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경영전공

[2025학년도 기준] 교과목 정보는 입학년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교과목 정보는 교무처 학사지원팀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중국 문화와 언어(Chinese Culture & Language)

중국이라는 나라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1학년 학생들이 중국을 이해하는 첫 단계 수업이다. 중국의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이해하는 입문 과정으로 중국이라는 나라와 그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언어와 문화를 살펴보고 이해한다.

기초중국어 회화(Practice Elementary Chinese)

중국어를 처음 배우는 입문자를 위한 기초중국어 강의로서, 수강생들이 중국어의 기초를 다지며 나아가 스스로 중국어 활용 능력을 갖추도록 기초 발음, 기초단어, 기초 문법 및 기초 회화 등을 배우는 과정이다.

초급 중국어 연습(Basic Chinese)

중국어의 가장 기본적인 발음과 성조를 익히고 기초적인 문법요소를 담은 짧은 문장들을 배움으로써 기초를 다지도록 한다. 중국어의 특성과 구조를 분석하여 기본 회화는 물론 독해와 작문의 기초를 익히는 데 중점을 두며 기초중국어 회화와 더불어 중국어의 기초 과정을 폭넓게 학습한다.

중국 문학의 이해(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중국 문학의 시작인 시경, 초사를 시작으로 중국 5천 년 역사의 시, 소설, 산문 등의 문학을 이해하여 고급 중국어 회화 구사를 위한 기본 문학지식을 배우는 과정이다. 중국 문학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바탕으로 중국 문학에 대한 관점 설정과 중국 문학의 변천 과정 및 특징에 대한 탐구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초급 중국어 회화(Basic Chinese Conversation)

중국어 입문을 위한 발음 (성조), 어휘 (의미), 어법 (문장구조), 강독, 회화 등에 관한 기본적 학습을 통하여 중국 현지에서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생활 중국어를 현지인과 구사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중국어 문법(Study on Chinese Grammar)

중국어 구사를 위한 기본적인 문법부터 고급 중국어에서 사용하는 고급 문법까지 학습을 통해 정확한 중국어 구사 능력을 배양하는 과목이다. 실용적인 측면에서 중국어의 쓰임과 문장 구조를 분석하고 통합적인 연습을 통하여 정확하고 적절한 중국어 이해 능력과 표현능력을 학습한다.

중국어 원어 연극(Chinese Drama Performance)

지금까지 배운 중국어 구사 능력을 바탕으로 중국어를 사용하는 연극 및 다양한 공연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전공생들의 프로젝트이다. 대본을 통해 표현을 학습하고 극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팀워크를 배우고 소통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중급 중국어 회화(Intermediate Chinese Conversation)

초급 중국어 연습, 초급 중국어 회화 등의 기초 중국어 과정을 마친 학생들이 중급 수준의 중국어 문장을 통해 다양한 어휘력과 회화 능력을 배양한다.

중국어 독해(Chinese Reading)

중국어를 읽고 쓸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갖추기 위한 중국어 읽기 수업이다. 중국어 교재에 등장하는 다양한 장르의 문장을 읽고 그 의미를 파악하여 원문의 정확한 뜻을 파악하는 독해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실용 중국어 회화(Practical Chinese Conversation)

실생활에서 꼭 필요한 중국어를 원활하게 구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동시에 실무적인 업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작문과 회화에 중점을 둔 실용 중국어를 익힌다. 더 나아가 중국 비즈니스에 관한 실무 능력을 갖추기 위해 무역통신문 작성 및 연관된 중국어 회화 능력을 배양하여 취업에 대비한다.

미디어 중국어(Media Chinese)

미디어(영상, 음성, 활자 등)를 이용하여 듣기, 읽기, 쓰기를 병행하는 한편, 중국어의 어휘, 문법, 문형 등을 익힘으로써 중국어 능력을 향상한다. 특히 오디오와 비디오 자료를 통한 중국어 청취 능력의 향상과 중국어 회화에서의 정확한 발음을 익히고 듣기능력을 배양한다.

한·중 번역 및 통역(Korean-Chines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중국어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효과적인 방법들을 구사하여 번역 능력을 배양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문 분야 수준의 중국어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능력을 제고시킨다. 동시에 통역 능력을 위한 다양한 시사 내용 연습을 통해 실시간 통역 능력을 배양한다.

고급 중국어(Advanced Chinese)

기초 및 초급 중국어를 익히고 중급 중국어를 배운 학생들이 학부 과정에서 최상 난이도의 중국어 구사 능력을 배우기 위한 과정이다. 본인의 의사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중국어 능력을 배양하며 중국 문화가 담긴 고급 중국어를 구사하는 학습 과정이다.

중국어 인터뷰(Chinese Interview)

일상적인 중국어 회화 구사 능력과 다른 다양한 인터뷰를 위한 중국어 스킬을 배우는 과정이다. 특히 취업을 앞두고 면접을 위한 다양한 대화 내용들을 살펴보고 언어적, 비언어적 기술을 익혀 효과적인 인터뷰 및 발표 능력을 배양한다.

실무중국어(Practical Business Chinese)

중국어를 활용하여 실제 업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중국어 회화는 물론 중국어 작문과 번역 등의 능력 배양에 중점을 둔 실무중국어를 익힌다. 다양한 실무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다각적인 업종별 중국어 능력을 학습한다.

일본문화와 언어(Japanese Culture and Language)

일본의 문화와 언어적 특성을 통합적으로 학습하며, 일본 사회와 언어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기초일본어 표현(Basic Japanese expression)

일본어의 기초 문자와 어휘를 학습하며,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기본 문형을 익히는 데 목적이 있다.

기초일본어 회화(Basic Japanese Conversation)

일상생활에서 활용이 가능한 일본어 회화의 기초 표현을 연습하며, 간단한 자기소개 및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을 목표로 한다.

초급 시청각 일본어(Elementary Audiovisual Japanese)

다양한 일본어 영상 및 음성 자료를 활용하여 청취 및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며, 초급 수준의 듣기 및 말하기 능력 배양에 중점을 둔다.

일본문화의 이해(Understanding Japanese Culture)

일본의 역사 및 전통문화와 현대 사회를 다양한 시각에서 탐구하며 문화적 차이 및 특성을 분석 비교한다.

초급일본어 회화(Elementary Japanese Conversation)

기초 회화에서 한 단계 발전하여 일상적인 상황별 일본어 표현을 학습하며, 실생활 중심의 대화 연습을 통해 실용적 회화 능력을 향상한다.

기초일본어 문법(Basic Japanese Grammar)

일본어의 기본 문법 구조와 규칙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며, 문장 구성 및 활용 능력의 기초를 확립한다.

일본어 원어 연극(Japanese Language Drama)

일본어 각본을 활용한 연극 실습을 통해 언어 구사력과 표현력을 향상하며, 팀별 공연 활동을 통해 협동심을 기른다.

중급일본어 회화(Intermediate Japanese Conversation)

다양한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일본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중급 수준의 어휘 및 표현을 학습한다.

미디어 일본어(Media Japanese)

신문, 방송, 인터넷 등 다양한 미디어 자료를 통해 일본어 읽기 및 듣기 능력을 강화하며, 실생활과 밀접한 미디어 언어를 학습한다.

항공 관광 일본어 독해(Aviation and Tourism Japanese Reading)

항공 및 관광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문서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을 기르며, 관련 전문 용어 및 표현을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실용 일본어 회화(Practical Japanese Conversation)

실생활 및 직장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한 일본어 회화 능력을 배양하며, 실무 중심의 상황별 대화 연습을 포함한다.

비즈니스일본어(Business Japanese)

비즈니스 환경에서 요구되는 일본어 표현 및 매너를 학습하며, 공식 문서작성 능력과 업무 관련 회화 능력을 강화한다.

항공관광일본어번역및통역(Aviation and Tourism Japanes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항공 및 관광 분야에서 요구되는 일본어 번역 및 통역 실무를 학습하며,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실전 연습을 수행한다.

실무일본어(Practical Japanese)

직장 및 사회생활에서 즉시 활용이 가능한 실용적 일본어를 학습하며, 현장 중심의 언어 사용 능력을 배양한다.

일본어 면접 및 인터뷰(Japanese Interview and Interview Skills)

일본어로 면접 및 인터뷰를 준비하고 실전 연습을 수행하며, 자기소개 및 질문 대응 등 취업을 위한 면접 기술을 익힌다.

융합 캡스톤(Capstone Project)

항공 관광과 중국, 일본 및 중국어, 일본어와 관련된 주제를 융합하여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실무 역량을 강화하며,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과 프레젠테이션 역량을 기른다.

문화관광 캡스톤 디자인(Cultural Tourism Capstone Design)

문화와 관광 분야에서 습득한 이론과 실무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요구되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종합 설계 및 실습 중심의 과목이다. 문화관광 분야의 실질적 문제 해결과 창의적 아이디어 실현을 통해 학생들이 졸업 후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능력과 융합적 사고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둔다.

현장어학실습1(Field language training1)

외국어 사용 환경에서의 학습을 통해 실제 언어 활용 능력 및 현장 적응력을 강화하며,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실무 역량을 함양한다. 영어권, 중화권, 일본의 정규대학에서 48시간 이상 수료하고 이를 증명하는 서류(수료증 또는 졸업장, 성적표 시간표 등)를 제출하여 학점을 부여한다. 전 학년 모두 이수가 가능하며, 방학 중 약 2~3주간 학부 교수와 함께 현지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및 문화 체험 학습 프로그램이다. 단, 교환학생은 중복으로 신청할 수 없다.

현장어학실습 2(Field language training 2)

외국어 사용 환경에서의 학습을 통해 실제 언어 활용 능력 및 현장 적응력을 강화하며,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실무 역량을 함양한다. 영어권, 중화권, 일본의 정규대학에서 48시간 이상 수료하고 이를 증명하는 서류(수료증 또는 졸업장, 성적표 시간표 등)를 제출하여 학점을 부여한다. 전 학년 모두 이수가 가능하며, 방학 중 약 2~3주간 학부 교수와 함께 현지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및 문화 체험 학습 프로그램이다. 단, 교환학생은 중복으로 신청할 수 없다.

인턴십1(Internship 1)

중국, 일본 관련 기관 또는 기업에서의 인턴십을 통해 전공 이론을 실무에 적용하며, 중국어나 일본어를 활용한 실제 업무 경험을 통해 직무 역량을 강화한다.

인턴십2(Internship 2)

중국, 일본 관련 기관 또는 기업에서의 인턴십을 통해 전공 이론을 실무에 적용하며, 중국어나 일본어를 활용한 실제 업무 경험을 통해 직무 역량을 강화한다.

산업체 현장 실습1(Field Training1)

산업현장의 경험을 미리 체험하게 하여 실제 현장에 적응할 수 있는 실무 기회를 제공하고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현장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여 취업률을 제고한다.

산업체 현장 실습2(Field Training2)

산업현장의 경험을 미리 체험하게 하여 실제 현장에 적응할 수 있는 실무 기회를 제공하고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현장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여 취업률을 제고한다.

글로벌 매너와 이미지 메이킹(Global Manner & Image Making)

세계 각국의 문화적 특징과 차이를 이해하고 비즈니스에 필요한 에티켓과 세련된 매너 및 배려하는 태도를 체화 할 수 있도록 연습하여 외적 서비스 역량 제고에 필수적인 자신의 이미지를 연출하는 방법을 알고 훈련한다. 서비스인으로서 호감 가는 이미지를 주기 위한 행동과 자신의 개성에 맞추어 효과적인 이미지 연출법, 인사 및 표정, 태도 등을 습득하여 서비스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모습을 익힌다.

항공 서비스 커뮤니케이션(Service Communication)

대중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제안이나 설득을 위한 스킬을 훈련하고 기본적인 보이스 스킬을 익힌다. 아울러 PPT, 보고서, 제안서 등의 효과적인 작성 스킬 또한 훈련한다. 서비스 현장에서 호감 가는 목소리 연출과 논리적으로 자신감 있게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스피치기법과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습득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인으로서 내부고객과 외부고객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유형별 대화법을 익힌다. 또한,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방송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방송에 적합한 발음, 목소리 톤, 속도, 억양 등을 연습하여 현장에서 기내방송을 수행할 수 있는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항공 서비스 업무론(Introduction to In-flight Service)

항공사 객실서비스 전반에 관한 내용 및 서비스 절차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또한, 항공사 각 부문의 이해를 통해 항공운송산업에 대한 구조를 이해하고 최신 항공경영 패러다임 등에 대해 학습한다.

관광 경영의 이해(Understanding of Tourism Management)

관광산업의 전반적인 구조와 경영 원리를 이해하고, 관광사업의 운영과 관리에 필요한 기본 지식과 실무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관광산업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심화된 전공 학습과 실무에 필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항공 식음료 실습(Food & Beverage Practice)

항공산업 및 호텔 등에서 필요로 하는 식음료에 대한 이론과 기본적인 지식을 함양하고 식음료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서비스 경영론(Service Management)

서비스 산업의 특성과 경영 원리를 이해하고, 서비스 기업의 운영과 혁신, 그리고 고객 중심의 경영전략을 학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비스 산업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실무 능력을 갖추어, 졸업 후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정보기술과 활용(Information Technology and Applications)

정보화 사회에서 필수적인 정보기술(IT)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정보기술을 실생활과 학업, 업무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인터넷 검색 등 주요 소프트웨어의 활용법을 실습하며, 정보처리 및 문서작성, 데이터 분석 등 실무 역량을 배양한다.

항공 관광 실무영어1(Practical Airline English 1)

기내서비스 절차에 맞추어 상황에 따른 고객 응대 요령을 익혀 서비스 수행이 가능하도록 영어 표현을 학습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고 실무에 필요한 표현을 통해 현장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 해외 항공사 및 호텔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용어와 표현을 익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항공 관광 실무영어2(Practical Airline English 2)

기내서비스 절차에 맞추어 상황에 따른 고객 응대 요령을 익혀 서비스 수행이 가능하도록 영어 표현을 학습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고 실무에 필요한 표현을 통해 현장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 해외 항공사 및 호텔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용어와 표현을 익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항공기구조 및 안전보안(Aircraft Internal Structure & Emergency Equipment)

국내 대형항공사에서 운항 중인 항공기의 특성과 객실구조를 살펴보고 이착륙과 비행 중 객실 안전과 관련된 안전 업무를 이해하고 비상 상황 대처법, 구급 장비 사용 및 비상탈출 절차 등을 익힌다.

고객행동론(Customer Behavior)

소비자의 의사결정 과정과 행동 패턴을 이해하고,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교과목이다. 소비자 행동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과 의사결정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준다.

관광 데이터 활용(Tourism Data Analytics)

관광산업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특히 빅데이터와 통계자료)를 이해하고, 이를 분석·활용하여 관광정책, 관광상품, 마케팅, 서비스 기획 등에 적용하는 실무 역량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서비스 마케팅(Tourism Service Marketing)

서비스 산업으로서의 관광 분야에서 마케팅의 기본 원리와 전략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관광상품과 서비스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관광 및 환대산업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과 실무 능력을 배양하며, 학생들이 관광 서비스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마케팅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서비스 role play(Service Role Play)

항공기 객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서비스 방법을 익히고 실제 비행에 맞는 상황을 연출하여 실습함으로써 고객 지향적인 서비스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성공적인 서비스 기업의 사례와 서비스 접점에서의 서비스 실패 요소를 분석하고 학습함으로써 서비스 접점 직원이 실질적으로 갖춰야 할 요소들에 대해서 연구한다.

서비스 혁신(Service Innovation)

서비스 산업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가치와 경쟁력을 창출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데 중점을 둔다. 서비스 산업의 혁신적 변화와 디지털 전환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무를 통합적으로 다루며,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서비스 혁신 역량을 갖추는 데 목적이 있다.

항공 인터뷰 영어(Airline Interview English)

각 항공사의 영어 면접 전형과 외항사 지원을 위한 성공적인 면접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면접 질문에 대해 적절한 답변 능력을 향상시킨다. 항공사 면접에 대비하여 인터뷰 매너 및 대처 방법을 숙지하여 실전에 대비한 모의 인터뷰를 진행한다.

항공관광서비스세미나(Aviation & Tourism Service Seminar)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 다양한 직무를 탐색하고 각 항공사, 호텔, 서비스 관련 업체 및 일반 기업체 지원을 위한 입사지원서,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요령을 익히고 그룹별 토의, 실제 인터뷰 사례 등을 통해 면접에 적용할 수 있는 인터뷰 응대 요령을 익히고 실전 감각을 키운다. 또한, 항공 및 관광 관련 기업체 분석을 통해 각 부문별 선호 인재 유형을 파악하고 최신 항공 관광 트랜드를 익혀 전문가로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호텔업무론(Hotel Operations Management)

호텔산업의 전반적인 구조와 부서별 업무, 그리고 호텔 경영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 입문 교과목이다. 호텔업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호텔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무 능력과 문제 해결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 담당부서
    항공관광외국어학부
  • 전화번호
    02-3399-1546
최종수정일 : 2021년 February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