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강 ‘채식주의자’를 에코페미니즘 교육 텍스트로

2025.02.10 조회수 262 커뮤니케이션팀
share

김봉근-이건호 교수 공동연구
세계적인 환경교육 저널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게재
“삼육대 채식 문화에 새 패러다임 제시”

▲ (왼쪽부터) 삼육대 교목처 BFFL 센터장 김봉근 교수(제1저자), 상담심리학과 이건호 교수(교신저자)

삼육대 교목처 BFFL 센터장 김봉근 교수(제1저자)와 상담심리학과 이건호 교수(교신저자)가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를 에코페미니즘 교양교육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연구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게재해 주목된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가 “삼육대가 지향하는 채식 문화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논문은 세계적인 환경교육 저널인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환경교육연구; IF=2.6, Q1)’에 ‘Exploring Han Kang’s the vegetarian as a text for ecofeminism and sustainability in liberal arts education(교양교육에서 에코페미니즘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텍스트로서 한강의 『채식주의자』 연구)‘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논문 바로가기)

에코페미니즘은 여성 억압과 환경 파괴가 동일한 지배 구조에서 비롯됐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젠더 정의를 함께 강조하는 사상이다. 특히 기후위기 시대에 불평등한 환경 피해를 조명하며 대안적 생태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강의 연작소설 『채식주의자』 중 첫 번째 단편인 「채식주의자」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연구진은 이 작품을 통해 △동물(자연)에 대한 인간의 폭력성 성찰 △채식주의를 통한 여성에 대한 사회적 억압 고찰 △인트라커넥티비즘(intraconnectivism) 개념을 통한 타자의 이해 등 세 가지 주제를 도출하고, 이를 대학 교양교육에서 3차시 과정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했다.

▲ 소설가 한강(오른쪽)과 『채식주의자』 커버. 이미지=창비

스무 살부터 채식을 실천해 왔다는 김 교수는 삼육대의 채식 문화와 그 가치를 고민하던 중, 2016년 한강이 『채식주의자』로 맨부커상을 수상한 것을 계기로 이 주제를 연구하겠다고 결심했다. 이후 이건호 교수가 UN의 지속가능성 개념을 접목하면서 연구가 환경교육의 주제로 확장됐으며, 지난해 말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과 시기를 맞춰 연구 결과를 발표하게 됐다.

김 교수는 삼육대 브랜드전략실 커뮤니케이션팀과의 인터뷰에서 “120여 년 전 이 땅에 삼육대를 세운 재림교회는 19세기 이후 인류의 종말론적 삶을 위해 여러 유익한 가치를 주창했다”면서 그 대표적 예로 채식과 안식일 문화를 들었다. 이어 “문제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정신으로 이러한 가치를 현대 사회에 맞게 유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며 “그때 비로소 우리는 유의미한 가치들을 세대론적으로 계승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현재 영국 에딘버러대에서 롱디스턴스 조직신학 박사과정(연구주제: 종말론적 정치신학)으로 두 번째 박사학위 공부를 하고 있다. 김 교수는 “오늘날 채식의 의미는 단순히 건강을 넘어, 종말론적 환경 문제와 생태 위기에 맞물리면서, 정치적인 비폭력주의와 페미니즘과 같은 주제로 매우 폭넓게 확장되고 있다”며 “이번 연구를 계기로 삼육대에서 ‘채식의 날’과 같은 작은 이벤트에서부터 교수와 학생이 여러 학문 분야에서 함께 채식의 시대적 의미를 연구하는 학술대회까지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제해종 총장 겸 미래사회와기독교연구소장은 “이번 연구는 삼육대가 채식과 지속가능성이라는 가치를 학문적으로 조명하는 중요한 사례로, 환경과 인류의 미래를 고민하는 데 의미 있는 기여를 할 것”이라며 “삼육대는 앞으로도 채식의 시대적 의미를 알리고 젊은 세대에서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삼육대 BFFL(Biblical Foundation of Faith and Learning) 교내연구과제’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글 하홍준 hahj@syu.ac.kr

ⓒ 삼육대학교 브랜드전략실 커뮤니케이션팀 supr@syu.ac.kr

  • 담당부서
    상담심리학과 사무실
  • 전화번호
    02-3399-1679
최종수정일 :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