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애인고용공단]시각장애인 직업훈련 체계 및 훈련 직종 개발 20.0915(화) 14:00까지
□ ’시각장애인 직업훈련서비스‘ 체계 구축
◦ 시각장애인 직업훈련 욕구 조사
◦ 국·내외 시각장애인 직업훈련 체계 분석
◦ 시각장애인의 직업훈련 체계 제시
□ 시각장애인 훈련직종(과정)개발
◦ 경기남부직업능력개발원 시각특화직종 개발
◦ 국내외 훈련직종(과정) 조사, 미래 직업전망 등 분석
◦ 시각장애인 적합 훈련직종(과정) 제시 (훈련기준집)
□ 시각장애인 직업훈련 조사
◦ 공단 및 직업재활기관 등에서 취업을 위한 직업훈련 등 서비스를 받고 있는 중증 시각장애인 및 관련 단체 대상 인터뷰 등을 통해 취업 가능·희망 직업(직종․직능수준)과 직업 획득․유지에 필요한 직업능력개발 서비스 등 조사
– 기존 장애인등록법 상의 1∼3급 장애인 또는 4급까지 확대하여 100명 내외 조사 실시
* 시각장애인(전맹, 저시력 장애인 구분 조사) 당사자 및 관련 단체 대상 인터뷰 등을 통한 조사 실시 (공단과 협의·조정)
□ 국내외 시각장애인 직업훈련 체계 분석
◦ 국내외 직업훈련기관․직업재활기관 등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사례 조사
– 시각장애인의 직업 획득․유지를 위해 지원하고 있는 훈련․직업역량강화 프로그램 등
◦ 공단의 시각장애인 직업훈련 체계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 시각장애인 직업훈련서비스 체계 개편(안) 제시
◦ 직업훈련 욕구 조사 및 국내외 시각장애인 직업훈련 사례 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시각장애인 직업훈련서비스 체계 구축 방안 제시
.
□ 국내외 훈련과정 조사, 미래 직업전망 등 분석
◦ 시각장애인의 직업훈련과정 수요, 미래 직업전망, 국내외 시각장애인 훈련과정 운영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 ’19년 시각장애인 해외 우수사례 연구에서 제시된 훈련직종 포함하여 검토
□ 시각장애인 훈련직종(과정) 제시(훈련기준집)
◦ 시각장애인의 취업을 지원하는 기능 훈련직종(과정) 2~3개 개발 (경기남부직능원 시각특화 훈련직종(과정) 개발 포함)
◦ 개발된 훈련직종(과정) 세부기준집* 제시
* 공단의 직종별 세부 훈련기준집 참고
□ 시각장애인 당사자 또는 단체 등의 의견 수렴
◦ 시각장애인 당사자 또는 단체의 의견수렴 등을 통해 연구결과의 수용성 및 타당성 제고
◦ 연구용역 공고: ‘20. 9. 3. ~ 9. 15.
◦ 연구용역 계약 체결: ‘20. 9월 중순
◦ 연구수행: 계약일 ~ ‘20. 12. 17.
* 착수보고(계약 후 10일 이내), 중간보고(‘20.10월), 최종보고(’20.12월)
◦ 연구완료 및 성과품 납품: ’20. 1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