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소개

[2025학년도 기준] 교과목 정보는 입학년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교과목 정보는 교무처 학사지원팀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체육사(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체육사는 고대에서부터 오늘날까지 체육의 변천 모습을 돌이켜보고, 각 시대의 체육관이나 그 방법 등에 관련된 시대적·사회적 배경 등을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현재의 체육 상황을 명확히 인식하여 이를 바탕으로 장래를 현명하게 통찰하는 능력을 육성하고자 한다.

스포츠생물학(Sports Biology)

인체의 세포에서 개체에 이르기까지 구조 및 기능을 과학적으로 학습하여 생명현상의 기전을 이해하며, 장기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질병의 발생기전을 이해시하고, 건강관리에 필요한 기본 지식을 습득한다. 인체의 골격계, 근육계, 신경계, 내분비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비뇨기계 등의 해부학적 측면과 영양과 에너지대사, 물질수송, 면역체계, 생체의 항상성 유지 등의 생리학적인 측면을 습득함으로써 생명현상의 본체를 이해하도록 한다.

인체해부학(Human Anatomy)

스포츠 활동의 근본이 되는 인체의 해부학적 이론과 이에 수반되는 인체해부학의 구조를 스포츠의 생리학적 또는 물리학적 측면에 응용토록 하며, 제반 스포츠과학의 기초가 되는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운동생리학(Exercise Physiology)

인체의 구조와 기능이 단기간 또는 장기간 운동 수행 시에 나타나는 그 적응과 변화에 대한 생리학적 기전을 학습하며, 임상 스포츠의학과 운동처방 프로그램작성에 응용 할 수 있도록 한다.

트레이닝방법론(Training Methodology)

운동생리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경기력향상과 컨디셔닝을 위한 지식과 방법을 습득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선수의 부상예방과 기능향상뿐 아니라 일반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체력향상방법을 학습한다.

스포츠 영어 Ⅰ(Sports EnglishⅠ)

체육학과 전공 분야와 관련된 전공용어와 전공원서 등을 쉽게 익히기 위한 기초과정을 학습한다.

스포츠 영어 Ⅱ(Sports English Ⅱ)

체육학과 전공 분야와 관련된 전공용어와 전공원서 등을 쉽게 익히기 위한 기초과정을 학습한다.

운동역학(Sports Biomechanics)

신체구조의 물리학적, 역학적 원리를 소개하고, 운동수행과 관련된 근육 및 골격계의 움직임을 운동의 역학적 관점에서 이해하여 운동 수행에 이를 적용하는 능력을 키운다. 이에 인체의 움직임과 관련된 역학적 요인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그 요인들과 운동과의 관계를 동작의 효율성 및 안전성 증진의 관점에서 다룬다.

스포츠사회학(Sports Sociology)

스포츠가 사회발전에 미치는 지대한 영향력을 학습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사회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생활체육지도자로서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미래지향적인 입장에서 연구하여 생활체육 문화발전에 기여토록 강의한다.

스포츠심리학(Sports Psychology)

스포츠 활동 중에서 심리학적 배경과 깊이 관련되는 내용을 다루며 신체의 성장발달, 운동 기능의 발달, 학습방법 등을 학습한다.

체육측정평가(Measurement & Statistics)

전공학습 및 훈련 방법의 성과를 평가하며 보다 효과적인 학습방법으로 모색하기 위해 체격 및 체력, 운동소질 등의 측정에 관한 이론과 실습, 그리고 얻어진 자료의 통계처리방법과 그 결과를 합리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스포츠교육학(Sports Pedagogy)

체육의 본질 파악과 이해를 증가시키며 원리의 바탕인 철학을 배경으로 체육의 입장을 이해하고 체육지도자로서의 기본문제를 학습한다.

스포츠영양학(Sports Nutrition)

경기력 향상을 위해 스포츠에 영양학적 원리를 적용하는 학문으로 운동선수의 성별, 연령, 체중, 스포츠 종류와 강도 및 시간 등을 고려한 영양섭취와 열량소비의 균형에 관한 지식을 학습한다.

스포츠의학(Sports Medicine)

각종 스포츠 및 신체활동 중의 부상과 회복 등에 관련하여 학습하며, 응급처치 및 성인병 질환 등에 대한 운동요법 등을 강의한다.

병태생리학(Pathology)

현대인들은 대부분이 다양한 질환들로 인하여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약물 복용과 함께 운동을 수행할 때 주의할 사항과 그 병태적인 영향에 대하여 학습한다. 병태생리학은 인체의 비정상적인 구조와 생리기능에 의해 초래되는 질병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질병을 인체의 각 기관계에 따라 분류하며 이들 각 질병에 대한 정의, 원인, 발병기전, 경과, 증상 및 징후, 진단, 예후, 합병증 등을 이해하도록 한다.

운동처방론(Exercise Prescription)

운동은 건강관리에 있어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중재수단으로 인정되고 있다. 건강한 사람은 건강을 지키고, 질병이 있는 사람은 건강을 찾을 수 있는 있는 운동방법을 습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임상증상에 따른 운동유형, 강도, 시간, 빈도 등 구체적인 프로그램작성과 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건강 및 체력평가(Health & Fitness Assessment)

적절한 운동처방은 올바른 측정과 평가를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를 바르게 해석해야 한다. 이에 건강과 체력에 대한 측정, 평가, 해석능력을 함양하는데 학습목적이 있다. 본 교과는 운동 검사의 수행을 위해 운동 검사의 일반적 원리와 운동 검사 방법 및 절차, 운동 검사 시 유의사항 등 건강운동관리사의 기본역량을 육성하고자 한다.

운동건강심리학(Exercise Health Psychology)

건강운동심리학은 건강의 향상과 유지뿐 아니라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관한 사회-심리적 관계를 연구하며, 스포츠 장면에서의 인간행동을 분석, 이해하고 예언하며, 통제하는 과학으로서 스포츠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의 원리와 기술을 제공하려는 학문이다. 따라서 심장병과 행동유형, 스트레스와 신체질병의 관계, 건강을 저해하는 생활양식 등에 관심을 갖는 것과 함께 성격, 동기, 불안 등 개인이 지닌 심리적 요인과 집단응집, 리더십, 사회적 촉진 등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에 관하여 학습한다.

선수트레이닝론(AT)(Athlete Training Theory (AT))

팀 스포츠의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많은 사람으로 구성된다. 구러한 사람들은 선수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가지고 있는 트레이너, 코치 그리고 팀 주치의다. 선수트레이너는 스포츠를 사랑하고 즐겨야 하며, 그 속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포용할 수 있는 인내력과 재치 그리고 건강함을 갖은 체육인재를 양성한다.

운동상해와 테이핑(Exercise Injury & Taping)

생활체육지도자, 운동지도사, 스포츠코치, 건강관리사, 퍼스널트레이너들에게 필요한 운동상해 예방 및 치료의 기본 원칙과 함께 인체 부위별 근관절 상해 예방, 운동상해별 응급처치 및 치료를 위한 운동방법을 이해하고 예방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다.

스포츠체형관리지도(Sports Type Management Map)

자세, 행동, 식생활 등을 분석하여 올바른 체형을 갖추기 위한 원인을 도출하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상담과 지도 및 교정을 할 수 있다.

스포츠마사지(Sports Massage)

스포츠마사지는 운동 선수의 근육을 훈련과 경기에 적합하도록 준비시키고, 운동 후 피로 회복을 위하여 마사지하는 처치로 선수들의 경기력과 관련된 컨디셔닝을 위한 방법들을 학습한다.

스포츠 응급처치(Sports Aids)

각종 신체활동중의 부상과 회복 등에 관련하여 학습하며, 응급처치 및 성인병 질환 등에 대한 운동요법 등을 강의한다.

스포츠경기분석(Analysis of sports games)

선수들의 운동하는 동작을 영상으로 기록하여 그 영상을 과학적인 분석 통하여 팀의 전술을 평가하고 발전시키며 선수 개개인 사소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고 분석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 기초통계방법을 기본적으로 습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운동 경기에서 생성되는 양적자료를 분석하며, 운동경기의 과학적인 내용분석, 체계적인 기록 방법 그리고 컴퓨터화된 경기 분석 시스템에 대하여 이해한다.

코칭론(Coaching Theory)

다양한 선수들과의 의사소통 및 코칭 능력 배양하고, 스포츠 기술 및 전술 지도방법을 배양한다.

스포츠경영학(Sports Management)

스포츠를 매개로 하는 모든 사업과 활동을 합리적으로 관리, 운영하기 위한 마케팅, 조직·인사관리, 재무관리 등에 관한 경영원리를 학습한다.

스포츠마케팅(Sports Marketing)

오늘날 사회변동에 따른 스포츠의 변화 경향을 관찰하고,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스포츠마케팅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학습을 통해 소비자 만족 중심의 스포츠 프로그램에 대한 마케팅이론 및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스포츠행정실무관리(Sports Administration Practice)

학과의 높은 취업률을 위하여 기업 및 체육회 임원들을 초청하여 직접 실무를 경험해 보고 현장에서 필요한 교육을 프로그램화 하여 교육하며 학교 및 학과의 취업률 향상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스포츠정책론(Sports Policy)

스포츠기관의 조직과 정부 정책 방향, 관련 법률들을 통하여 스포츠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스포츠와 IT(Sports & IT)

스포츠 산업과 IT 기술이 어떻게 융합되고 있는지 더 나아가 IT 기술이 스포츠 산업에 어떠한 혁신과 변화를 주는지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향후 스포츠와 IT융합에 대해 대비할 수 있는 안목을 함양한다.

스포츠 비즈니스와 창업(Sports Business and Start-up)

스포츠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을 설명할 수 있고, 창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유아체육론(Sports for the Children)

유아의 성장 발달의 단계에 따라 운동을 통하여 지각운동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소근운동 및 대근운동의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실습한다.

노인체육론(Elder Physical education)

급증하는 고령자 사회의 노인의 건강관리와 보다 나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운동프로그램 및 신체활동의 효과 등에 관한 노인 건강증진 제반에 대하여 강의한다.

특수체육론(Adapted Physical Education)

장애인의 경우 그들이 가진 정신적·신체적 조건들로 비장애인들이 즐길 수 있는 체육활동을 하는 데 상당한 제한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발육이나 발달 이상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장애의 영역과 대상에 맞는 체육프로그램을 학습함으로 장애인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익힌다.

시니어 헬스케어프로그램개발(Elderly Healthcare)

미래사회 문제인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여 스마트헬스케어 기기 활용을 통한 노인체육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데 취지가 있으며, 노인의 전반적인 건강 및 운동프로그램을 개발 및 직접 실습하며 시대에 걸맞는 미래지향적인 체육인재를 길러낸다.

치료레크리에이션(Therapeutic Recreation)

각종의 유전적, 외상, 급 만성 질환들로 인하여 사회심리적 불안과 우울감 등으로 인하여 질환이 악화되는 것을 예방하며, 아울러 적극적으로 의료적 처치의 효과를 촉진할 수 있도록 질환자들의 정신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레크리에이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득한다.

뉴스포츠 지도법(New Sports Guidance)

최근 스포츠 참여 계층의 다양화와 대상의 증가로 보다 접하기 쉬운 스포츠인 뉴스포츠의 수요가 증대함에 따라 뉴스포츠 실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지도법을 익힘으로 생활체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육상 Ⅰ(Track & Field Ⅰ)

육상경기의 트랙종목과 필드종목 전반에 대하여 이론과 실기를 학습하고, 다른 스포츠종목의 훈련 방법에 응용과 적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육상Ⅱ(Track & Field Ⅱ)

육상경기의 트랙종목과 필드종목 전반에 대하여 이론과 실기를 학습하고, 다른 스포츠종목의 훈련 방법에 응용과 적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체조 Ⅰ(Gymnastics Ⅰ)

인체동작의 구조와 기본원리를 이해시키고 기초기술과 종합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체조의 구성방법, 지도이론, 지도법 등을 학습한다.

체조 Ⅱ(Gymnastics Ⅱ)

인체동작의 구조와 기본원리를 이해시키고 기초기술과 종합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체조의 구성방법, 지도이론, 지도법 등을 학습한다.

수영 Ⅰ(Swimming Ⅰ)

수영의 기본영법과 기술을 익히고, 인명구조기술, 수영지도법 등을 학습한다.

수영 Ⅱ(Swimming Ⅱ)

수영의 기본영법과 기술을 익히고, 인명구조기술, 수영지도법 등을 학습한다.

골프 Ⅰ(Golf Ⅰ)

골프를 즐기기 위한 어드래스, 아이언 샷, 드라이버 및 우드의 샷 등의 기초시술을 익히고 경기규칙과 예절을 학습한다.

골프 Ⅱ(Golf Ⅱ)

골프를 즐기기 위한 어드래스, 아이언 샷, 드라이버 및 우드의 샷 등의 기초시술을 익히고 경기규칙과 예절을 학습한다.

테니스 Ⅰ(Tennis Ⅰ)

테니스의 기초기술인 서브, 포핸드스트록, 백핸드스트록, 발리, 로브, 스매싱 등의 습득과 경기규칙을 이해하고 경기운영 능력과 지도방법 등을 학습한다.

테니스 Ⅱ(Tennis Ⅱ)

테니스의 기초기술인 서브, 포핸드스트록, 백핸드스트록, 발리, 로브, 스매싱 등의 습득과 경기규칙을 이해하고 경기운영 능력과 지도방법 등을 학습한다.

배드민턴 Ⅰ(Badminton Ⅰ)

배드민턴의 기초기술인 서브, 하이클리어, 헤어핀, 푸쉬, 드롭, 드라이브, 스매싱 등의 습득과 경기규칙을 이해하고 경기운영 능력 및 지도방법 등을 학습한다.

배드민턴 Ⅱ(Badminton Ⅱ)

배드민턴의 기초기술인 서브, 하이클리어, 헤어핀, 푸쉬, 드롭, 드라이브, 스매싱 등의 습득과 경기규칙을 이해하고 경기운영 능력 및 지도방법 등을 학습한다.

축구 Ⅰ(Soccer Ⅰ)

축구의 기초기술인 킥과 패스 등 실기 기술을 익히고 경기운영능력, 지도법 등을 학습한다.

축구 Ⅱ(Soccer Ⅱ)

축구의 기초기술인 킥과 패스 등 실기 기술을 익히고 경기운영능력, 지도법 등을 학습한다.

농구 Ⅰ(Basketball Ⅰ)

농구의 기초기술 연마와 전술의 이해 및 적용을 통해 실기능력을 배양하고 지도법을 학습함으로 스포츠지도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도록 한다.

농구 Ⅱ(Basketball Ⅱ)

농구의 기초기술 연마와 전술의 이해 및 적용을 통해 실기능력을 배양하고 지도법을 학습함으로 스포츠지도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도록 한다.

배구 Ⅰ(Volleyball Ⅰ)

서브, 리시브, 토스, 스파이크 등 배구의 기초기술 습득과 전술 이해 등을 통해 배구지도법을 학습함으로 스포츠지도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도록 한다.

배구 Ⅱ(Volleyball Ⅱ)

서브, 리시브, 토스, 스파이크 등 배구의 기초기술 습득과 전술 이해 등을 통해 배구지도법을 학습함으로 스포츠지도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도록 한다.

스쿼시(Squash)

스쿼시의 이론과 실기에 관한 기초이론과 실기 능력을 학습하고, 평생 스포츠로 즐길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태권도 Ⅰ(Taekwondo Ⅰ)

전통 무예인 태권도의 기본동작과 품세를 익히고, 대련을 통해 극기와 스포츠 정신을 함양한다.

태권도 Ⅱ(Taekwondo Ⅱ)

전통 무예인 태권도의 기본동작과 품세를 익히고, 대련을 통해 극기와 스포츠 정신을 함양한다.

유도 Ⅰ(Judo Ⅰ)

부드러움으로 강함을 제압하는 격투기로 예의와 올바른 스포츠정신 함양을 통해 지, 덕, 체가 균형지게 발달하도록 한다.

유도 Ⅱ(Judo Ⅱ)

부드러움으로 강함을 제압하는 격투기로 예의와 올바른 스포츠정신 함양을 통해 지, 덕, 체가 균형지게 발달하도록 한다.

스키(Ski)

스노우프로우, 스노우프로우 턴, 슈템턴, 롱던, 미들턴, 숏턴스키 등의 기초기술을 익히며 스탠다드 및 카빙의 활용과 지도법을 학습한다.

스노우보드(Snowboard)

최근 대중 레저스포츠 종목으로 견고히 자리잡아 가고 있는 스노보드의 실기 및 이론 지식 습득을 통하여 전문스포츠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능력뿐만 아니라 스노우보드를 통한 건전 여가선용 방법을 배양한다.

스케이트 Ⅰ(Skate Ⅰ)

스케이트의 이론과 실기에 관한 기초이론과 실기 능력을 학습하고, 평생 스포츠로 즐길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스케이트 Ⅱ(Skate Ⅱ)

스케이트의 이론과 실기에 관한 기초이론과 실기 능력을 학습하고, 평생 스포츠로 즐길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윈드서핑(Windsurfing)

윈드서핑의 이론과 실기에 관한 기초이론과 실기능력을 학습하고, 평생 스포츠로 즐길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수상스키(water skiing)

처음 입문하는 단계부터, 중상급 기술까지 생활스포츠 지도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배양한다.

에어로빅(Aerobics)

에어로빅 운동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학습하고, 에어로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지도자로서의 자격과정을 학습한다.

필라테스(Pilates)

필라테스 기본 동작을 학습하며, 신체자각과 자세교정 동작요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도자로서의 자격과정을 학습한다.

졸업논문/자격증취득(Graduation thesis/Acquisition of license)

졸업요건으로 이론과 실기능력 증진을 위하여 관련 요건 총합 500점 이상 취득을 교과이수 인정점수로 한다.

  • 담당부서
    체육학과 사무실
  • 전화번호
    02-3399-1691
최종수정일 : 202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