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기준] 교과목 정보는 입학년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교과목 정보는 교무처 학사지원팀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허브가든 디자인(Herb Garden Design)
허브식물의 형태와 분류, 성분, 약효 등을 강의하고 재배법과 허브정원을 디자인하는 것을 공부한다.
정원조성과 유지관리(Garden Design and Gardening)
정원을 디자인하고 주제별로 정원을 조성하며, 조성 후 식물의 건전한 발육을 돕기 위한 것과 미관을 더욱 조장시키기 위해 정원을 관리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화훼재료 및 형태학(Floriculture Materials & Morphology)
각종 화훼장식재료의 종류와 형태 갖도록 배운다.를 분류하고 습득하도록 하여 화훼장식을 하는데 충분한 지식을 갖도록 배운다.
실내식물학(Indoor Plants)
실내 그린디자인에 이용되는 관상식물의 올바른 식물명의 이해와 생육환경을 배움으로써 전문 원예디자인이 되기 위한 기초교육의 도움을 목적으로 강의한다.
관화식물학(Ornamental Flower Plants)
꽃을 관상하는 분화, 화단 및 절화 식물의 종류와 특성을 배우고, 꽃이 피는 원리를 연구하여 연중 생활 속에서 꽃을 관상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한다.
지피식물학(Ground Cover Plants)
기존의 녹화기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제약조건에 따른 식재환경의 이해와 다양한 환경에 적합한 지피식물의 선정 및 식재, 관리방법을 찾고자 한다.
기초 컴퓨터 설계Ⅰ(Basic Computer DesignⅠ)
기초적인 설계과정의 이해와 표현에 있어 그래픽의 디지털 기술적 표현방법을 배우고 익히게 된다. 학생들의 설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사고 능력을 배양시키며, 동시에 컴퓨터프로그램을 통한 다양한 표현기법을 발전시킨다. 본 수업에서는 기본적인 설계 과정을 이해하고, 가상의 공간을 설정하여 설계를 진행한다.
기초 컴퓨터 설계Ⅱ(Basic Computer DesignⅡ)
기초적인 설계과정의 이해와 표현에 있어 그래픽의 디지털 기술적 표현방법을 배우고 익히게 된다. 학생들의 설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사고 능력을 배양시키며, 동시에 컴퓨터프로그램을 통한 다양한 표현기법을 발전시킨다. 본 수업에서는 기본적인 설계 과정을 이해하고, 가상의 공간을 설정하여 설계를 진행한다.
기초설계(Basic Design)
설계에 대한 기초적 원리와 이해를 돕고 특정 공간을 표현하는 디자인 작업에서 요구되는 시각적 사고와 다양한 의사소통 수단을 익히는 수업이다. 도면 작성과 관련되는 프리핸드 및 제도 기법을 훈련하고, 구체적 형태를 만드는 다양한 표현기법을 통해서 시각적 결과물을 조형한다.
화훼디자인(Floral Design)
기초 재료, 이론, 방법론 등 기초 화훼디자인을 지도하여 플로리스트 양성의 기본기를 습득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Adobe Photoshop & Illustrator(Adobe Photoshop& Illustrator)
환경디자인에서 필요한 컬러링과 그래픽 기법을 Adobe Photoshop& Illustrator 프로그램을 통해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설계 및 공무(Design and Public works)
본 과목은 프로젝트 준비시 설계를 바탕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실시설계도면을 설계도서 작성기준에 따라 정확하게 작성하는 방법을 습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계 스튜디오(Garden Design)
공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공간의 컨셉을 설정하여 창의적인 디자인을 시각화 함으로서, 공간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환경디자인학개론(Introductory Environmental Design)
환경디자인을 배우기 위한 기초과목으로 환경과 원예 그리고 디자인에 관한 기초 지식과 이들이 각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강의한다.
환경미학(Environmental Aesthetics)
환경 속에서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미적 요소들을 인간이 심리적으로 경험하면서 상념적으로 얻어진 개념을 숙지시키고 실내원예조경이나 원예장식 및 꽃꽂이, 분재, 테라리움, 디쉬가든, 컨테이너가든, 석부작, 토피어리, 장식, 수경재배, 베란다정원, 수석, 국화재배 등 원예에 관한 모든 것들을 미학적으로 응용하도록 폭넓게 배워 독창력과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정원과 식물(Garden and Plant)
정원에 들어가는 식물 종류와 특성을 배우고, 정원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요소인 온도, 광, 수분, 토양에 대하여 배우고 실습한다.
정원설계(Garden Design)
정원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정원설계 과정에 따른 설계 및 실습을 한다.
조경관리(Landscape Management)
조경관리의 목표는 실용적으로 조경을 관리하여 이용자가 쾌적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최소의 경비와 인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본 교과목은 이러한 배경으로 수목과 시설물의 유지관리, 조경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운영관리, 이용자를 고려한 이용관리 부분으로 나누어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식재공간 및 시설물 설계1(Planting space and Facility Design 1)
조경 설계의 기본이 되는 식재 및 시설물에 대한 이해와 함께 최근 조경 트렌드를 분석하고, 여러 유형별 식재 패턴과 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설계를 습득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환경관상식물학(Environment Ornamental Plants)
조경에 이용되는 실내외 관상식물의 생리 생태특성과 재배관리 식재 방법, 원산지, 분류방법, 번식, 이용 범위 등 전반에 걸쳐 강의한다.
조경학개론(Introductory Landscape)
인간의 환경을 디자인하고 계획하는 기본 철학과 이론을 연구하며, 조경사, 조경재료, 조경디자인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익힌다.
플랜트 디자인(Plant design)
플랜트 디자인에 필요한 식물과 공간, 디자인 기본 이론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설계 도구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화훼마케팅과 창업(Floriculture Marketing & Foundation)
변화하는 화훼산업의 트렌드를 이해하고 다양한 소비자와 의뢰자, 그리고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요구에 따라 화훼산업의 빠른 전환을 통해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응하고 차별성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하여 마케팅 능력을 키운다.
스마트공간환경계획(Smart Landscape Environment Planning)
4차산업혁명 시대 스마트기술을 이용하여 공간환경계획을 이해한다, 공간환경계획분야 스마트기술 이용 사례를 조사하고, 본 교과 운영방법에 따라 실습한다.
환경녹화모형디자인(Environmental models Design of Revegetation)
산업개발로 인한 훼손된 환경을 일반조경공법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의 녹화조성 공법을 최첨단기술로 단시간 내에 생태학적으로 분석하고 녹화시킬 수 있는 기술과 방법을 연구, 지도 강의한다.
화훼장식디자인 및 제작론(Floriculture Materials & Morphology)
디자인형태와 화훼장식품의 제작기법 및 용어, 장식품의 제작 전과 후의 처리방법, 화훼장식품의 종류와 화훼장식품의 공간연출을 습득케 하여 숙달된 전문가를 양성한다.
화훼디자인디스플레이(Floral Display)
현대사회의 친환경적 라이프 스타일 트렌드에 따라 식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공간의 목적에 알맞은 실내·외 공간의 지속가능한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해와 실습 교육을 진행한다.
시공 및 적산(Estimates & Construction)
실무 조경공사에서 사용되는 시공의 기술과 단계, 재료학 그리고 시공 후 관리방안을 공정의 순서대로 학습한다. 또한 재료에 대한 기본적 이해 및 적용 능력을 배양하여, 실무능력을 함양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식재공간 및 시설물 설계2(Planting space and Facility Design 2)
조경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식재 및 시설물 설계의 실제 설계를 함으로써 현실적이고 감각적인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한다.
공간녹화디자인설계(Green Space Design Drawing)
조경건설업, 조경설계 서비스업, 조경 관리업 등 산업현장에서 녹화 디자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도면설계 및 제도능력을 배운다.
환경디자인실무(Environmental Design Practice)
본 과목은 환경 및 공간디자인의 기본적인 설계에 대한 부분을 알고 이를 실무에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무형 디자인실습을 통해 실무와 같은 도면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환경특화디자인(Environment-Specific Design)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개념과 자연 친화적인 환경특화디자인을 전반적으로 습득하게 하여 환경특화디자인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고 환경디자인이 인간 정서에 미치는 심리적 감정적 측면을 고려하여 계획 설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지도한다.
에코브랜드디자인(Eco Brand Design)
기업 경영의 핵심 키워드로 떠오른 ESG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개념을 디자인에 적용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는 디자인 전략을 배운다.
경관디자인학(Ecological Landscape)
오물 매립지나 인위적으로 파괴된 자연환경을 생태학적으로 복원하는 제반 과정과 식물을 생태적으로 배식하므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설계도면을 작성할 수 있도록 연습시킨다.
공간디스플레이디자인(Space Display Design)
공간에 대한 이해와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강의하고 실습과 project를 통해 공간디자인을 실무에서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환경심리학(Environmental Psychology)
환경심리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 연구방법을 파악하고 환경 안에서 상호작용하는 인간의 행태를 이해하고 연구하며 배운다.
조명디자인(Lighting Design)
조명의 전반적인 이론과 종류별 특성을 강의하고 다양한 디자인에서 조명의 효과 및 기능을 주지시키고 응용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도록 한다.
포트폴리오(Portfolio)
효과적인 포트폴리오 제작을 위해 포트폴리오에 대한 기본 개념, 제작과 구성원리를 이해하고 자신만의 개성있고 명확한 포트폴리오 작성을 위한 실제적 실습수업과 교수와의 논의를 통해 모의 포트폴리오를 작성한다.
색채론(Color Theory)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색채의 개념과 자연 친화적인 색채 조화론을 전반적으로 습득하도록 하며 색채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며 색채가 인간 정서에 미치는 심리적 감정적 측면을 고려하여 환경의 색채를 분석하고 인간 생활에 편안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색채 연출과 배색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지도한다.
커리어 컨설팅Ⅰ(Career Consulting Ⅰ)
환경디자인원예학과는 융복합 학문으로 다양한 진로를 설정하고 탐색할 수 있다. 전공 진로 탐색 기회를 마련하고자 다양한 전공 분야에 따른 기업체, 자격증 과정, 해외 취업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전문가 특강 및 상담을 통해 향후 진로를 설정하여 분야의 취‧창업 경로를 설계하도록 한다.
졸업작품(Graduation Exhibit)
4년간 배운 학문을 바탕으로 전공과목 중 각자가 관심 있는 분야를 선정하여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를 거쳐 제작하여 생활환경에 이바지할 수 있는 최고의 작품을 만들어 졸업전시회에 출품하여 전시한다.
현장실습, 현장견학(Travel Study)
전공 관련 현장실습 및 현장견학을 통해 교육 후 현장을 경험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공공디자인(Public Design)
실무형 디자인실습을 통해 하생이 직접 디자인 활동을 실무와 비슷한 환경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그래픽 활용능력을 최대한 상승시키고 디자인 능력을 극대화하도록 공부한다.
환경그린디자인(Environmental Green Design)
매년 새로운 주제로 이론과 스터디, 토론을 통하여 각 팀의 주제와 컨셉으로 설정하여 결과물까지 도출해내는 수업으로 큰 주제의 이론과 디자인과정을 진행하여 현장에서의 실무능력을 높이고 심화된 디자인 과정을 강의, 지도하고자 한다.
원예학개론(Introductory Horticulture)
원예작물의 분류, 환경, 재배기술, 육종, 이용 등에 관하여 개괄적으로 소개하며 종합적인 원예에 관한 이론을 배운다.
식물공장생산학(Plant Factory)
작물의 생장을 첨단 시설 속에서 재배하는 것으로 태양광병용형과 완전인공광형의 특성과 비용구조, 실제 생산의 장단점, 적용작물 등을 삼육대학교 노원삼육 에코팜센터에서 실습과 이론을 배운다.
농업기상학(Agricultural Meteorology)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기상 변화의 원리를 이해하고 작물 재배에서 기상 현상을 이해하며 첨단 도시농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상요소를 배우고 익힌다.
채소원예학(Vegetable Crops)
채소의 종류 및 생리적 특성, 육묘, 시비, 시설물 이용, 병충해 방제, 저장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채소의 종류별 재배역사, 품종 재배방법, 병해 방제, 특수재배, 생리상태 그리고 경영방식 등에 관하여 이론을 배우고 채소 작물별 실제적 재배기술을 익힌다.
토양비료학(Soil & Fertilizer)
토양의 구조와 특성을 공부하고 식물이 필요로 하는 필수 및 유익영양소의 종류와 필요 정도를 알아보며, 이들 양분의 토양 중 동태와 식물체 내의 생리적 기능, 과부족 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식물의 물질대사를 배운다.
재배학(Crop Production)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요소인 온도, 광, 수분, 토양은 물론 유전과 육종법, 파종에서 저장과 수확에 이르기까지 재배기술을 기초부터 환경조성까지 전 과정에 대하여 배우고 실습한다.
논리 및 논술(Logic and Statement for Young Children)
본 교과는 교육 현장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과 리더십을 지니고 있음을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목적으로 임용논술을 통해 이를 점검하고 논리적 사고와 논술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플라워디자인(Flower Arrangement)
플라워 디자인의 전문적인 이론과 원리를 실제적 생활공간과 행사의 목적에 따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응용하고 다양한 형태의 플라워 디자인을 조형하는 기술을 습득한다. 또한 개성과 독창성을 살려 창작하고 성서의 가르침을 꽃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식물자원, 조경 교육교과론(Research for Educational Subjects)
교육과정 및 교재,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식물자원에 관한 교육과정과 교재를 연구 분석하여 효과적인 수업을 계획하고 전개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도록 한다.
관상잔디관리 및 실습(Ornamental Turfgrass Management & Practice)
대표적인 조경용 지피식물인 관상용 잔디에 대해 STM(Soil-Turfgrass-Management) 핵심 컨셉을 바탕으로 잔디밭 관리에 대한 기본원리 및 특성을 배운다. 본 수업을 통해 관수관리, 잔디깎기, 시비관리 및 갱신작업에 대한 기술내용을 구체적으로 배우고 실무적으로 운영 중인 관상용 정원, 공원과 골프장 관리시스템에 대해 살펴본다.
취업 및 프리젠테이션 실습(Job and Presentation Practice)
직장생활에서 실무적으로 필요한 응용 부분을 숙지한다. 지식 사회의 업무 추진에 필요한 리포트 및 보고서를 사례 중심으로 학습하며 프로젝트 제안서 작성과 서류작업 능력을 배양한다. 전공분야 취업에 필요한 자기소개서를 직접 작성하며 제4차 산업 시대에 숙지해야 할 사회 및 경제 이슈에 대한 성찰과 함께 주제별 프리젠테이션 실습을 한다.
원예저장학(Horticulture Preservation)
살아있는 유기 생명체로 대사 작용이 진행되고 있으며, 함수율과 부패성이 높고, 물리적 충경에 약한 원예산물을 오랫동안 보관, 유통 및 이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자 함.
조직배양 및 실험(Tissue Culture & Lab)
각종 작물의 조직을 배양하여 무병주 생산, 다량생산 등의 방법을 익히며 나아가 원예작물의 육종과 개량에 기초가 되는 능력을 기르도록 강의하고 실험한다.
화훼원예학 및 실습(Floriculture & Practice)
화훼식물들의 일반적인 분류, 번식, 환경 재배관리 등을 다루며 효율적인 생산과 미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총론적 이론을 익히며 재배적 체계를 습득한다. 각 화훼 종류별 생리, 특성, 번식, 환경, 재배관리, 이용에 관한 이론을 통하여 재배적 경험을 습득하게 한다.
실험통계학(Experimental Statistics)
학문의 도구인 통계학을 통하여 연역, 추리 및 논리의 타당성을 높이도록 통계의 기본적 개념의 이해와 기초적인 자료처리 방법을 SAS프로그램으로 배운다. 현대는 빅데이터 시대로 데이터에 대한 개념의 이해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Ⅰ(Research & Theories for Subject Methods)
수업 전문성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교과서를 분석하고 수업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토대로 수업자료를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한다
과수원예학 및 실습(Pomology & Practice)
과수원예학은 과실을 연구하는 식물학의 한 분야로 과수의 특성, 번식, 재배, 육종, 병해충 방제 및 생산물의 저장, 가공, 유통 등의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자 함.
식용작물학(Crop Science)
주요 식용작물인 벼, 보리, 콩, 옥수수, 밀 등의 작물적 특성, 재배, 육종, 이용과정과 유통 등의 공부를 통하여 원예작물과의 관계를 배운다.
시설원예학(Controlled Horticulture)
원예작물의 주년 공급을 위한 시설의 구조 및 시설 내의 환경 제어 방법을 연구하며, 경제적인 원예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시설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하여 강의한다.
작물육종학 및 실험(Creep Breeding & Laboratory)
육종의 기초이론의 올바른 체계적인 이론을 습득하기 위하여 생물의 생식, 염색체, 성 변이 등의 이론과 식물의 유전, 생식 생리, 선발 이론과 육종 방법을 강의하며 습득케 한다.
조경수목학(Landscape Dendrology)
조경수로서 사용되는 관상 수목의 전반에 걸친 이론, 기술, 이용 범위 등을 연구하며 습득한다.
식물생리학 및 실험(Physiology & Experiment)
식물의 기초인 식물세포의 구성, 수분, 광합성, 호흡작용, 호르몬과 생장관리, 환경과 스트레스 등을 공부하며 그 원리를 실험실습과 함께 배운다. 각종 시험의 기초과목으로 폭넓고 깊은 이해가 가능하도록 충분히 공부한다. 공무원 시험 과목이거나 관련과목임.
잔디학 및 실습(Turfgrass Science and Practice)
원예 및 조경산업에서 경제적인 중요성과 부가가치가 큰 잔디에 대해서 잔디 유래, 원산지, 종류, 분류 요인, 잔디품질평가, 잔디 통정 및 잔디 생육 및 발달 등 잔디 전반에 관한 내용을 STM 제 1요소인 초종 중심으로 포괄적으로 학습한다. 또한,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한국잔디와 한지형 양잔디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양봉학(Apiculture Science)
원예작물의 수분을 도와주고 밀원식물을 가꾸는 것뿐만 아니라 양봉은 그 자체로서 꿀벌의 생리와 생태, 번식과 병충해 방제 등을 배움으로 양봉가로서 직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우고 실습한다.
선인장과 다육식물(Cactus and Succulent)
우리나라 수출의 대표적인 선인장과 최근 인기가 급상승하는 다육식물의 분류, 재배,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강의합니다.
양액재배(Hydroponics)
작물의 생장을 토경이 아닌 수경으로 재배하는 것으로 양액의 조성과 관리, 수경재배 시스템의 공부를 통하여 식물공장을 운영할 수 있는 기초를 익힌다.
식물영양학(Science of Plant Nutrition)
작물체를 포함한 식물 생장과 생육 특성을 파악하고, 식물 먹이인 영양분 공급을 파악하여 식물체를 건강하게 키우는 방법을 배운다.
졸업논문(Graduation Thesis)
봉 학과에서 4년간 배우고 익힌 학문을 바탕으로 전공과목 중 각자가 관심 있는 분야를 선정하여 실제로 실험과 논문을 작성해 봄으로써 연구의 기본원리와 통계처리, 고찰, 참고문헌의 작성을 실제적으로 해본다.
허브 식물학(Herb Plants)
다양한 허브류의 종류에 따른 이용법 등에 대하여 공부한다.
치유농업(Care farm)
치유농업을 이해하고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다.
식물생리와 생장조절(Plant Physiology & Growth Regulation)
식물 생장에 중요한 영양 생장, 생식 생장, 광주기성, 버널리제이션, 개화 생리 등 컨셉을 이해하고 생명현상과 관련된 GENE EXPRESSION 개념을 파악한다. 또한 유전, 환경, PGR(Plant Growth Regulation)의 상호작용에 관한 개념을 파악하고 식물 생장 및 조절에 필수적인 식물생장조절물질의 특성과 그 작용기작을 학습한다.
식용작물학Ⅱ(Crop Science Ⅱ)
맥류, 잡곡류, 두류, 서류인 전작 작물에 대해 학습한다.
종자학(Seed Science)
식물 종자의 형성과 발달, 발아와 휴면, 수명과 퇴화, 종자 생산과 취급관리에 대하여 배우고 나아가 종자기사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게 한다.
원예경영학(Horticulture Management)
최근 경영적 지식이 중요해졌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초적인 내용을 강의하고 이해시킨다.
화훼장식과 치료(Floral design and Therapy)
자연의 일부인 모든 화훼 식물을 이용하여 공간의 기능과 미적 효율성을 높여주는 장식물을 제작하고 창의력과 표현 능력을 키움으로써 사회적, 교육적, 심리적, 정신 및 육체적 적응력을 기른다. 또한, 여러 대상자를 위한 재활, 치료, 삶의 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화훼장식을 수행한다.
원예치료(Horticultural Therapy)
원예식물을 이용하여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우고 실습한다. 치유농업과 관광농업의 기초과목으로 어려은 사람을 돕고 더불어 사는 사회를 구현하도록 배운다.
인턴십Ⅱ(INTENSHIP 2)
환경디자인원예학과에서 배운 내용으로 관련된 분야에 대한 현장 체험을 진행한다.
작물보호학(Crop Protection)
여러 가지 재해로부터 작물을 보호하여 안전한 재배, 수확을 올리기 위하여 식물의 병리, 해충의 생태적 특성, 잡초의 생리 및 특성 농약과 기상에 대한 전반적인 것들을 강의한다.
녹지조성 및 관리(Green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정원, 공원 레저 및 스포츠 시설과 연관된 녹지조성에 대한 컨셉을 종합적으로 배우고, 실무적으로 녹지시공 및 관리 관련 사례에 대해 배운다.
NCS 잔디식재 및 시공관리(Turfgrass Establishment & Management)
대표적인 조경용 지피식물인 잔디에 대해 STM(Soil-Turfgrass-Management) 컨셉을 바탕으로 잔디밭 조성 및 초기 시공관리에 대한 기본원리 및 특성을 배운다. 본 수업을 통해 토양 및 지반 분야에 대한 기본 컨셉을 이해하고 이론과 함께 토양 샘플링, 토양 분석 및 잔디관찰 등의 실습을 통해 NCS 직무교육에서 강조하는 실무 응용력을 배양한다.
전공실무영어(Practical English in Horticulture and Landscape)
원예 및 조경 등 관련 전공분야로 취업 시 필요한 영어와 사회 진출 시 숙지해야 할 최소한의 영어 지식 등을 습득하며 글로벌 시대의 취업 및 직장생활에 필요한 영문명함, 영문 서신, 영어 이력서 및 영어 PPT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