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단 연구비 관리 규정 개정

산단19-03-10. 산학협력단 연구비 관리 규정 개정

아래와 같이 산학협력단 연구비 관리 규정 개정을 승인함.

현행

개정

비고

제22조 (간접비의 징수와 납부)

① 교내연구비를 제외한 모든 연구비를 대상으로 한다.

② 본교 전임교원 등은 관리기관을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연구비를 수령하여 관리하는 경우에도 간접비를 관리기관에 납부하여야 한다.

③ 간접비는 매년 고시되는 교육부 간접비 기준율에 따라 징수한다.

④ 교육부 고시 간접비 기준율을 따르지 않는 지원기관의 경우에는 해당 기관의 규정 또는 지침에서 정하는 최대치를 징수한다.

⑤ 지원기관의 간접비 기준이 없는 과제는 총연구비의 15%를 간접비로 징수한다.

제22조 (간접비의 징수와 납부)

① 교내연구비를 제외한 모든 연구비를 대상으로 한다.

② 본교 전임교원 등은 관리기관을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연구비를 수령하여 관리하는 경우에도 간접비를 관리기관에 납부하여야 한다.

③ 간접비는 매년 고시되는 교육부 간접비 기준율에 따라 징수한다.

④ 교육부 고시 간접비 기준율을 따르지 않는 지원기관의 경우에는 해당 기관의 규정 또는 지침에서 정하는 최대치를 징수한다.

⑤ 지원기관의 간접비 기준이 없는 과제는 직접비의 20%를 간접비로 징수한다.

총연구비15%

=

직접비18.98%

 

시행일(9.1)

제26조 (간접비의 배분)

① 간접비의 배분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한다. 다만, 지원기관에서 정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간접비 비율 배분 기준

<산학협력단:연구소:연구원>

15%초과 5:4:1
15% 6:3:1
15%미만~10%이상 7:2:1
10%미만 9:0:1

② ①항에도 불구 간접비 징수액이 10,000,000원 이상일 경우 간접비 배분은 산학협력단 60%, 연구소 30%, 연구원 10%로 한다.

③ 연구원에게 배분하는 책임 연구원 연구개발성과급은 자체 평가 지침에 따라 10% 이내에서 차등 지급한다.

제26조 (간접비의 배분)

① 간접비의 배분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한다. 다만, 지원기관에서 정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간접비 비율

(직접비 대비)

배분 기준

<산학협력단:연구소:연구원>

15%초과 5:4:1
20%이상 6:3:1
15%미만~10%이상 7:2:1
20%미만 9:0:1

삭제

③ 연구원에게 배분하는 책임 연구원 연구개발성과급은 자체 평가 지침에 따라 10% 이내에서 차등 지급한다.

④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를 통한 중기부 연구비의 경우 간접비의 배분은 10:0:0으로 한다.(신설)

(간접비 비율 통일)

시행일(9.1)

※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비 관리메뉴얼 중 위탁연구과제 부가세 적용 범위 및 절차 규정에 따라 직접비에 편성된 매출부가세를 제외하고 계상하는 것으로 수정 필요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설명회 개최 참석 안내

과학기술 기반 국방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하는「2019년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설명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가. 행사명 : 2019년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설명회
나. 일시 : 2019.6.21.(금) 14:00 ~ 16:00
다. 장소 : 쉐라톤서울팔래스호텔 Grandballum B(지하 1층)
라. 참석대상 : 전국 산학연 관계자 약 80여 명
마. 주요내용
–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추진방향 및 내역사업 설명
– 미래국방 기초원천 R&D 기술로드맵 수립 경과 및 방향 설명
– 기술로드맵 및 사업 관련 질의응답
※ 관련 산업체, 학회 및 연구자분들게 행사 홍보를 요청 드립니다.

붙임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설명회 개최(안) 1부. 끝.

2019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재공고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소재부품패키지형기술개발사업)의 2019년도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다음과 같이 재공고하오니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목적

  • 소재 특성(high risk, high return)을 고려하여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투자로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세계일류 강소기업 육성을 위해 고부가가치화 및 글로벌소싱이 가능한 핵심 소재·부품 개발 지원

지원대상

  • 소재·부품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2조(소재·부품의 범위)에 해당되는 11대 소재·부품* 지원
    • * 5대 소재 : 1차 금속, 화합물·화학, 고무·플라스틱, 비금속 광물, 섬유
    • * 6대 부품 : 금속가공제품, 일반기계부품, 전기장비부품, 전자부품, 정밀기기부품, 수송기계부품
    • – (소재부품패키지형) 소재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개발 소재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소재-부품-모듈-수요 간 연계를 통한 소재부품 중장기 기술개발 지원

지원 방향

  • (소재부품패키지형) 총괄과제 및 세부과제로 구성된 통합형 과제 형태로 지원하며, 기술개발 시작단계부터 수요기업* 참여를 의무화
    • * 수요기업은 사업계획서내 테스트 관련 계획 및 목표를 포함하고 테스트 약정서 및 기술개발 종료시 수요기업이 작성한 테스트 결과 보고서(보고서 제출 불가시 테스트 확인서) 제출

지원방식

  • 지정공모 1건

지원내용(세부 사업별 지원개요)

  • 12019년도 예산(안) –  30억원 이내
  • 2지원규모* –  과제제안요구서(RFP) 참조
  • 3지원기간 –  5년 이내(1차년도는 6개월) (과제제안요구서(RFP) 참조)
  • 4주관기관 자격 –  중소·중견기업 (또는 대기업)
  • 5참여기관 자격 –  제한없음 (단, 참여기관의 신청자격 참조)
  • 6중소·중견기업 정부출연금 지원비율 –  50% 이상(필수) (단, 대기업 주관 과제는 예외로 함)
  • 7과제구성 의무사항
  • 한 개 이상의 수요기업은 통합형 과제의 수행기관으로 참여 필수(총괄과제 제외) (각 수요기업은 해당 세부과제의 연차별 정부출연금 총액의 2% 이상 민간현금부담 필수)
  • 8개념평가 해당유무 –  해당 없음
  • 9협약유형* –  단계별 협약
  • 10기술료 –  영리기관별 징수
  • * 단계별(1단계 3년 이내, 2단계 2년) 협약을 체결함

지원대상(’19년 공고 대상 과제 및 예산 : 총괄기준 1개 과제, 30억원 이내)

  • 1분야  –   기계·소재
  • 2총괄 과제명  – 경사 충돌안전 법규 대응 30% 경량화 다종소재융합 차체 모듈 기술개발
  • 3주관기관  –   중소 · 중견기업(또는 대기업)
  • 4기술료  –   징수(단, 총괄과제는 기술료 비징수)
  • 5과제유형  –   가 : 통합형,  나 : 혁신제품,  다 : 지정공모
  • * 세부 내용은 첨부 공고문, RFP 및 기획보고서 참조

신청방법 및 제출기한

  • 1공고기간  –   ‘19.6.17(월) ~ ‘19.7.16(화)까지 30일
  • 2신청서 및 관련 양식 교부  – 양식교부 : ‘19.6.18(화) ~ ‘19.7.16(화)  /  양식교부 및 접수안내 : 산업기술지원 사이트(itech.keit.re.kr)
  • 3온라인 접수기간  –   ‘19.6.26(수) ~ ‘19.7.16(화) 18:00까지
  • 4온라인 접수마감  –   ‘19.7.16(화) 18:00까지
  • ※ 소재부품패키지형 : 총괄주관기관 총괄책임자가 온라인 접수를 완료한 후에만 세부주관기관 책임자가 온라인 접수 가능
  • * 18시 정각에 접수가 마감되니 유의하시기 바라며, 18시 이전에 과제번호를 부여받은 과제에 한하여 같은 날 24시까지 제출대상 서류의 추가 업로드, 보완 등이 허용됩니다. 18시 이후, 새롭게 접속하여 신청 및 제출 절차를 시작하는 것은 절대 불가합니다.
  • * 접수마감일 24시 기준으로 온라인상 ‘제출완료’ 상태인 과제만 접수하며, ‘제출중’ 상태인 과제는 접수불가
  • * 기관·인력 신규가입을 위한 법인실명인증, 개인실명확인은 해당 인증기관(서울신용평가정보)의 사무처리 시간(∼18:00) 내에만 가능하고 미인증으로 인한 기관·인력의 신규등록 불가 시 전산접수 진행이 되지 않으니 유의 바랍니다.
  •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itech.keit.re.kr)을 통해서만 첨부 서류 접수
  • ※ 상세 공고 내용은 첨부된 공고문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과제접수 & 기관등록 매뉴얼

  • 과제접수와 기관등록시 아래의 매뉴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과제접수 매뉴얼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 과제접수 매뉴얼.pdf  (첨부파일 참조)
  • [ 기관등록 매뉴얼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 회원가입(기관정보관리) 매뉴얼.pdf    (첨부파일 참조)

문의처

  • 1사업계획서 온라인 접수 문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R&D상담콜센터 (☎ 1544-6633)
  • 2과제관련 상세 문의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소재부품평가팀 (☎ 053-718-8349, 8346, 8347)

2020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기획위원 모집 공고

  • 2020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의 과제기획을 담당하는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기술위원회 기획위원’으로 참여하실 산학연의 기술전문가를 모집하오니, 소재부품분야 R&D 과제기획에 관심 있는 분은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개요

  • 소재부품패키지형
  • 1 사업내용  –  소재 개발 중심으로 부품․모듈 단위까지 연계하여 소재-부품-모듈-장비-수요간 모든 단위기술에 걸쳐 연계 가능한 R&D 추진
  • 2 과제형태  –  총괄 및 세부과제(3~4개 내외)
  • 3 개발기간  –  5~7년
  • 4 지원규모  –  20~50억원/년
  • 소재부품이종기술융합형
  • 1 사업내용  –  소재부품기업의 자율성 확대 및 수요기업과 민간투자 수요를 반영한 이업종간 소재부품 융·복합 R&D 추진
  • 2 과제형태  –  단일과제
  • 3 개발기간  –  4년 이내
  • 4 지원규모  –  10억원 내외/년

신청자격

  • 산업계
    • –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과장급 이상의 임직원
    • – 석사(학사)학위 소지자로서 5년(7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경력자
  • 학계 : 2년제 대학 이상에서 전임강사 이상의 교수
  • 연구계 : 학사 이상의 과정을 이수한 자로 소속 기관의 선임급 이상 연구원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 제한자는 신청 불가
  • 전문가 1명당 1개 분과에만 참여 가능
    • * 지원자(기술위원회 기획위원 신청대상자)는 1개 분과에만 참여 예정

신청기간 및 방법

  • 신청기간 : 2019.06.19(수) ~ 2019.07.05.(금)
  • 신청방법 : 산업기술지원 홈페이지(itech.keit.re.kr)에 전산등록

기술위원회 기획위원 선정방법

  • 신청 접수된 기술전문가의 세부 전공, 경력 등을 고려하여 분과별 20인 내외로 구성 (분과별 검증위원회 운영)
    • * 신청 마감일 기준 의무사항 불이행 중이거나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중인 자 제외

기술위원회 운영방법

    • 분과별 검증위원회를 거쳐 선정된 위원(개별 통보 예정)은 약 5개월간 기획대상 과제 발굴·조정, 특허동향조사/경제성분석 지원, 기획보고서 및 RFP 작성 등 세부기획 실시 예정
      • * ‘2020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추진계획’ 및 ‘2020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과제기획 추진계획’ 수립에 따라 운영 예정
      • * 경제성 및 특허동향 분석은 별도의 전문기관 용역 추진
      • * 원고료는 지급하지 않으며 기술위원회 회의 개최시 회의수당 지급
    • ’19년도 산업기술 R&D투자전략에서 미래 트렌드를 반영한 5대 영역의 소재‧부품‧모듈 전문가로 분과를 구성

[ 5대 영역 / 확대(업종)분야 ]

    •  미래수송  –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차, 스마트 조선‧해양플랜트, 차세대 항공 등
    •  건강의료  –  디지털 헬스케어, 맞춤형 바이오 진단‧치료, 스마트 의료기기 등
    •  스마트전자  –  스마트 홈, 인간친화형 서비스 로봇, 증강휴먼 웨어러블 디바이스디스플레이, 지능정보서비스 등
    •  에너지·환경  –  청정생산(미세먼지), 수소‧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향상 등
    •  스마트제조  –  차세대 반도체, 첨단 제조공정ᆞ장비, 스마트 산업기계, 디자인융합, 스마트 엔지니어링, 3D 프린팅 등
  • * 5대 소재분야(금속재료, 화학소재, 고분자, 섬유소재, 세라믹) 구분 필요
  • 기술위원회 위원은 세부기획 과제가 신규 지원대상으로 공고되는 경우, 해당 기획과제에 한하여 신청 제한 조치

문의처

  • 12020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기획위원 관련 문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소재부품기획팀]  ( ☎ 053-718-8315, 8329, 8332, 8340)
  • 2전산등록(itech.keit.re.kr)  관련  문의  –   [ R&D상담 콜센터 ]  ( ☎ 1544-6633 )

2019년도 학술지지원사업 신규 과제 공모

교육부 공고 제2019-196호

2019년도 학술지지원사업 신규 과제 공모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에서는 2019년도 학술지지원사업 신규 과제를  아래와 같이 공모하오니 소정의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6월 13일

 

교육부 장관 유은혜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노정혜

 

 

  1. 사업 목적

◦ 학술지 발행 지원을 통해 자생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생·소외분야 지원을 통한 학문의 다양성 제고

◦ 국내학술지 발행 및 다양한 정보 유통을 지원하여 학회 등 학술단체의 학술 활동 활성화 및 국내학술지의 질적 수준 제고

 

  1. 지원 분야 : 인문·사회 분야(예술체육학, 복합학 분야 포함)

3. 지원 대상

◦  한국연구재단 (우수)등재학술지

–  국내 신생·소외분야 학술지는 등재(후보), 미등재학술지* 포함

* 미등재학술지 중 최근 3년간 연 1회 이상 정시 발행(규정 상 발행일자로부터 ±1개월 이내 발행한 것만 인정) 실적이 있는 학술지에 한해 지원 가능

 

4. 지원 기간

2019.10. 1.∼ 2020. 9.30.(12개월) 사이에 발행되는 학술지

 

  1. 신청 기간 및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 2019.7.5.(금) 14:00~2019.7.12.(금) 18:00까지(8일간)

자세한 사항은 공고문과 신​청요강을 참고하여 주십시오.

(문의처)  ◦ 한국연구재단 학술진흥본부 학술진흥총괄팀

Tel : 042) 869–6433, 6836 , E-mail : scholarship@nrf.re.kr

 

붙임 1. 2019년도 학술지지원사업 공고문

  1. 2019년도 학술지지원사업 신청요강
  2. (별첨4) 임원 명단 작성 양식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설명회 개최 참석 요청

과학기술 기반 국방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하는「2019년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설명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가. 행사명 : 2019년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설명회
나. 일시 : 2019.6.21.(금) 14:00 ~ 16:00
다. 장소 : 쉐라톤서울팔래스호텔 Grandballum B(지하 1층)
라. 참석대상 : 전국 산학연 관계자 약 80여 명
마. 주요내용
–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추진방향 및 내역사업 설명
– 미래국방 기초원천 R&D 기술로드맵 수립 경과 및 방향 설명
– 기술로드맵 및 사업 관련 질의응답
※ 관련 산업체, 학회 및 연구자분들게 행사 홍보를 요청 드립니다.

붙임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설명회 개최(안) 1부.

학술지 「에너지경제연구」 논문 투고 안내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는 에너지 및 환경 경제 분야의 연구 활성화 및 전문화를 도모하고자, 한국자원경제학회와 공동으로 전문학술지 「에너지경제연구」를 매년 2회(3월, 9월) 지속적으로 발간하고 있습니다.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인 「에너지경제연구」에 수록할 논문을 모집하오니, 에너지 및 자원 환경경제 분야 연구에 관심을 가지신 전문가들의 많은 관심과 투고를 바랍니다.

가.「에너지경제연구」 모집요건

-논문주제 : 에너지 및 자원 환경경제 관련분야의 학술논문, 정책연구

-투고대상 : 관계전문가 및 연구자(교수 및 대학원생)

-원고분량 : A4용지 15매 내외 (200자 원고지 80매 이내)

-투고기한 : 수시접수

-투고방법 : 양식에 따라 작성 후 투고신청서와 함께 E-mail.(journal@keei.re.kr)로 송부

나. 관련문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기획본부 연구기획팀  052-714-2115 / journal@keei.re.kr

붙임

「에너지경제연구」 논문모집 포스터 1부
「에너지경제연구」 논문 작성 양식 1부
「에너지경제연구」투고신청서 1부
연구윤리 준수서약서 1부. 끝.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 제40권 제2호의 원고모집 안내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에서는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 제40권 제2호에 게재할 원고를 다음과 같이 모집합니다.

가. 내용
–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창의적 비판, 실험연구, 새로운 제안 등 전반적인 교육관련 내용
– 인문 · 사회, 과학 및 예 · 체능 분야의 학문간 창의 · 융합의 STE(A)M관련 내용

나. 접수 마감 : 2019년 7월 15일(월) 18:00

다. 접수 방법
– 홈페이지 (http://neweri.cbnu.ac.kr/)의 “온라인 논문투고”를 통하여 접수

라. 제출 방법
– 홈페이지 공지사항의“논문투고 안내”를 참고하여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마. 발간예정일 : 2019년 8월 31일(토)

바. 문의처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eri@chungbuk.ac.kr ) .

사. 심사 절차 진행 후 게재가 확정된 논문에 한하여 30만원의 원고료를 지급합니다.

2019 문화예술교육 총서 출판지원 사업 공모 신청 안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식 공유체계를 구축하고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고자 2006년부터 문화예술교육총서를 꾸준히 발간해 왔습니다. 2019년에는 문화예술교육 연구자들의 미출판 원고의 발간을 도와 현장의 연구를 활성화하고,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확산을 위해 <문화예술교육 연구서적 출판지원> 사업을 진행합니다. 문화예술교육 이론, 정책 및 콘텐츠 등을 주제로 한 원고의 출판을 모색하고 현장에 계신 연구자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가. 추진목적

  • 국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서적 발간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확산 및 문화예술교육 연구 활성화의 장기적 기반 마련

나. 공모개요

1) 공 모 명 : 2019 문화예술교육 총서 출판지원 사업

2)신청마감 : 2019년 8월 16일(금), 15:00까지( *접수기한 엄수 필수)

3)지원대상 : 문화예술교육 분야 연구자 및 현장전문가의 미 발간 연구서적 원고(90%이상 완성본)

– 주제 : 문화예술교육 이론, 정책, 콘텐츠 및 자율주제

– 분량 : 발간물 기준으로 최소 150쪽 이상의 분량이어야 함

*지원신청 제외대상 : 번역본, 단순 사례집, 에세이, 잡지 등

4)지원내역 : 저작상금(300만원) 지급 및 출판제작비 지원

5)지원자격 :  지원주제애 대한 연구 활동을 정리하여 서적을 발간하고자 하는 개인(2인 이상의 공동연구 집필고 신청 가능)

*세부내용은 [붙임] 및 진흥원 홈페이지(www.arte.or.kr) ‘사업공모’ 내 440번 게시물 참고

다. 관련문의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R&D팀 김준호 주임(02-6209-5944).

 

 

2019년 제6차 용역연구개발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 재공고 협조 요청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2019년 제6차 용역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할 주관연구기관을 공모 재공고 중에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공고 내용
– 2019년 제6차 용역연구개발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 재공고
○ 접수기간 : 2019 .6 .10 . (월) ∼ 6 .17 . (월)
○ 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 후 방문 또는 등기우편으로 서류접수
○ 세부사항
–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http://www .mfds.go.kr)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홈페이지(http://www.nifds.go.kr)
–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관리시스템(http://rnd.mfds.go.kr)
○ 비고 : 상기 홈페이지의 공고/공지사항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