\' 공동 개발(교육과학기술부)
2011: 청소년 \'금연동기화 프로그램(END)\' 공동 개발(보건복지부)경력
2011~현재: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2021~현재: 한국중독심리학회 이사
2019~현재: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학과장
2021~2022: 삼육대학교 기획부처장, IR센터장
2014~2020: 삼육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센터장
2018: \'마르퀴즈 후즈 후(Marquis Who\'s Who)\' 인명사전 등재
2017: 한국콘텐츠학회 우수논문 학술상 수상
2016: 삼육대학교 \'올해의 교수(우수강의 부문)\' 선정
2016: KBS \'시사기획 창\' 스마트폰 중독편 출연
2015: 청소년 금연학교 전문가 위원(교육과학기술부) -
-
정성진
상담심리학과·부교수상담심리학 전공-
- 학위
- 심리학박사
-
- 전공
- 상담심리학
-
- 전화번호
- 02-3399-1675
학력
가톨릭대학교 (심리학 박사, 상담심리학 전공)
Andrews University (심리학 석사, 학교상담 전공)
삼육대학교 (신학사)
[자격증]
한국중독심리학회 중독심리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상담전문가논문
[연구논문]
김선경, 정성진 (2024). 귀국선교사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신학과 학문, 26(1), 122-159.
김상우, 정성진 (2024).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교사관계 인식의 종단적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6), 241-259.
박소영, 정성진 (2023). 고등학교 유형별 상담경험 유무와 마음챙김 수준에 따른 학교상담기대의 차이. 융합학문과 기독교, 4(2), 101-113.
김상우, 정성진 (2023). 청소년 게임이용문제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다중병렬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8), 573-584.
김범태, 정성진 (2023). 자서전 쓰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기수용, 긍정정서, 자기성찰, 삶의 기대에 미치는 효과. 융합학문과 기독교, 4(1), 51-69.
박희성, 정성진 (2022). 장애인 어머니의 동료상담 경험과 가족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융합학문과 기독교, 3(2), 33-49.
최혜빈, 정성진 (2022). 애착, 개인주의.집단주의 및 완벽주의가 결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학과 학문, 24(3),41-63.
김현숙, 정성진 (2022). 부모연계 분노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융합학문과 기독교, 3(1), 53-63.
손수진, 정성진 (2022). 청소년의 자기과시성향, 사회자본 및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융합학문과 기독교, 3(1), 41-51.
이다정, 정성진 (2022).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외국인 혐오 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3(5), 180-187.
박재숙, 정성진 (2022). 중년 여성의 성역할 갈등, 적응유연성 및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지, 22(5), 779-787.
박동현, 손수진, 정성진 (2022). 기독교인의 성역할 고정관념, 사회자본, 여성리더수용 및 리더십 기대 간의 관계. 신학과 학문, 24(1), 129-154.
Beak, E., Chung, S., & Suh, K. (2022).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Middle-Aged Korean Women Focused on Roles of Existential Consciousness and Savoring Beliefs. Religions, 13(5), 402(1)-402(12).
안은주, 정성진 (2022). 초등학생의 공격성 및 자존감과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에 나타난 스트레스 및 대처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7(2), 357-371.
정성진 (2022). 남자 청소년의 ADHD성향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 대인관계 형성과 인터넷 게임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지, 22(3), 212-221.
정성진, 박희성, 최혜빈 (2021). 대학생용 인성교육 효과 측정도구 개발: 삼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신학과 학문, 23(3), 83-116.
정성진 (2018). 기독교 신앙과 심리학의 조화로운 관계 탐색: 재림교회를 중심으로. 신학리뷰, 20(1), 14-58.
오복자, 정성진 (2016). 중독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한국알코올과학회지, 17(1), 61-85.
안재순, 정성진, 서경현 (2012). 부모의 문제음주와 고등학생 자녀의 부모화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한국알코올과학회지, 13(1), 17-29.
안재순, 정성진, 서경현 (2012). 부모의 문제음주와 고등학생 자녀의 부모화 간의 관계: 성별과 종교 유무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9(3), 245-266
정성진, 장성숙, 서경현 (2012). 용서과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 123-142.
조희숙, 정성진 (2011). 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사회적 지지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국제건강미학회지, 1(1), 1-7.
정성진, 서경현 (2011). 대학생의 특성용서, 상태용서, 용서 결정요인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8(6), 147-169.
정성진 (2011). 한국판 가해행동 대인동기 척도(TRIM-12-K)의 타당화 연구. 학문과 기독교 세계관, 2, 209-225.
정성진, Ji, 김신섭, 서경현 (2010). 종교지향과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 대한 종교적 원리주의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1), 19-41.
이경순, 정성진 (2006). 성인의 양성평등 의식, 생의 의미 및 우울 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5(1), 14-21.
서경현, 정성진, 구지현 (2005). 대학생의 영적 안녕과 생활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심리치료, 17(4), 1079-1097.
서경현, 정성진, 김성민 (2005). 여대생의 음주특성과 문제음주자의 음주동기. 여성건강, 6(1), 33-57.
김윤애, 정성진, 서경현 (2005). 한국 제칠일예수재림교인들의 건강행동, A유형행동, 대처방식 및 신체증상.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2),167-182.
이진아, 정성진 (2005). 성인들의 건강 수준, 자존감, 우울의 관계. 삼육간호보건대학 학술지, 9, 203-215.
이진아, 정성진, 조현아 (2005). 성인들의 영성, 대인관계, 생의 의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학술지, 34, 193-205.
이진아, 정성진 (2004). 대학생들의 생의 의미와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삼육간호보건대학 학술지, 8, 375-384.
[저역서]
Corey, G., Corey, M., & Corey, C. (2022). 상담 및 심리치료 윤리(Issues and ethics in the helping professions). (제10판). (서경현, 정성진 역). 서울: 박학사.
심윤기, 정구철, 정성진, 박효진, 손정미, 차보연 (2021). 병영문화와 군 특수상담. 서울: 창지사.
박완성, 정성진, 채희원 (2021). 인생설계와 진로 I. 서울: 삼육대학교.
강경아...정성진 등 (2021). 행복 레시피. 서울: 삼육대학교.
오영희, 김광수, 박종효, 정성진 등 (2020). 사과를 통한 치유와 성장: 초중고등학생들을 위한 사과 교육 프로그램. 서울: 학지사.
박완성, 정성진, 채희원 (2020). 인생설계와 진로 II. 서울: 삼육대학교.
심윤기, 정구철, 정성진, 김복희, 김재희, 김현숙 (2020). 군 위기상담의 실제. 서울: 창지사.
김현아...정성진 등 (2018). 상담철학과 윤리(제2판). 서울: 학지사.
심윤기, 정구철, 정성진, 전영숙, 주희헌 (2017). 군 집단상담의 기초. 서울: 창지사.
이금선, 정성진 (2017). 중독의 이해. 서울: 삼육대학교.
Ron, Flowers & Karen Flowers (2016). 가정사역의 기초(Foundation of Family Ministry). (정성진 역). 서울: 삼육대학교 출판부.
김광수, 오영희, 박종효, 정성진 등 (2016). 용서를 통한 치유와 성장. 서울: 학지사.
서경현, 정구철, 정성진 (2016). 중독상담전문가. 서울: 한생미디어.
Melgosa, Julian (2015). 건강한 오늘, 든든한 노후(Enjoy life). (정성진 역). 서울: 시조사.
Corey, G., Corey, M., & Callanan, P. (2014). 상담 및 심리치료 윤리(Issues and ethics in the helping professions). (제8판). (서경현, 정성진 역).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김광수, 박종효, 오영희, 정성진 (2014). 용서하는 삶(The forgiving life). 서울: 시그마프레스.
김현아...정성진 등 (2013). 상담철학과 윤리. 서울: 학지사.
Melgosa, Julian (2012). 긍정적인 마음, 행복한 인생(Positive mind). (김신섭, 정성진 역). 서울: 시조사.
Corey, G., Corey, M., & Callanan, P. (2008). 상담 및 심리치료 윤리(Issues and ethics in the helping professions). (제7판). (서경현, 정성진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정성진(2006). 신혼부부학교. 서울: 한국연합회.
Hayden, Keavin (2005). 남은 무리의 생활양식(Lifestyles of the remnant). (정성진 역). 서울: 한국연합회.
Dudley, Roger (2005). 우리의 십대들은 왜 교회를 떠나는가?(Why our teenagers leave the church?) (정성진 역). 서울: 시조사.
대총회 가정봉사부 (2005). 보다 나은 가족관계 형성하기(Building better family relationships). 서울: 국제가정사역협회.
대총회 가정봉사부 (2005). 당신의 가정은 선교기관입니까?(Center for evangelism) (정성진 역). 서울: 국제가정사역협회.
Johnson, Kim (2004). 선물(The gift). (정성진 역). 서울: 시조사.
대총회 가정봉사부 (2004). 친밀함으로의 초대(Invitation to intimacy). (정성진 역). 서울: 국제가정사역협회.
대총회 가정봉사부 (2003). 가정사역의 성경적 기초(Biblical Foundation of Family Ministry). (정성진 역). 서울: 국제가정사역협회.
Weber, Martin (1996). 재림교회의 뜨거운 감자들(Adventist hot potatoes). (정성진 역). 서울:케루빔.경력
2011~현재: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2024~현재: 삼육대학교 학생처장 겸 일자리본부장
2024~현재: 한국진로교육학회 학술위원장
2023~현재: 서울시립 창동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운영위원장
2020~현재: 전국대학상담학과협의회 고문
2019~현재: 삼육대학교 부설 신학연구소 윤리위원장
2018~현재: 삼육대학교 마음성장연구소 소장
2014~2021, 2023: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과장
2019~2020: 삼육대학교 건강과학특성화사업단 단장
2016~2019: 삼육대학교 건강과학특성화(중독)사업단 사무총장
2018~2020: 전국대학상담학과협의회 회장
2013~2018: 전국대학상담학과협의회 이사
2019~2020: 한국중독상담학회 윤리위원장
2018~2022: 서울시립 창동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운영위원
2018~2020: 삼육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전문위원
2021, 2022~2023: 삼육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위원장
2016: 삼육대학교 올해의 교수(우수강의 부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