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소개(6년제)

[2025학년도 기준] 교과목 정보는 입학년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교과목 정보는 교무처 학사지원팀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약무행정(Administrative Pharmacy)

사회약학은 의약품의 전 주기에 관련된 사회적 현상과 영향을 경제학, 경영학, 사회학, 행태학, 보건학 등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본 과목은 사회약학의 여러 영역 중 보건의료체계 및 약무관련 정책에 대해 학습한다.

약사윤리 및 커뮤니케이션(Ethics for pharmacists & Health communication)

약학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가치관의 공존으로 인해 보건의료분야의 윤리 영역도 생명윤리, 의료윤리, 보건의료윤리 등으로 세분화되고 있다. 우수약무를 수행하기 위해 약학분야에서 마주치게 되는 윤리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관련 이슈 및 쟁점에 대해 학습한다. 약료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접하게 되는 대상(환자/환자보호자, 동료 약사, 다른 전문가 직능)에 따라 적절한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한다.

약학개론(Introduction to Pharmacy)

약학의 필수과목들을 개괄적으로 학습하고 상호관계에 대해 강의한다.

약학통계 및 실습(Statistics for Pharmacy)

통계학의 기본적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표본분포, 구간추정, 검정, 단순회귀분석, 범주형 자료의 분석 등을 학습한다.

일반생물학 Ⅰ(General Biology Ⅰ)

생물체의 일반구조와 기능, 생식과 발생, 생태 및 유전에 관한 전반적인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한다.

일반생물학 Ⅱ(General Biology Ⅱ)

생물체의 일반구조와 기능, 생식과 발생, 생태 및 유전에 관한 전반적인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한다.

일반생물학 실험(Experiments in General Biology)

생명과학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실험으로, 전반적인 생물학의 개념을 실험을 통해 습득한다.

일반화학 Ⅰ(General Chemistry Ⅰ)

화학의 기본원리, 원자의 구조 및 주기율표의 의미를 이해하고 물질의 상태에 관한 이론과 화학반응속도론, 산화환원의 개념, 전기화학, 열화학, 방사능을 간단히 소개하고 각 물질의 성질, 구조, 제법 등을 습득한다.

일반화학 Ⅱ(General Chemistry Ⅱ)

화학의 기본원리, 원자의 구조 및 주기율표의 의미를 이해하고 물질의 상태에 관한 이론과 화학반응속도론, 산화환원의 개념, 전기화학, 열화학, 방사능을 간단히 소개하고 각 물질의 성질, 구조, 제법 등을 습득한다.

일반화학 실험(Experiments in General Chemistry)

일반화학의 기본 원리들을 적용하여 물질의 성질을 익히고 제조 및 축정, 분석 실험을 통하여 자연현상의 과학적 취급과 살험실의 주의사항을 익힌다.

물리약학 Ⅰ(Physical Pharmacy Ⅰ)

약학 분야에서 필수적인 물리화학 분야를 중점적으로 강의하여 모든 약학의 응용과목을 이론적으로 해석 발전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강의한다.

물리약학 Ⅱ(Physical Pharmacy Ⅱ)

약학 분야에서 필수적인 물리화학 분야를 중점적으로 강의하여 모든 약학의 응용과목을 이론적으로 해석 발전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강의한다.

분자생물학(Molecular Biology)

세포의 구성성분을 분자수준에서 조사하고 각 구성성분들, 특히 단백질과 핵산의 생합성에 대해 연구하며 유전자의 구조와 복제, 발현, 조절, 수복 및 재조합 등에 대해 살펴본다.

약용식물학(Medicinal Botany)

약용식물의 형태와 분류, 자원, 성분, 약효 및 기원 식물의 감별 등을 강의한다.

약학실험 Ⅰ(분석, 물리)(Lab in Pharmacy Ⅰ - Pharmaceutical Analysis, Physical Pharmacy)

약품분석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혼합 화합물 또는 의약품의 성분 분리와 확인 및 함량분석 실험을 실시하고, 또한 의약품의 물리화학적 물성 이해에 필요한 실험기술을 실시하여 물리약학의 응용분야를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유기화학 Ⅰ(Organic Chemistry Ⅰ)

생명체의 구성성분인 유기화합물의 화학적 구조, 분류 및 명명법과 지방족 화합물에서 방향족 화합물까지의 구조와 성질을 이해하여 유기화합물을 확인하는 분광학적 방법과 유기물 반응의 메커니즘 및 유기합성 등을 습득한다.

유기화학 Ⅱ(Organic Chemistry Ⅱ)

생명체의 구성성분인 유기화합물의 화학적 구조, 분류 및 명명법과 지방족 화합물에서 방향족 화합물까지의 구조와 성질을 이해하여 유기화합물을 확인하는 분광학적 방법과 유기물 반응의 메커니즘 및 유기합성 등을 습득한다.

의약품분석학 Ⅰ(Pharmaceutical Analysis Ⅰ)

물질의 구성성분을 물리․화학적 방법으로 분리, 확인 및 그 정량법에 대한 고전적 이론과 나아가 크로마토그래피법과 분광분석법의 원리와 응용을 익혀서 원료 의약품 및 의약품제제의 분석 및 품질관리에 대한 응용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의약품분석학 Ⅱ(Pharmaceutical Analysis Ⅱ)

물질의 구성성분을 물리․화학적 방법으로 분리, 확인 및 그 정량법에 대한 고전적 이론과 나아가 크로마토그래피법과 분광분석법의 원리와 응용을 익혀서 원료 의약품 및 의약품제제의 분석 및 품질관리에 대한 응용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해부생리학 Ⅰ(Human Anatomy and Physiology Ⅰ)

인체의 구조, 형태 및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며 신체 각 부분들이 어떻게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써 그 지식을 이용하여 질병의 본체를 이해하여 인간의 건강증진을 향상시키는 원동력이 되도록 한다.

해부생리학 Ⅱ(Human Anatomy and Physiology Ⅱ)

인체의 구조, 형태 및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며 신체 각 부분들이 어떻게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써 그 지식을 이용하여 질병의 본체를 이해하여 인간의 건강증진을 향상시키는 원동력이 되도록 한다.

감염미생물학(Infectioun Disease and Microbiology)

감염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성 미생물의 종류와 특성, 발생 질환의 특징, 치료 및 예방법의 지식을 학습한다.

면역학(Immunology)

항체의 구조, 생성, 항원항체반응, 면역유전, 면역응답의 유전자(gene) 등에 대해 강의한다.

방사선의약품학(Radiopharmaceutics)

원자핵의 구조, 방사선의 성질, 방사선 동위원소 및 진단과 치료목적의 방사성의약품을 다룬다.

병태생리학 Ⅰ(Pathophysiology Ⅰ)

질병의 원인, 발병기전, 형태학적 및 기능적 변화, 임상증상 및 합병증을 연구하여 질병의 본체를 인식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병태생리학 Ⅱ(Pathophysiology Ⅱ)

질병의 원인, 발병기전, 형태학적 및 기능적 변화, 임상증상 및 합병증을 연구하여 질병의 본체를 인식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사회약학(Administrative and Managerial Pharmacy)

사회약학은 의약품의 전 주기에 관련된 사회적 현상과 영향을 경제학, 경영학, 사회학, 행태학, 보건학 등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본 과목은 사회약학의 여러 영역 중 근거중심약학, 경제성평가, 약물역학, 경영관리에 대해 학습한다.

생약학 Ⅰ(Pharmacognosy Ⅰ)

인류의 질병 치료를 위해 유사 이래 그 사용이 전해져 내려오는 생약에 관한 개념 확립과 역사에 대해 학습하며 생약에서 주요한 활성을 나타내는 2차대사산물의 종류와 개별 화합물들의 식물 내 생합성에 관한 지식을 학습한다. 신의약품의 소재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다양한 생약의 학명 및 성상, 그리고 주요 함유성분과 그 약리활성에 관한 내용을 각론의 내용으로 심화학습한다.

생약학 Ⅱ(Pharmacognosy Ⅱ)

인류의 질병 치료를 위해 유사 이래 그 사용이 전해져 내려오는 생약에 관한 개념 확립과 역사에 대해 학습하며 생약에서 주요한 활성을 나타내는 2차대사산물의 종류와 개별 화합물들의 식물 내 생합성에 관한 지식을 학습한다. 신의약품의 소재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다양한 생약의 학명 및 성상, 그리고 주요 함유성분과 그 약리활성에 관한 내용을 각론의 내용으로 심화학습한다.

신경과학(Neuroscience)

뇌를 포함한 모든 신경계(중추, 말초신경계)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으로 신경계의 구조, 기능, 진화, 발생, 유전학, 생화학, 생리학, 약리학, 병리학 등을 광범위하게 공부하고 이해하는 과목이다

신약개발방법론(Methodology for New Drug Development)

신약개발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신약후보물질 발굴에서부터 제약학적 개발단계 및 독성학 등의 전임상 시험 및 임상시험에 있어 임상개발의 단계, 계획, 수행, 및 결과 분석과 보고, 모니터링, 윤리적 이슈, 규제과학 등의 이론 및 방법론을 강의한다.

약물경제성평가의 이해(Basic Pharmacoeconomics)

약이 건강보험에 등재되고 적정 약가를 받기 위해서는 신약의 비용효과성에 대한 가치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강좌는 의약품의 효과 대비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과정과 방법을 다루는 과목으로, 비용효과분석, 비용효용분석 및 비용최소화분석, 비용편익분석 등의 이론을 포함한다. 또한 성과 자료 분석을 위한 임상문헌의 고찰 및 분석, 비용 산출을 위한 비용자료 구득 및 분석 방법, 할인율, 불확실성을 평가하는 민감도 분석을 이해하도록 한다.

약품미생물학(Pharmaceutical Microbiology)

미생물학의 기초 지식을 습득시켜 약품 미생물학 및 첨단 과학분야인 유전공학으로의 응용과정을 강의한다.

약품생화학 Ⅰ(Pharmaceutical Biochemistry Ⅰ)

화학의 지식과 방법을 사용하여 생명체를 이해한다.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핵산 등의 생체물질의 구조와 기능을 강의하고 생체내 물질대사, 효소작용와 대사물과의 관계 및 대사조절을 강의한다.

약품생화학 Ⅱ(Pharmaceutical Biochemistry Ⅱ)

화학의 지식과 방법을 사용하여 생명체를 이해한다.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핵산 등의 생체물질의 구조와 기능을 강의하고 생체내 물질대사, 효소작용와 대사물과의 관계 및 대사조절을 강의한다.

약학실험 Ⅱ (생약, 병태)(Lab in Pharmacy Ⅱ – Pharmacognosy, Anatomy & Physiology)

생약의 외부형태적 식별, 내부구조의 현미경적 감별, 화학반응에 의한 확인 및 유효 성분의 추출, 분리 동정 정량 등의 방법을 익혀 생약품질을 평가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활성물질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를 양성한다. 또한,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실험을 통하여 이해하며 염증, 대사이상, 내분비이상 등 질환으로 야기된 병리상태에 대해 실험을 통해 이해를 돕는다.

약학실험 Ⅲ (생화, 미생)(Lab in Pharmacy Ⅲ - Pharmaceutical Biochemistry, Pharmaceutical Microbiology)

생화학의 기초적인 실험기술을 습득시켜 생화학의 이해을 돕고 나아가서 약물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생화학적 면에 역점을 두고 실습한다. 또한, 미생물에 관한 제반 기초지식을 효율적으로 습득시키기 위해서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미생물을 배양하고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성장을 실험을 통해 이해한다.

임상화학(Clinical Chemistry)

질병의 진단 및 진행정도를 정량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혈액 생화학적 검사, 뇨 검사의 측정 항목 및 그 수치 변화가 의미하는 바를 강의함으로써 의약분업에 따른 약사의 전문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약산업학(Industrial Pharmaceutics)

제약산업학이란 신약개발, 약효시험, 약물송달 등 산업약학 전 분야를 포함하는 교과과정이다.

한약학개론(Introduction to Herbal Medicine)

생약의 일부인 한약을 과학적으로 다루기 위해 한의약학의 역사 및 그 기초이론을 현대 의약학에 접목시키고자 노력하는 기본과목이다.

EBP방법론(Methodology of Evidence-Based Practice)

과학적 임상연구를 통해 얻은 증거를 토대로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된 진단과 중재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건강기능식품(Health Functional Food Science)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건강 기능성 식품의 정의와 법적 내용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에서 생산, 유통되는 건강 식품류의 유형을 분류하여 개개 식품을 구체적으로 강의한다.

바이오의약품학(Biopharmaceutical Drug)

바이오 의약품이란 크게 단백질의약품, 항체치료제,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백신 등으로 나누며, 주로 항암제, 호르몬, 혈액제제, 성장인자, 치료용 항체 등을 포함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지식기반 의약품이다. 본 과목에서는 바이오의약품의 종류와 특징, 전반적인 개발방법 및 제조기술, 그리고 활용에 대해서 학습함으로써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의 기본적인 내용을 습득하고자 한다.

약리학 Ⅰ(Pharmacology Ⅰ)

질병의 예방 및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들의 생체 내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 등 약물의 체내 동태와 생체에 대한 약물의 작용기전, 효능, 독성 및 임상응용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약리학 Ⅱ(Pharmacology Ⅱ)

질병의 예방 및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들의 생체 내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 등 약물의 체내 동태와 생체에 대한 약물의 작용기전, 효능, 독성 및 임상응용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약물역학의 이해(Basic Pharmacoepidemiology)

보건분야에서 응용되는 역학의 개념, 역할, 범위 및 방법론 등 역학의 기본개념을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약물역학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의약품 사용관련 문제의 발생과 이와 연관된 원인간의 인과성을 평가하고 관련 정책의 평가에서 역학이 어떻게 응용되는지 학습한다.

약물유전학(Pharmacogenomics)

약물유전체학은 치료 반응에 있어서 유전적 차이에 기초한 개별적 차이를 연구하는 과학적 분야이다. 이 과정을 통해 다양한 약물의 대사, 분포 및 약리작용에 미치는 개인적인 차이와 맞춤형 치료에 기여하는 약물유전체학의 역할을 공부한다.

약제학 Ⅰ(Pharmaceutics Ⅰ)

약학의 전반지식을 응용하여 의약품의 조제 및 제제에 대한 조작법과 이에 관계되는 이론을 강의한다.

약제학 Ⅱ(Pharmaceutics Ⅱ)

약학의 전반지식을 응용하여 의약품의 조제 및 제제에 대한 조작법과 이에 관계되는 이론을 강의한다.

약학실험 Ⅳ (합성, 약제)(Lab in Pharmacy Ⅳ - Drug synthesis, Pharmaceutics)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주요 유기, 무기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토대로 구조-약효의 상관관계를 이해한다. 또한, 약제학 실험은 의약품의 조제 및 제제의 제법 및 실험법에 대해 실습한다.

약학실험 Ⅴ (예방, 약리)(Lab in Pharmacy Ⅴ - Preventive Pharmacy, Pharmacology)

예방약학 및 보건위생에 관련되는 식품, 수질, 기능성 식품 공기 등의 이화학적, 세균학적 검사법 실험을 통하여 위생적 적부를 판정할 수 있는 능력을 실습한다. 또한, 각종 약물의 생체 반응을 실험동물과 배양된 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함으로써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 등의 약물의 체내 동태에 대한 실험 방법과 약물의 효능 검색 및 독성실험에 대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수행 능력을 배양한다.

예방약학 Ⅰ(Preventive Pharmacy & Public Health Ⅰ)

건강 기능 식품을 비롯한 일반 식품, 식품첨가물 및 잔류물이 인체 보건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식품과 의약품의 상호작용에 관하여 강의한다.

예방약학 Ⅱ(Preventive Pharmacy & Public Health Ⅱ)

건강 기능 식품을 비롯한 일반 식품, 식품첨가물 및 잔류물이 인체 보건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식품과 의약품의 상호작용에 관하여 강의한다.

의약품품질과학(Quality Control of Drug)

의약품의 개발 및 생산을 위한 품질관리와 품질보증을 위하여 우수의약품제조기준(GMP)과 밸리데이션 등의 이론과 기준 등이 소개되고 이를 위한 시험관리, 안정성시험 및 품질평가방법, 정보관리 및 자료처리의 기법 등을 학습한다.

의약품합성학 Ⅰ(Medicinal and Pharmaceutical Chemistry Ⅰ)

유기와 무기약품합성의 이론과 응용을 강의하며 유기와 무기의약품개발에 관한 학문적인 것과 합성전략에 관한 방법을 강의한다. 유기 및 무기의약품을 실제로 합성을 할 때의 문제점 또한 공부하여 합성상의 기술적인 면과 이론적인 것을 비교 토론한다.

의약품합성학 Ⅱ(Medicinal and Pharmaceutical Chemistry Ⅱ)

유기와 무기약품합성의 이론과 응용을 강의하며 유기와 무기의약품개발에 관한 학문적인 것과 합성전략에 관한 방법을 강의한다. 유기 및 무기의약품을 실제로 합성을 할 때의 문제점 또한 공부하여 합성상의 기술적인 면과 이론적인 것을 비교 토론한다.

임상면역학(Clinical Immunology)

생체 내 방어기전의 작용양식, 질병에 의한 면역기전의 변화, 면역유전학, 면역 기전의 이상에 위한 질병, 면역치료에 대해 배운다.

임상바이오의약품(Clinical Biopharmaceuticals)

바이오의약품 관련 기술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한 생화학적 지식에 대해서 강의하여 바이오 의약품 연구 개발 능력을 배양한다.

임상실무약학(Clinical Pharmacy Practice)

필수실무실습 및 심화실무실습에 들어가기 전 우수하고 자립심이 있는 실습자로서 환자치료의 책임감과 전문성을 숙달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약사로서의 기본 소양실습, 기본임상실습, 약제기본 조제실습, 전문지식 활용실습, 실무실습 계획 등을 익히고자 한다.

임상약동학(Clinical Pharmacokinetics)

약물의 체내동태에 관한 이론을 이해하여 임상영역에서 적정한 약물요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약물의 체내 동태, 즉 흡수(absorption), 분포 (distribution), 대사(metabolism) 및 배설 (excretion)에 대한 이론을 숙지한다.

한약제제(본초·방제학)(Prescription of Herbal Medicines and Medicinal Herbology)

질병을 정확히 진단하여 治法을 확실하게 정한 후 그 治法이 규정하고 있는 일반적인 규칙에 따라 만든 처방을 연구하는 학문을 가리키는 것으로 중의서적에 근거한 방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독특하게 개발되고 창제된 이론에 의하여 질병치료에 적용되었던 경험적 처방까지도 포함시켜 연구하는 학과목이다. 한약(한의약학의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천연물 또는 가공된 약재를 혼합 조제하여 투여되는 약물)을 구성하는 개별 약물인 본초의 기원, 채취, 포제, 성미, 효능 주치 및 응용방법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감염치료학(Infectious disease)

항생제의 합성, 응용, 부작용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기초약무(Foundations of Pharmacy Practice)

필수실무실습 및 심화실무실습에 들어가기 전 우수하고 자립심이 있는 실습자로서 환자치료의 책임감과 전문성을 숙달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약사로서의 기본 소양실습, 기본임상실습, 약제기본 조제실습, 전문지식 활용실습, 실무실습 계획 세우기 등을 익히고자 한다.

독성학(Toxicology)

독성물질의 기원, 물리화학적 성질, 생체에 대한 작용과 그 기전, 흡수, 분포, 대사, 배설, 중독의 예방 및 해독 작용, 약물의 위해작용과 관련된 임상에서의 주의 사항 등에 대해 강의한다.

동물의약품학(Veterinary Pharmacy)

동물의약품의 최적 사용을 위해 반려동물 및 산업동물의 대표적인 질환을 이해하고 동물용 의약품의 작용기전과 약리작용을 학습한다.

보건·의약관계법규(Pharmaceutical Regulation and Ehtics)

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마약, 향정신성 약물의 제조, 조제, 감정, 보관, 수입, 판매와 기타 약학 기술에 관련된 사항을 규제한 법령을 이해시켜 약사로서 업무상 과오가 없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준법을 통해서 밝고 명랑한 사회의 건강 수호자로서 이바지하게 한다.

생물약제학(Biopharmaceutics)

약물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생물학적 효과와의 관계를 공부하는 약제학의 한 분야이다. 생체막의 기능부터 약물의 흡수와 제어, 약물의 분포, 대사, 배설 등 생물 약제학 전반을 강의한다.

약물송달학(Principles of Drug Delivery System)

몸 안으로 약을 송달한다는 새로운 개념을 물건이라는 형태로 구체화하여 약물을 정밀하게 투여하고자 하는 Drug Delivery System(DDS)이 지닌 중요한 기능인 생 체내 장벽 투과성 제어, 약물방출의 제어, 표적지향 등을 공부한다.

약물치료학 Ⅰ(Pharmacotherapy Ⅰ)

약사의 직능인 의약품 사용의 전 과정을 관장해 최적의 약물사용으로 환자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약물사용의 합리성을 기하는데 집중되고 있으며,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임상지식과 약물치료법에 대한 포괄적인 전문지식을 갖추기 위하여 질환별 병리기전과 진단기법, 약물치료 등을 숙지하고자 한다.

약물치료학 Ⅱ(Pharmacotherapy Ⅰ~Ⅳ)

약사의 직능인 의약품 사용의 전 과정을 관장해 최적의 약물사용으로 환자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약물사용의 합리성을 기하는데 집중되고 있으며,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임상지식과 약물치료법에 대한 포괄적인 전문지식을 갖추기 위하여 질환별 병리기전과 진단기법, 약물치료 등을 숙지하고자 한다.

약물치료학 Ⅲ(Pharmacotherapy Ⅰ~Ⅳ)

약사의 직능인 의약품 사용의 전 과정을 관장해 최적의 약물사용으로 환자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약물사용의 합리성을 기하는데 집중되고 있으며,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임상지식과 약물치료법에 대한 포괄적인 전문지식을 갖추기 위하여 질환별 병리기전과 진단기법, 약물치료 등을 숙지하고자 한다.

약물치료학 Ⅳ(Pharmacotherapy Ⅳ)

약사의 직능인 의약품 사용의 전 과정을 관장해 최적의 약물사용으로 환자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약물사용의 합리성을 기하는데 집중되고 있으며,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임상지식과 약물치료법에 대한 포괄적인 전문지식을 갖추기 위하여 질환별 병리기전과 진단기법, 약물치료 등을 숙지하고자 한다.

약학연구와 세미나 Ⅰ(Pharmaceutical Research and Seminar Ⅰ)

최근의 연구동향, 연구과제나 개인별 특별 주제, 또는 마지막 학기에 수행되는 연구 논제에 관한 내용을 발표하고 질의응답, 연구 전망에 대하여 주제 토론을 갖는다.

약학연구와 세미나 Ⅱ(Pharmaceutical Research and Seminar Ⅱ)

최근의 연구동향, 연구과제나 개인별 특별 주제, 또는 마지막 학기에 수행되는 연구 논제에 관한 내용을 발표하고 질의응답, 연구 전망에 대하여 주제 토론을 갖는다.

의약품제조관리학(Pharmacopoeia)

의약품품질관리를 위한 공정서인 대한약전의 원리와 세부기준규격 등을 소개하고 의약품의 품질관리에 필요한 시험기준 및 분석방법 등을 학습한다.

의약화학(Medicinal Chemistry)

의약화학자들은 약물이 생체 내에서 나타내는 약리효과를 분자적 차원에서 규명하고, 화학구조와 생리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정립하여 화합물을 분자적 수준에서 설계하고 합성한 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들의 생리효과를 검색한다. 따라서 의약화학은 의약품합성화학을 바탕으로 약리학 효소학, 생화학 등 인접한 과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발전하는 학제간 융합학문이라 볼 수 있다.

제약공학(Pharmaceutical Engineering)

제약공학이란 약제학의 기본 지식을 배경으로 공학과 약학의 복학적인 학문으로 효율적인 신약개발, 제제공정, 제약마케팅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조제학(Dispensing Pharmacy)

조제 기초 및 임상약제학, 의약품, 약물의 특성 및 효과 등을 폭넓게 공부한다.

천연물의약품학(Natural Medicines in Clinical Practice)

천연물 유래 단일성분을 활용한 의약품 및 복합성분 추출물의약품의 개발역사, 합성과정, 생합성 경로 등과 효능과 작용기전, 주의 및 부작용 등 장차 임상에서 사용되어지는 천연물의약품의 지식습득과 앞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천연물유래 의약품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함에 그 목적이 있다.

향장품학(Cosmetic Chemistry)

화장품, 향수, 피부․머리칼․몸 관리용품들의 제조 및 개발과정, 보관 및 유통 등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지역약국-필수실무실습(Compulsory Pharmacy Experimential Practice)

필수실무실습은 이론적인 약학지식을 습득한 학생이 의료현장에서 약사로서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습득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실무실습을 수행하도록 한다. 실습현장은 지역약국, 의료기관, 행정기관, 제약회사 및 연구기관이다.

의료기관-필수실무실습(Compulsory Pharmacy Experimential Practice)

필수실무실습은 이론적인 약학지식을 습득한 학생이 의료현장에서 약사로서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습득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실무실습을 수행하도록 한다. 실습현장은 지역약국, 의료기관, 행정기관, 제약회사 및 연구기관이다.

행정기관-필수실무실습(Compulsory Pharmacy Experimential Practice)

필수실무실습은 이론적인 약학지식을 습득한 학생이 의료현장에서 약사로서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습득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실무실습을 수행하도록 한다. 실습현장은 지역약국, 의료기관, 행정기관, 제약회사 및 연구기관이다.

제약산업-필수실무실습(Compulsory Pharmacy Experimential Practice)

필수실무실습은 이론적인 약학지식을 습득한 학생이 의료현장에서 약사로서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습득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실무실습을 수행하도록 한다. 실습현장은 지역약국, 의료기관, 행정기관, 제약회사 및 연구기관이다.

연구-필수실무실습(Compulsory Pharmacy Experimential Practice)

필수실무실습은 이론적인 약학지식을 습득한 학생이 의료현장에서 약사로서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습득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실무실습을 수행하도록 한다. 실습현장은 지역약국, 의료기관, 행정기관, 제약회사 및 연구기관이다.

연구-심화실무실습(Advanced Pharmacy Experimential Practice)

필수실무실습을 이수한 학생에게 전문성 강화를 위한 혁신적인 전문임상실무실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다양한 specialty 분야에서 학생의 특성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분야를 학생이 선택하여 실습할 수 있도록 한다.

지역약국-심화실무실습(Advanced Pharmacy Experimential Practice)

필수실무실습을 이수한 학생에게 전문성 강화를 위한 혁신적인 전문임상실무실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다양한 specialty 분야에서 학생의 특성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분야를 학생이 선택하여 실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의료기관-심화실무실습(Advanced Pharmacy Experimential Practice)

필수실무실습을 이수한 학생에게 전문성 강화를 위한 혁신적인 전문임상실무실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다양한 specialty 분야에서 학생의 특성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분야를 학생이 선택하여 실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약산업-심화실무실습(Advanced Pharmacy Experimential Practice)

필수실무실습을 이수한 학생에게 전문성 강화를 위한 혁신적인 전문임상실무실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다양한 specialty 분야에서 학생의 특성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분야를 학생이 선택하여 실습할 수 있도록 한다.

행정기관-심화실무실습(Advanced Pharmacy Experimential Practice)

필수실무실습을 이수한 학생에게 전문성 강화를 위한 혁신적인 전문임상실무실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다양한 specialty 분야에서 학생의 특성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분야를 학생이 선택하여 실습할 수 있도록 한다.

내분비학(Endocrinology)

내분비학은 호르몬과 관련된 신체의 내분비계 기능, 이상 및 질환에 대해 다루는 교과목입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내분비계의 생리학적 기전, 내분비 질환의 병태생리, 진단 및 치료 접근법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내분비계 질환의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적인 약물 치료와 환자 관리 역량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둡니다.

비처방약물치료학(Non-Prescription Pharmacotherapy)

비처방약물치료학은 약국에서 제공되는 일반 의약품 및 비처방 약물의 적절한 사용과 환자 상담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교과목입니다. 이를 통해 약물의 안전한 사용을 돕고, 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항생물질학(Antibiotics)

감염질환의 치료제인 항생제 도입은 인류의 생명을 연장시키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하여 왔다. 본 교과과정에서는 이러한 감염병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물질의 정의, 역사, 분류, 작용기전, 감수성시험법, 항생물질에 대한 세균의 내성기전, 임상적응증 및 부작용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여 항생제 사용 또는 신규 항생제 개발과정에 참여하는 약사에게 필요한 지식을 전달하고자 한다.

의약빅데이터와 AI(Pharmaceutical Big Data and AI)

본 교과목은 의약 분야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의약품 개발, 질병 진단 및 예측 등 실제 사례를 학습하며,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합니다.

졸업논문(Graduation Thesis)

본 교과목은 학부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학생들이 전공 분야의 심화된 지식을 바탕으로 독립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논문 형태로 작성하여 학문적 성과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학생들은 연구 주제를 선정하고, 문헌 조사, 연구 설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결과 해석 등의 과정을 통해 학문적 탐구 능력을 배양합니다.

최종수정일 :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