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소개

[2025학년도 기준] 교과목 정보는 입학년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교과목 정보는 교무처 학사지원팀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동물생명자원학개론 Ⅰ(Concep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동물자원과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원의 산업적 활용 방법에 대해 습득하고. 동물이 번식하고 미래세대에 유전자의 전달기회를 얻으려는 개체간의 경쟁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교육한다.

일반생물학(General biology)

생명현상의 이해, 생명체의 기본단위인 세포의 구조와 기능, 생리학적 경로, 유전적 분자체계, 생명공학과 인류의 미래에 대한 개괄적인 지식을 교육한다.

동물자원진로탐색(Research of animal resources career)

동물산업 전반에 관한 주요 현안을 배우고 학생들의 진로로 선택하고자 하는 산업의 현황을 파악한 후 동물산업 전반에 관한 주요 현안을 준비하여 진로를 명확하게 설정한다.

세포생물학(Cell biology)

세포의 생리적 특성, 세포의 구조, 세포속의 세포소기관, 환경과의 상호작용, 세포의 분열과 죽음에 이르는 세포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동물생리학(Animal physiology)

신체가 세포로부터 조직, 조직으로부터 기관, 기관으로부터 기관계에 걸쳐 어떻게 작용하는지와 생물체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활동을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세포수준과 분자수준에서 이해하고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교육한다.

동물번식생리학(Anmal breeding and physiology)

가축의 번식 생리, 번식기관, 번식에 관여하는 호르몬에 대하여 학습한다.

동물위생학(Animal sanitary science)

동물의 건강유지에 필요한 기본 위생 관리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동물해부생리학(Animal anatomy and physiology)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형태학적 기본을 토대로 여러 동물의 특징적 구조를 비교하여 종별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동물행동학(Animal behaviour)

동물의 보호와 보전, 이용 및 관리를 위해 동물행동에 대한 이해 및 동물과 환경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내용과 동물의 행동이 그들이 살아가는데 어떠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 관찰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반려동물관리학(Management of companion animal)

반려동물에 대한 특성 및 품종, 질병, 사양관리 등에 대하여 학습하여 효과적인 반려동물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지식을 함양

일반화학 및 실험(General Chemistry & Experiment)

화학의 기본원리, 화학양론, 화학결합, 물질의 성질과 구조와의 관계, 화학반응속도, 열역학법칙, 화학천평, 분자운동론 및 용액론 등을 강의하고, 일반화학 기초 실험을 실시한다.

펫푸드 실습(pet food practice)

반려동물 푸드 영양학 및 수제간식 창업에 필요한 전문지식을 교육한다. 반려동물의 영양식이요법으로 건강한 문화를 고취한다.

동물복지학(Animal welfare)

동물보호법의 취지를 이해하고 동물의 생명보호, 안전 보장 및 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한다.

동물영양학(Animal Nutrition)

동물에 필요한 영양소 종류와 화학적 특성, 대사작용 및 소화생리에 관련된 기초이론을 강의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동물사육을 위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반려동물미용(Companion Animal cosmetology)

반려동물의 일상적 위생관리에 요구되는 기술을 익히고 이를 통해 돌봄 관리에 필요한 응용력을 배양한다.

분석화학(Analytical chemistry)

분석화학 분야의 제반 원리들에 대한 화학적 이해를 증진하고, 실제 응용사례들을 통하여 정량분석화학의 기본 개념들을 습득한다.

분자생물학(Molecular biology)

유전자의 구조와 조성, 작용 및 조절기전 등을 이해시키고, 또, 동물의 생명 활동과 변이현상 등에 대해 강의하여 동물생명공학의 기본적인 이론은 물론, 첨단 생명공학의 응용기술과 산업적 활용을 위한 기초지식을 강의한다.

실험통계 및 데이터분석 실습(Experimental statistics & practice)

현상에 관련된 이론은 경험적 검증과정을 통해서 현실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적 개념, 적용, 해석 등의 과정을 이해하여 SPSS 통계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증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야생동물관리학(Management of wild animals)

자연생태계와 특수동물들의 서식지의 관리 및 보호에 대한 기본 개념과 관리와 보호를 위한 서식지 조성, 관리 및 유치 부양을 위한 이론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일반생태학(General ecology)

생태계의 구성 요소와 기능, 생물과 환경, 개체군 특성, 군집 구조, 군집 변화, 에너지흐름, 물질순환 등의 생태적 지식을 학습한다.

대동물학(Large Animals)

젖소, 비육우, 말의 선발, 개량, 육종, 소화생리, 사양관리, 번식 및 생활환경 등을 이해시켜 대동물에 대한 이론과 기술을 폭넓게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교육한다.

동물계통분류학(Animal phylogenetic systematics)

동물계통분류학의 중요성과 다양한 동물의 특징을 인식하고 계통분류학과 진화학의 관계를 이해하고 동물계통분류의 바이오마커를 인식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도시생태학(urban ecology)

환경오염의 종류 및 복원 기술, 환경오염이 생태계 전반에 미치는 악영향, 생태에 관한 일반지식 및 생태계 변화요인을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이상적인 생태도시를 만들 수 있는 기초적 지식을 교육한다.

반려동물훈련(Companion animal training)

동물의 본능적 습성과 반려동물의 행동을 이해 하고, 반려동물의 본능적인행동이 인간과의 커뮤니 케이션을 통해 변화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습득한다

사료학 및 실험(Feed & Experiments)

동물 사료로 활용할 수 있는 농후사료, 조사료, 보조사료 및 첨가제 등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하여 강의하고, 이들 사료의 영양적 특성과 가치, 동물별 급여수준 결정방법 그리고 소화율 개선을 위한 사료제조 및 가공처리방법 등을 교육한다.

생물정보학(Bioinfomatics)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와 특성을 고찰하고 그 데이터베이스들에서 단백질의 특성 및 역할을 예측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응용화학(Applied chemistry)

화학연구 중 화학물질과 화힉과정에 대한 지식을 실용적으로 이용하는 원리를 습득하고, 원료물질을 화학적으로 생산하거나 공업제품을 개발, 연구, 통제하는 지식을 습득한다

특수동물학(Special animal science)

특수동물들의 서식지의 관리 및 보호에 대한 기본 개념과 번식, 질병, 영양, 습성 등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다

동물산업마케팅론(Animal industry marketing)

동물산업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마케팅 활동의 내용, 수행방법 및 의사 결정 과정과 방법 등을 학습하고 기업의 장기적인 이윤 추구에 필요한 마케팅을 기획․연구할 수 있도록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동물연계 과학수사 기법 연구(Research of Animal linkage scientific investigation technique)

과학수사 기법에 관한 연구로 체취선별을 하기 위한 특수목적견의 훈련 및 관리 그리고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동물질병학

동물질병학(Animal disease)

동물에서 발생되는 각종 질환과 전염병의 조기 발견법과 질병의 원인, 증상 및 치료방법을 습득한다.

분자계통학(Molecule systematics)

생명 유연관계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과 개념들을 현대적 과학 수준 관점에서 정리하고 교육한다.

사료 영양분석 및 실험(Analysis of Animal Feed & Experiment)

동물 사료 분석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최신 분석 응용기술을 강의하고 실험을 통하여 현장에서 직접 이용 가능한 기술들을 습득시킨다.

중소동물학(Medium & Small Animals)

닭, 돼지, 면양. 산양 및 토끼 등에 관한 품종, 개체별 특성, 번식, 영양 및 소화생리를 이해하고 이들 동물들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는 적절한 사양관리를 교육한다.

행동생물학(Behavioral biology)

동물행동의 관찰과 기록을 바탕으로 행동이 일어나는 메카니즘, 행동의 적응적인 의의, 행동의 개체 발생, 행동의 계통 발생 등의 관련된 내용을 교육한다.

현장실습 Ⅰ(Field practice 1)

동물관련 산업 현장에서 주어진 업무를 지시에 따라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현장실습 Ⅱ(Field practice 2)

산업현장에서 직접 직원으로서 업무 등을 체험하고 제안서 작성 및 현장 맞춤형 업무수행 능력을 배양한다.

동물산업학(Animal industry)

동물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통해 동물자원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경영 능력을 배양한다.

동물생태학(Animals ecology)

동물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과 생존경쟁뿐만 아니라, 어떤 행동이 미래의 번식성공도를 높이는가를 개체 간 경쟁을 통한 유전자의 개념에서 교육한다.

동물유전학(Animal genetics)

유전학의 기초와 기본개념 및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응용사례 및 최신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반려동물학(Companion animal science)

반려동물 선진국으로 향상할 수 있는 동물학 전공 전문가로서 연구해야 할 기초적인 지식에서부터 국내외적으로 추구하는 연구 방향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교육한다.

복원생물학(Conservation biology)

서식지와 생태공간의 보전과 관리복원의 지식을 통해 복원 자체가 생태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생물 종 수준에서 주요한 생태적 원리를 습득한다.

생태복원학(Restoration of ecology)

생태복원의 동향과 특징들을 배우고 이러한 이론들을 통해 종합적 접근으로 생태복원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수의간호학 및 실습(Veterinary Nursing & Practice)

동물병원을 운영하는 수의사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고객 및 동물의 간호를 전담할 수의 간호사의 역할을 현장에서 실습을 통하여 익히기 위하여 실시한다.

동물산업과 경제(Animal industry & economy)

다양한 농산물의 생산, 유통 및 소비할 수 있는 기초 이론을 다루고, 수익 달성을 위한 경제성 분석 능력을 배양함

동물산업세미나(Animal industry seminar)

동물 관련 제반 산업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 및 그 산물에 대해 학생들이 자료를 수집, 분석, 정리하여 발표하고 토론한다.

동물산업창업실무(Animal industry start business)

동물 관련 제반 산업 분야에서 관심 있는 창업 아이템에 대한 조별 팀티칭을 통해 아이디어 발굴 및 실현화 능력 배양함.

동물재활관리(Animal rehabilitation management)

반려동물에게 운동계획을 수립하고 운동실시 방법의 선택을 위해서 반려동물의 움직임과 관련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역량 습득한다.

일반조류학 및 실습(Ornithology for Watching & Practice)

관상조류 및 야생조류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행동들을 생리학적 수준에서 분석하고, 최근 급변하고 있는 환경 속에서 조류의 분류방법 및 미래의 환경을 예측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환경화학(Environmental chemistry)

동물과 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환경오염물질들의 성질과 그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작용들을 알아보고, 이를 위해 그 물질들을 구성하는 성분과 상태를 파악하고 그 과정들에서 각 구성 성분이 물질의 변화 과정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학습한다.

  • 담당부서
    동물자원과학과 사무실
  • 전화번호
    02-3399-1761, 1764
최종수정일 : 202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