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필수

기초교양

비교과운영 테이블입니다.
교과목명 학점 교과목 소개
그린교육 (Manual Labor) 1
땅을 일구고 씨를 뿌려 수확하며 자연의 법칙 속에서 산교훈을 배우고 신체적, 정신적, 영적으로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법을 체험함.
나눔실천자연에서 노동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고 공동체 활동을 통한 인내심과 협동심을 계발로 하위역량인 “협업능력” 역량을 함양한다.
지역사회공헌 1
봉사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과 함양과 실천반향을 제시하고 기본지식을 전달한다. 사회봉사의 개념 및 의의 봉사 대상자의 특성 실천의 기본자세를 학습하고 실천현장에서 봉사활동을 시작하여 사회적 책임을 깨닫고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주체로서 사회 변화와 발전에 앞장서는 역할을 경험한다.
나눔실천봉사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을 기르고 사회봉사의 개념 및 실천의 기본자세를 학습하면서 사회적 책임을 깨달음으로 하위역량인 “나눔창출” 역량을 함양한다.
사고와 표현 (Thoughts & Expressions) 3
글로컬 사회의 이슈들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혜를 함양할 수 있도록 사고와 표현을 학습하고, 고등교육 기관인 대학의 학습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대학교 글쓰기와 말하기 능력을 실제적으로 학습한다. 이와 같은 이해와 실습의 과정을 통해 교양인으로서의 보편적 지식 함양과 더불어 대학생의 지적 탐구를 뒷받침하는 전문적 글쓰기 능력과 의견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소통글로벌사회와 지역사회의 이슈들을 이해하고 다양한 글읽기, 글쓰기, 토의․토론을 통해 사고와 표현능력을 키워 하위역량인 “자기표현” 역량을 함양한다.
글로컬영어Ⅰ,Ⅱ (Glocal English Ⅰ,Ⅱ) 6
영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중점을 두고 말하기, 쓰기, 읽기, 듣기의 영역을 모두 다룸으로써 통합적인 사고능력을 향상시킨다. 일상생활과 또는 국제 업무 등에 필요한 언어적, 비언어적인 기술과 말하기 능력, 발표능력을 지속적으로 훈련하여 다양한 주제의 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영어구사능력을 향상시킨다.
글로컬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일상생활 또는 국제업무 등에 필요한 실용영어 능력을 키워 하위역량인 “국제감각” 역량을 함양한다.
인생설계와 진로Ⅰ,Ⅱ (Life Design & careerⅠ,Ⅱ) 2
진로를 탐색하고 설계하는 과정으로 자신의 전공과 역량을 파악한 후 자신에게 맞는 비전, 직업을 설계하여 목표에 따라 로드맵 설계 및 탐색활동 프로젝트를 참여하는 교과이다.
자기주도대학생활과 진로설정을 위한 자기 탐색의 과정으로 하위역량인 “목표설정 ” 역량을 함양한다.
컴퓨팅 사고력 3
학문활동에 보편적으로 요구되며 일상생활에서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컴퓨터와 정보기술의 기본 원리와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 그 활용능력을 함양하는 교과이다.
자기주도논리적 추론과 문제해결 기술에 컴퓨팅의 지식을 적용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문제정의와 대응해법을 발견, 개념화를 연습하여 하위역량인 “자기조절” 역량을 함양한다.

필수(P)과목

비교과운영 테이블입니다.
구분 교과목명 학점 비고
필수 (P) 채플 P 1학년∼4학년 1학기(7학기까지 이수)
흡연음주예방교육(비교과로 운영) P 1-1 또는 1-2

핵심교양Ⅰ

비교과운영 테이블입니다.
교과목명 학점 교과목 소개
종교와 인생 (Religion and Life) 2
인간은 동물과 달리 본능이 아닌 이성에 의해 도덕적 선택을 하는 자율적 존재이다. 본 과목은 이런 인간의 도덕성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실제 삶에 적용해본다.
시민의식인간의 고유한 본성인 종교심을 탐구하고, 기독교적 관점에서 종교가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하위역량인 “정직” 역량을 함양한다.
인성과 사회 (Humanity and Society) 2
사람마다 개인의 경험과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가치들은 각기 다를 수 있으나 다양한 인생의 가치들이 우리를 행복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인생의 가치들을 살펴봄으로 우리 인생에서 바른 행복을 경험하는 것이 본 교과의 목적이다.
자기주도인생의 가치를 설정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참된 인성과 역할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하위역량인 “자기이해” 역량을 함양한다.
생활과 윤리 (Life and Ethics) 2
동·서양 윤리의 이론을 시작으로 삶 속에서 접하는 성, 결혼, 자살, 인간관계, 정치, 경제, 인공 지능, 생명과학, 환경과 관련된 윤리들을 다루며 이에 대한 기독교적인 관점도 제시한다. 다양한 윤리적인 이론과 관점을 이해해 보며 삶 속에서 접하는 여러 윤리적인 문제에 대해 가장 합리적이며 가장 바람직한 원칙이 무엇인지를 이해해 보는 것이 본 교과의 목적이다.
시민의식삶 속에서 접하는 윤리적인 문제에 대해 가장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원칙이 무엇인지 이해하며 하위역량인 “준법성” 역량을 함양한다.
역사와 문화 (History and Culture) 2
글로벌시대에 지성과 인성을 갖춘 세계 교양인을 양성하기 위해 인류와 세상의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이 교과의 목적이다. 세계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여러 시각 가운데 기독교 세계관이 추구하는 선적 역사관에 입각하여 히브리 문명에서부터 고대 오리엔트 문명과 헬라 및 로마 문명, 중세의 역사와 문명, 근대의 역사와 문명, 역사의 종말과 탈근대시대 등을 살펴본다.
글로컬세계화시대 걸 맞는 지성과 인성을 갖춘 교양인을 양성하기 위해 인류의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배우며 하위역량인 “다문화이해” 역량을 함양한다.

핵심교양Ⅱ (인성교양)

핵심교양 ∥ 테이블입니다.
교과목명 학점 교과목 소개
건강원리와 실제 (Health Principles & Practices) 3
건강원리 중심의 이론적 학습과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신체활동프로그램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도모한다.
자기주도건강원리 중심의 이론적 학습과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신체활동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도모하여 하위역량인 “자기이해” 역량을 함양한다.
결혼과 가족관계 (Marriage & Family Relationship) 3
약혼에서 결혼, 신혼생활, 성숙한 부부 생활에 이르기까지 전반을 법학, 의학,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가정학, 신학, 종교교육학 등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소통대학생 남녀의 사랑과 결혼의 의미를 인생론적 관점에서 생각해보고 대인관계를 통해 결혼과 가정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하위역량인 “타인이해’ 역량을 함양한다.
경전의 지혜 (The Wisdom of the Scripture) 3
도교경전인 노자의 도덕경과 장자의 남화경, 유교경전인 맹자와 중용, 그리고 가장 많은 사람이 읽은 성경의 가르침을 비교하여 현대인의 삶의 가치와 존재의 의미를 재조명 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창의적사고중국의 역사와 고전 속에 숨겨진 고전적 사상과 성서에 나타난 사상을 비교함으로 현대인의 삶의 가치와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여 하위역량인 “통합적 사고” 역량을 함양한다.
고대도시문명의 이해 (Understanding Ancient City Civilizations) 3
성경에 나타난 고대 도시를 고고학적, 건축적, 도시적, 성경적 맥락에서 분석하여 도시가 가지고 있는 성서적 건축적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한다.
창의적사고고대도시를 고고학적, 건축적, 도시적 맥락에서 분석하여 도시가 가진 성격을 파악함으로 하위역량인 “통합적 사고” 역량을 함양한다.
교양인 화법과 태도 (Cultural Expression & Attitude) 3
배려와 존중의 인성요소가 인간관계형성에 매우 중요하다는데 초점을 두고 교양인으로서 바람직한 화법과 태도를 가르치고 실천하게 하여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게 하는데 목적을 둔다.
시민의식교양인으로 갖추어야할 바람직한 화법과 태도를 학습하고 실천함으로 하위역량인 “정직” 역량을 함양한다.
교육고전과 인성 (The Understanding of Classical Education books) 3
동서양의 탁월한 교육사상가들의 통찰과 지혜를 통해 이 시대에 필요한 교양인으로서의 시대와 삶을 바라보는 통찰 및 교육적 안목의 형성을 체험한다.
시민의식동서양 교육사상가들의 통찰과 지혜를 통해 이 시대 필요한 교양인으로서의 삶을 통찰하고 안목을 형성하여 하위역량인 “정직” 역량을 함양한다.
다문화와 사회통합 (Multiculturalism and Social Integration) 3
급증하는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북한이탈주민 등에 의해 형성된 한국의 전반적인 다문화 현상을 다루는 과목으로서 우리와 다른 문화 구성원들에 대한 개방성과 수용성을 늘리고 원활한 관계적 소통을 함양하는데 목표가 있다.
시민의식한국 다문화 현상의 개방성과 수용성을 확대하고 원활한 관계적 소통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하위역량인 “사회참여” 역량을 함양한다.
대인관계 심리학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
대인관계 형성을 위한 심리학적 탐색과 효과적인 대인관계 훈련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대인관계 훈련을 통하여 학생들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통건강한 대인관계 형성을 위한 심리학적 탐색과 훈련을 통하여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켜 하위역량인 “타인이해” 역량을 함양한다.
로마인의 삶과 교육 (Life and Education of the Romans) 3
신양성서 로마서 연구를 통해 로마시대 생활상과 그리스도인의 신앙을 이해하여 성숙한 삶의 방향을 모색한다.
시민의식고대 로마인들의 삶과 교육을 성서학적 측면에서 이해하여 하위역량인 “정직” 역량을 함양한다.
문학과 종교적 상상력 (Literature and Religious Imagination) 3
문학(영상문학 포함) 속에 나타난 종교적 상상력을 통해 인간 삶에 대한 이해와 삶의 비전을 읽는다.
창의적사고문학에서 종교적 상상력을 이해하고 예술적 감성과 종교적 통찰을 도출함으로 하위역량인 “통합적 사고” 역량을 함양한다.
미디어로 보는 일본 (Japanese in Media) 3
일본의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종교, 스포츠 등의 일본사정을 미디어로 소개한다. 한국의 사정과 비교하여 양국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그 장점을 살려 세계에 봉사하는 삼육 인재를 육성하고 독도 문제, 위안부 문제, 징용공문제 등 왜곡된 역사인식이 만연한 일본의 과거와 현재를 파악하고 그들을 대할 수 있도록 한다.
글로컬일본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종교, 스포츠 등 전반에 걸친 사정을 미디어를 통해 이해하며 하위역량인 “다문화이해” 역량을 함양한다.
비즈니스 윤리 (Business ethics) 3
오늘날 많은 기업들의 경영 활동의 규범적 기준을 사회의 윤리적 가치체계에 두고 있는지 탐구하고 윤리를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 및 시대의 흐름을 분석한다. 아울러 개인의 윤리에 대해 고찰한다.
시민의식기업의 경영윤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변화 양상을 살펴봄으로 하위역량인 “준법성” 역량을 함양한다.
사회적 돌봄과 나눔실천 (Social care and sharing practice) 3
Interprofessional Care(IPC/다전공 연계돌봄)는 돌봄과 관련한 다양한 전문적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하여 일상 수준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와 개별적 접촉을 통한 서비스에 비해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수업에서는 이론 및 실습 교육을 통해 돌봄 부족으로 일어나는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고, 돌봄의 의미, 돌봄윤리와 정의를 설명하고 사람중심의 돌봄실천 기술을 습득한다.
나눔실천각종 지역사회 문제를 전공과 연계한 봉사프로그램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을 키우고 나눔 문화를 확산함으로 하위역량인 “나눔창출” 역량을 함양한다.
서양 철학과 초월적 사유 (Western Philosophy and Transcendental Thoungt) 3
오늘날 서양 문화의 기반이 된 서양철학과 기독교적 사유가 결합된 주요 고전을 함께 살펴보고, 그것의 현대적 의미를 반추해본다.
시민의식서양 중세와 근대에 기독교 신앙과 철학이 어떻게 융합해서 독창적 사유를 이뤘는지 사상적 배경을 먼저 살펴보고 하위역량인 “정직” 역량을 함양한다.
성서행복학 (Biblical Happiness Theory) 3
1) 삶의 목적으로서의 참된 행복에 대한 지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2) 행복한 삶을 위한 실제적인 실천 과제를 부여하여 행복한 삶의 가치를 실천하도록 한다.
3) 행복의 철학적 개념과 함께 성서적 의미와 교훈을 숙지한다.
나눔실천참된 행복에 대한 철학적 개념과 성서적 의미를 이해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실제적인 과제를 통해 행복한 삶의 가치를 실천하는 하위역량인 “사회적 책임” 역량을 함양한다.
세계문화와 종교 (Culture & Religion of the World) 3
인간본성의 결과물로서의 세계 종교들을 살펴봄으로써 타 종교와 문화를 이해한다.
1) 종교 이해를 통해 문화를 이해한다.
2) 대학생으로서 필요한 교양을 쌓는다.
3) 나의 종교뿐 아니라 타인의 종교를 이해한다.
글로컬세계 종교들을 살펴봄으로 나와 다른 타종교와 문화를 이해하여 하위역량인 “다문화이해” 역량을 함양한다.
소그룹 리더쉽Ⅰ,Ⅱ(Small Group & Leadership) 3
교회성장에 있어서 소그룹 활동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소그룹을 이끌고 배가시키기 위한 원리와 방법을 연구한다.
자기주도공동체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소그룹 활동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소그룹에서의 리더의 역할과 자질을 학습하여 교내 소그룹 활동을 직접 기획하고 체험함으로 하위역량인 “자기이해” 및 “목표설정” 역량을 함양한다.
숨 쉬는 자연속 공감디자인 (Empathy design in breathing nature) 3
창조 과정에 나타난 디자인적 특성과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의 일상생활과의 디자인적 연계를 통해 창조요일별 특성에 대한 내용을 공감하고 이해한다. 디자인은 인간생활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넓히고 보다 신속·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시각디자인, 인간생활의 발전에 필요한 제품 및 도구를 보다 다량으로, 완전하게 생산하기 위한 공공(제품)디자인, 그리고 인간생활에 필요한 환경 및 공간을 보다 적합하게 만들기 위한 환경디자인 등으로 나누어진다. 빛으로 시작되어 전달되는 시각・제품・환경디자인이 어떤 다양한 요소들의 디자인으로 적용되고, 이러한 디자인을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는 배려와 나눔으로 경험하고자 한다.
소통창의적인 자연 속 디자인을 통해 인간생활을 보다 편리하고 아름답게 만드는 것을 추구하여 하위역량인 “자기표현” 역량을 함양한다.
시민윤리 (Civic Ethics) 3
인간의 도덕성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실제 삶에 적용한다.
시민의식인간의 도덕성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탐구하고 실제 삶에 적용하여 하위역량인 “정직” 역량을 함양한다.
영어로 읽는 예수의 사상 (Learning the Thoughts of Jesus in English) 3
예수 그리스도의 사상을 영어로 학습함으로써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을 배워서 익힘과 동시에 영어문법과 어휘, 독해 등의 실력을 향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시민의식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을 학습하고 모방하며 영어 능력을 향상함으로써 스스로 이웃 사랑을 나누는 삶을 통해 하위역량인 “사회참여” 역량을 함양한다.
영화읽기와 감정수업 (Lessons on Film Reading and Emotion) 3
21세기 제4차 산업혁명 사회는 인성이 중요한 사회적 자산으로 부각될 것이다. 인공지능이나 사물인터넷 사회에서 인간은 어떠한 위치와 상황에 놓이는가를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 것은 중요하다. 현재 인간이 겪는 문제와 앞으로 겪을 문제들을 영화를 통해서 이해하고, 성숙하고 아름다운 인간이 되는 길을 모색한다.
시민의식영화읽기를 통해 다양한 인간의 감정들을 이해하고 타인과 행복하게 사는 감정에 대해 성찰하며 하위역량인 “사회참여” 역량을 함양한다.
예비부모교육 (Prospective Parent Education) 3
예비부모가 될 대학생들에게 부모로서 준비할 수 있는 지식, 기술, 태도를 길러주어 향후 성공적인 가정을 꾸리게 하고, 나아가 행복사회 실현을 도모하도록 하고자 한다.
소통부모의 역할과 준비단계를 학습하여 성공한 가정을 이루고 나아가 행복한 사회를 도모하기 위해 하위역량인 “공감능력” 역량을 함양한다.
음악교육과 나눔실천 (Music Education & Sharing Practice) 3
다양한 교수학습모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음악교육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활용하면서 예술교육 패러다임에 적합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나눔을 실천한다.
나눔실천다양한 교수학습모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예술교육 패러다임에 적합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나눔을 실천하는 하위역량인 “나눔창출” 역량을 함양한다.
인간과 행동과학 (Humans and Behavioral Science) 3
경영학을 연구하고 학습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강한 조직을 설계하고 만드는 것이며, 이를 통해 조직 전체의 유효성과 능률성을 제고시킴은 물론 조직구성원들의 삶의 질이나 만족감,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간행동에 대한 깊은 이해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경영자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기르고, 강한 조직을 설계하고,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조직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인간행동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를 통해 미래를 설계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목표가 있다.
창의적사고인간의 행동이 일어나는 원인을 유전적․환경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하위역량인 “통합적 사고” 역량을 함양한다.
인권과 시민교양 (Human Rights & Civic Refinement) 3
인권은 인간이 누릴 수 있는 보편적인 권리이다. 오늘날 이러한 사고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에도 실제 사안에 당면했을 때에는 무엇이 인권이고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해야 할지에 대해서 견해대립이 존재한다. 인권에 대한 깊이 있는 철학적 사회학적 고찰을 통해 인권의 역사적/이론적인 문제들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민의식헌법 및 국제인권법상 인권의 역사와 이론을 학습하고 인권문제의 실제 사안을 철학적․사회학적으로 깊이있게 고찰하여 하위역량인 “사회참여” 역량을 함양한다.
지구의 기원 (The Origin of the Earth) 3
창조론은 종교적 신앙의 영역이고 진화론은 경험적 과학인가. 달걀과 닭의 선후 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과학과 성경에 기초하여 과학적 사실과 해석을 이해하고 새로운 세계관을 형성한다.
창의적사고지구의 기원을 과학과 성경에 기초하여 과학적 사실과 해석을 이해하여 하위역량인 “통합적 사고” 역량을 함양한다.
창세기와 고대역사 (Studies on Genesis & History) 3
창세기에 나타난 하나님의 창조 사역을 통해 우주와 생명을 창조하시고 인류의 역사 속에 개입하신 하나님의 활동을 살펴 봄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존재와 사랑의 속성, 그리고 인류를 향한 그분의 뜻과 목적을 깨닫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시민의식창세기를 통한 인류의 역사 속에 개입하신 하나님의 활동을 확인하고 이해하며 하위역량인 “사회참여” 역량을 함양한다.
채식과 건강 (A Vegetarian Diet & Health) 3
생활습관병의 증가와 고령화 현대사회에서 건강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교과목으로 채식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균형진 채식의 식생활로 생활습관병을 예방하여 건강한 생활을 유지한다.
자기주도채식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균형진 채식의 식생활로 생활습관병을 예방하여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여 하위역량인 “자기이해” 역량을 함양한다.
타자성의 철학 (Philosophy of Otherness) 3
최근 우리나라는 타자 ‘혐오’의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가 왜 타자를 혐오하는지를 철학적으로 접근하여 혐오의 근원과 바탕이 되는 감정들을 분석해내고, 우리가 타자를 배척하는 사람이 아니라 타자를 향해 나아가는 인성을 갖춘 MVP 인재가 되는 데 목적을 둔다.
소통타자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 스스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타자와 소통하고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여 하위역량인 “타인이해” 역량을 함양한다.
합창과 인성 (Chorus and Personality) 3
교회 합창을 통해 영적 성장과 인성의 바른 형성을 가져올 수 있다.
소통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인 음악(합창)을 매개로 조화로운 연합과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을 터득하여 하위역량인 “타인이해” 역량을 함양한다.
현대사회와 그리스도인 책임 (Modern Society & Christian’s Resposblity) 3
21세기 인류사회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국제적인 분쟁, 문명의 충돌, 환경의 파괴로 인한 지속가능성의 위기, 질병과 재난,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신제국주의, 인권과 세계평화 문제, 사회 윤리적 파괴와 탈근대주의 등등. 우리가 처해 있는 21세기 현대사회 문제들과 그 이슈들을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그리고 그리스도교 세계관적 관점에서 해법을 모색하고 대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시민의식현대사회 문제들을 살펴보고 그리스도인으로서의 관점과 책임, 해법을 모색함으로 하위역량인 “정직” 역량을 함양한다.
  • 담당부서
    교양교육원
  • 전화번호
    02-3399-1924
최종수정일 :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