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search 포스트형식로 보기 리스트형식로 보기 자세히보기 정든 삼육동 교정 떠나는 교원들 오덕신·유구용·주미경 교수 정년퇴임 한평생 강단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삼육교육 발전에 헌신한 교수들이 정든 교정을 떠났다. 삼육대 지능정보융합학부 오덕신(36년), 화학생명과학과 유구용(34년), 아트앤디자인학과 주미경(24년) 교수는 지난 2021학년도 2학기를 끝으로 정년퇴임했다. 코로나19 상황.. 2022.03.28 자세히보기 산학협력단, ‘지식재산 전략적 활용 지원사업’ 선정 ‘5년 과제’…IP(지식재산권) 기반 연구자 창업 지원 삼육대 산학협력단(단장 한경식) 기술사업화팀은 특허청과 한국특허전략개발원이 주관하는 ‘2022년 지식재산의 전략적 활용 지원 사업(지식재산 창출·활용지원)’에 선정됐다. 이 사업은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의 지식재산 창출·활용 역.. 2022.03.02 자세히보기 냄새로 범인 잡는다…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와 공동연구 MOU ‘제3의 증거’…獨·日선 증거능력 인정 삼육대와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는 22일 교내 백주년기념관 소회의실에서 국내 최초로 냄새증거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제3의 증거’로 불리는 냄새증거는 독일, 일본 등에서 증거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지문과 유전자는 범죄현장에서 범인.. 2022.02.23 자세히보기 [쿠키뉴스] 남상용 환경디자인원예학과 교수, ‘가짜 반려식물’ 관련 코멘트 2월 18일 「“네? 제 반려식물이 ‘가짜’라고요?”」 기사 남상용 환경디자인원예학과 교수는 <쿠키뉴스>가 2월 18일 보도한 「“네? 제 반려식물이 ‘가짜’라고요?”」 기사에서 가짜 반려식물에 대해 코멘트했다. 식물을 가족같이 돌보며 키우는 ‘반려식물’ 인구가 늘고 있다. 식물 사기 피해 사례도 늘어.. 2022.02.21 자세히보기 [기고] 중독, 해결책은 없는가 중독자, 죄인이라기보다 환자로 보아야 인간으로서 존중해야 하지만 잘못 절대 용인 안 돼 [서경현 삼육대 상담심리학과 교수] 중독이 개인은 물론 우리 사회를 병들게 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치인들까지 그 심각성과 대책의 시급함을 인식하고 있다. 국어대사전에서 중독의 정의는 “생체가 약물, 독물, 독소의 독성에 치.. 2022.02.08 자세히보기 [BBC] 신지연 유아교육과 교수, ‘한국 유아숲교육’ 관련 코멘트 BBC 미래 섹션 ‘퓨처(FUTURE)’ 보도 「아시아의 학교들은 왜 자연으로 향하는가」 기사 신지연 유아교육과 교수는 영국 공영방송 BBC 온라인판 미래 섹션 ‘퓨처’(FUTURE)가 1월 24일 보도한 「Why some Asian schools are going wild (아시아의 학교들은 왜 자연으로 향하는.. 2022.01.27 자세히보기 [매일경제] 서경현 상담심리학과 교수, ‘비대면수업’ 관련 코멘트 1월 25일 「청년들 2년간 집에 갇히더니…우울증만 늘었다」 기사 서경현 상담심리학과 교수는 <매일경제>가 1월 25일 보도한 「청년들 2년간 집에 갇히더니…우울증만 늘었다」 「”줌강의 무한반복, 나이만 3살 먹어”…비대면 터널 갇힌 청춘들」 기사에서 비대면수업과 코로나 블루의 .. 2022.01.25 자세히보기 [KBS1] 정종화 사회복지학과 교수, ‘사랑의 가족’ 신년토론회 패널 출연 신년특집 토론회 「장애계 4대 과제 총정리」 정종화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1월 22일 방송된 KBS1 교양프로그램 ‘사랑의 가족’ 신년특집 토론회 「장애계 4대 과제 총정리」에 전문가 패널로 출연했다. 이날 방송은 장애계에서 오랫동안 문제제기를 해왔지만, 해결되지 않는 네 가지 주요 과제로 △장애아동 재활치료 및 .. 2022.01.24 자세히보기 메타버스에서 열린 교수협의회 가상공간에 컨퍼런스홀-토의실-영상관 구현 삼육대는 22일 교수협의회를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에서 개최했다. 교수협의회가 메타버스 공간에서 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육대 교육혁신단 원격교육지원센터와 학교기업 SU-Edumi(수 에듀미)는 가상공간 내에 컨퍼런스홀, 코이노니아홀, 분과별 토의실.. 2021.12.22 firstprev21222324252627282930nextlast 담당부서 교학팀 전화번호 02-3399-3016 이메일 graduate@syu.ac.kr 최종수정일 : 2018.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