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젖소와 함께 태평양을 건너온 선교사… 故 헤일리 선생 추모예배

2024.12.11 조회수 101 커뮤니케이션팀
share

60~70년대 낙농산업 개척… 대학 재정안정에 큰 족적

삼육대는 1960~70년대 대학의 우유가공 사업을 일으켜 재정 안정에 크게 기여한 고(故) 조지 셜다인 헤일리(George Sherdain Haley, 한국이름 하정식) 선교사의 추모예배를 지난 9일 교내 요한관 홍명기홀에서 개최했다.

이날 예배에는 제해종 총장과 김용선 부총장 등 대학 주요 관계자를 비롯해, 남대극 전 총장, 삼육식품 전광진 사장, 오진규 전 사장, 헤일리 선교사의 대학 재직시절 동역자, 교수, 직원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헤일리 선생은 1934년 미국 미시간주 시스터 레이크에서 출생했다. 1958년 주한미군 제1의무단 소속 병사로 한국에 파견 근무 중이던 그는 당시 재림교회 한국 선교본부 회장 데이비스(한국이름 태비수) 목사의 제안으로 전역 후 이듬해부터 삼육대에서 봉사를 시작했다.

헤일리 선생은 회고록에서 “그 후 22년이 넘는 세월 동안 삼육대에서의 삶은 하나님의 지속적인 축복을 경험한 때였고, 동시에 끊임없는 도전의 시기이기도 했다”고 기록했다. 실제가 그러했다.

▲ 헤일리 선생과 그의 가족사진. 오른쪽 사진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헤일리 선생, 사모 이도연(제인 리토넌) 간호학과 교수, 자녀 린다, 애덤, 커크, 에릭

헌신과 도전의 삶

1961년 삼육신학원에서 삼육대학으로 승격되며 농업교육과가 설립되자, 헤일리 선생은 초대 학과장과 실업부 책임자를 맡아 대학의 낙농산업 기반을 마련했다. 당시 한국의 유가공업은 초기 단계에 머물렀지만, 그는 시대적 필요를 꿰뚫어 보고 젖소 사육과 우유 생산 확대를 위한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1963년 안식년으로 미국에 머물던 때에는 직접 모금한 자금으로 20마리의 젖소를 구입해 화물선을 타고 태평양을 건너 한국으로 돌아왔다. 당시 전국에 젖소가 고작 2천 마리밖에 없던 시기였다. 미국의 유명 식품기업으로부터 중고 기계를 기부받기도 했다.

▲ 미국에서 젖소를 옮겨오는 헤일리 선교사의 모습

이후 몇 개월 동안 연이어 송아지가 태어나며 목장의 젖소는 세 배로 늘어났다. 첫해에 태어난 송아지 중 60% 이상이 암송아지였는데, 헤일리 선생은 회고록에서 “큰 경사였다”고 기억했다.

1970년대 초 한국 정부의 유제품 소비 촉진 정책은 유제품 사업 확대에 절호의 기회였다. 헤일리 선생은 이에 발맞춰 미국에서 ‘삼육대를 위한 젖소 보내기 캠페인’을 전개했고, 미 전역에서 상당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기부금이 쇄도했다. 이 기금으로 1977년 젖소 120마리를 추가로 구입해 비행기로 들여왔다.

당시 삼육대가 생산한 우유는 서울 시내에서 최고급 수준으로 인정받았다. 하루 1만 킬로그램의 생산 능력을 갖춘 유가공 시설은 대학의 재정적 안정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78년 헤일리 선생은 한국 정부로부터 국민포장을 수훈했다.

▲ 박정희 대통령으로부터 국민포장을 수훈한 헤일리 선생

제 총장 “헤일리 선생은 우리 대학의 은인”

헤일리 선생은 1981년 삼육대에서의 사역을 마무리하고 미국으로 귀국해 여생을 보냈다. 대학의 초청으로 여러 차례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그러던 지난달 6일 미시간주 리틀 크루키드 레이크에서 90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이날 추모예배는 최경천 교목처장의 사회로, 박철주 교무처장의 기도, 남대극 전 총장의 말씀, 제해종 총장의 조사, 헤일리 선생의 동역자였던 권오달 전 원예학과(현 환경디자인원예학과) 교수의 추모사 순으로 진행됐다.

제해종 총장은 ”삼육대에서 젊음을 바친 헤일리 선생은 대학이 재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함으로써 대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우리 대학의 은인“이라며 ”선교사로서 보여주신 열정과 도전 정신, 충성된 청지기 정신, 무아적 봉사, 근면과 성실은 우리 모두의 귀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선생께서 뿌리신 헌신의 씨앗들이 계속해서 더욱 풍성한 결실로 이어지도록 우리 모두 최선을 다해 뛰겠다“고 말했다.

미국에서도 헤일리 선생의 추모예배가 열린다. 오는 29일 오전 11시 앤드류스한인교회에서 거행될 예정이다. 제 총장이 대학 구성원을 대표해 참석한다.

  • 담당부서
    학과 사무실
  • 전화번호
    02-3399-1654
최종수정일 : 202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