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특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정영일 교수님
안녕하세요, 보건관리학과 학우 여러분!
오늘은 지난 11월 4일에 진행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정영일 교수님의 특강 소식을 전해드리겠습니다.
이번 특강은 보건통계학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는 꼭 필요한 시간으로,
원자료의개념부터 SPSS활용까지 폭넓게 다루어졌는데요.

원자료 처리
원자료에는 오류·중복·결측값이 많기 때문에 분석 전에 꼭 정제해야 하며
부호화(coding) 로 응답을 숫자로 변환해야합니다.(예: 남=1, 여=2).
또한 코드북을 통해 변수명·값 의미·결측코드를 꼭 확인해야합니다.
전처리(SPSS)
텍스트(.txt), CSV 파일을 SPSS로 불러와 구조 확인하고
결측값·이상치 제거, 논리 오류(예: 비흡연자의 금연계획 응답) 수정해야합니다.
변수 가공에는 BMI 계산, 범주 재코딩, 역코딩 등이 있습니다.
이로인해 많은 학우분들이 공공의료 분야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기초 분석
연속형에는 평균·표준편차·히스토그램이 있고
범주형에는 빈도표·막대그래프 있습니다.
이변량 분석에는 평균을 비교하는 t-test와 범주형 관계를 검정하는 χ²-test
이 있습니다.
가설 검증
χ² 검정은 유의하지 않다는 뜻이고(p=0.386)
로지스틱 회귀은 영향 없다는 뜻입니다.(p=0.544)
즉 가설 기각되며, 뚜렷한 관계 없다는 것입니다.
마무리
자료 분석은 원자료 정제 → 전처리 → 기술통계 → 가설검증의 흐름으로 진행됩니다.
결측값 처리와 변수 정의가 분석 품질을 크게 좌우하며 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추가 변수가 필요합니다.
이번 특강은 이번 특강은 단순히 SPSS를 배우는 시간이 아니라,
보건데이터가 실제로 어떻게 분석 가능한 정보로 변환되는지
전 과정을 직접 경험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설문이 수집된 순간부터 분석 결과를 해석하기까지의 흐름을 처음부터 끝까지 연결해 보여주셨기 때문에,
‘데이터를 읽고 다루는 능력’의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