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2차 자동차부품기업활력제고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2019년도 제2차 자동차부품기업활력제고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자동차부품기업활력제고사업의 2019년도 제2차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목적
- 국내 부품업계의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를 목표로 부품기업의 R&D 지원을 통한 성장 동력 확보
지원대상분야
-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부품을 개발하는 중소·중견 부품업체 기술개발 지원
- 내연기관, 경량화 부품 등 자동차 생산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부품 기술개발 지원
- 전기차·수소차·자율차 등 미래형 자동차 개발에 적용 가능한 미래차 요소부품 R&D 지원
- – 기술수요기업 개발요청사항을 목표로 사업화 과정에 필요한 자금 지원
- ※ Mock up, 시금형제작, 시험분석, 성능인증, 공정개선(원가절감, 대체소재 개발, 품질 개선, 생산성 개선 등) 등
사업비 지원 규모 및 기간
- 1. 사업명 : 자동차부품기업활력제고
- 2. 공고예산 : 45억원 이내
- 3. 대상과제 : 9개 내외(일반형)
- 4. 지원규모 : 과제당 5억원 내외
- 5. 지원기간 : 2019. 10월∼2020. 9월(12개월)
- 6. 공모방식 : 자유공모
- 7. 기술료 : 징수
- ㅇ 총 수행기간(12개월)에 대해 일괄 협약을 체결하며, 별도 연차 구분은 없음
신청자격
- 주관기관
- ㅇ 수요기업에서 제안한 기술개발을 수행할 능력이 있고 해당수요기업의 ‘자발적 구매협약 동의서를 발급받은 중소․중견기업
- * 접수마감일 현재 법인사업자이어야 함
- * 2018년도 자동차부품기업위기극복지원사업(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8-410호), 2019년도 자동차부품기업활력제고사업(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9-157호) 과제를 주관기관으로 수행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본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지원 불가
- * 수요기업의 장의 직인을 받은 ‘자발적구매협약동의서’만 인정되며, 이외의 경우는 사전 지원 제외
- ※ 사업계획서 제출 시 반드시 자발적 구매협약 동의서 제출 필요(별첨 양식의 내용 준용)
- * 국내외 수요기업과 주관기관간 출자지분이 있는 경우 사전 지원 제외
- 참여기관
- ㅇ 주관기관과 공동으로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기업, 대학, 연구기관, 연구조합, 사업자단체, 의료기관 등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11조 제2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1조,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조제1항제3호, 제4호 및 제4의2호, 9의2부터 9의4에 해당하는 기관
신청방법 및 제출기한
- 1. 공고기간 – 2019. 8. 14(화) ~ 2019. 9. 18(수)까지 36일
- 2. 신청서 및 관련 양식 교부 – 양식교부 : 2019. 8. 21(수) ~ 2019. 9. 17(화) / 양식교부 및 접수안내 : 산업기술지원 사이트(itech.keit.re.kr)
- 3. 온라인 접수기간 – 2019. 8 19(월) ~ 9. 18(수) 18:00까지
- 4. 온라인 접수마감 – 2019. 9. 18.(수) 18:00까지
- * 18시 정각에 접수가 마감되니 유의하시기 바라며, 18시 이전에 과제번호를 부여받은 과제에 한하여 같은 날 24시까지 제출대상 서류의 추가 업로드, 보완 등이 허용됩니다. 18시 이후, 새롭게 접속하여 신청 및 제출 절차를 시작하는 것은 절대 불가합니다.
- * 기관·인력 신규가입을 위한 법인실명인증, 개인실명확인은 해당 인증기관(서울신용평가정보)의 사무처리 시간(~18:00) 내에만 가능하고 미인증으로 인한 기관·인력의 신규등록 불가 시 온라인접수 진행이 되지 않으니 유의 바랍니다.
-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itech.keit.re.kr)을 통해서만 첨부 서류 접수
- 신청방법 : 계획서 및 첨부서류는 온라인 접수 (오프라인 서류 제출 불필요)
- 계획서 접수처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itech.keit.re.kr) → 연구과제수행 → 과제접수 메뉴(주관기관이 대표로 온라인제출)
- ㅇ 접수시 시스템에 신청항목 입력 및 전자파일 업로드
- ※ 접수 마감일에는 접속 과부하로 인하여 접수가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접수 요망. 또한, 접수 마감일 18시 이후 접수 불가
- ※ 접수 시에는 주관기관의 총괄책임자가 로그인하여 입력·제출이 원칙(itech.keit.re.kr 회원가입 필요)
- ※ 직인이 필요한 별첨 서식의 경우 스캔본 업로드를 원칙으로 하나, 일부 온라인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서식의 경우는 전자서명 등으로 대체 가능
- ※ 일반형, 병렬형 과제는 주관기관 총괄책임자가 온라인제출
- ※ 제출된 서류 및 사업계획서 등이 허위, 위·변조, 그 밖의 방법으로 부정하게 작성된 경우 관련 규정에 의거, 선정 취소 및 협약해약 등 불이익 조치함
-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상세 안내문 및 관련양식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산업기술 R&D 정보포털 사이트(itech.keit.re.kr)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과제접수 & 기관등록 매뉴얼
- 과제접수와 기관등록시 아래의 매뉴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과제접수 매뉴얼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 과제접수 매뉴얼.pdf 붙임참조
- [ 기관등록 매뉴얼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 회원가입(기관정보관리) 매뉴얼.pdf 붙임참조
문의처
- 1. 신청서류 온라인 제출 관련–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R&D상담콜센터 (☎ 1544-6633)
- 2. 상세 사업 및 공모 과제 문의, 과제접수/신규평가 일정/절차 관련
-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수송플랜트팀] 박진용 선임 (☎ 053-718-8486 , jyp@keit.re.kr)
-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수송플랜트팀] 김진걸 전임 (☎ 053-718-8472 , jingeulkim@keit.re.kr)
-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수송플랜트팀] 김현지 전임 (☎ 053-718-8487 , hjkim1530@keit.re.kr)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참관단 모집
o 참관단 모집기간 : 2019. 8. 13 ~ 2019. 8. 20
2019년도 알키미스트 프로젝트(산업분야) 신규평가위원회(공개평가)에 참관단으로 참여하실 분들을 모집하오니, 알키미스트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분께서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참관단은 각 기술분과별(△ 1분 충전 600km 주행전기차, △ 공기정화자동차, △ 100m를 7초에 주파하는 로봇 슈트)로 50인 이내 선착순으로 모집 마감하며, 참관단 참가 가능 여부에 대해서는 핸드폰 문자, 이메일 등을 통해 별도로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 에너지분야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서 모집 예정
o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신규평가위원회(공개평가) 개요
- – (사업 목적) 산업 난제 해결에 도전하는 초고난도 기술개발을 통해 사회·경제적 파급력이 높은 기술을 확보
- – (평가일정/장소) 2019. 8. 28(수), 12:30 ~ 19:00, 송도컨벤시아(인천)
- – (내용) 참관단이 참석하는 공개평가 및 선정결과 공개발표 등
시 간 | 내 용 | 비 고 | |
---|---|---|---|
12:30~13:00 | (’30) | 사전등록(이름표 배부) | 진행:좌장(위원장) 발표 30분 / 질의응답 30분 6개 분과 구성 |
13:00~14:00 | (60′) | 신청기관1 대면평가 | |
14:05~15:05 | (60′) | 신청기관2 대면평가 | |
15:10~16:10 | (60′) | 신청기관3 대면평가 | |
16:15~17:15 | (60′) | 신청기관4 대면평가 | |
17:20~18:20 | (60′) | 신청기관5 대면평가 | |
18:20~18:50 | (30′) | 종합토론 및 수행자 선정 | 평가단 |
18:50~19:00 | (10′) | 선정결과 공개 발표 | 좌장(위원장) |
2019 대한민국 산업기술 R&D 대전 출품기관 모집(연장)
-
- □ 행사 개요
ㅇ (목적) 산업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한 R&D 성과 및 미래기술을 국민들에게 확산하고, 연구개발자의 자긍심 고취 및 소통의 場 마련 |
ㅇ (일시/장소) `19. 12. 12.(목)~14.(토), 3일간 / 서울 COEX B홀 ※ 12일은 전야제 행사(포럼)를 개최하고, 전시회는 2일간 개최 |
ㅇ (주최/주관) 산업통상자원부 / R&D 전담기관(KEIT, KETEP, KIAT) |
ㅇ (구성) 5대 핵심전략투자분야 R&D성과전시, 미래신기술 체험, 대한민국기술대상 시상제, 국제 컨퍼런스, 경진대회 등 |
-
- □ 행사 내용
ㅇ ‘5대 핵심전략투자분야’ 중심의 산업기술 R&D 성과 및 대한민국 미래를 이끌어갈 ‘초고난도 기술’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전시 ※ 기술 중심의 전문성 강화로 他 전시회와 차별화 및 정체성 확립 ※ 5대 핵심전략투자분야 : 편리한수송, 건강, 스마트리빙, 친환경에너지, 제조혁신 |
ㅇ 해외 저명인사 초빙 컨퍼런스 개최 및 체험존 기획‧구성 – (컨퍼런스) 해외 석학/기업인을 초빙하여 글로벌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R&D정책 방향 모색 – (체험존) 로봇, 드론, VR/AR, IoT, 3D프린터 등 4차산업혁명관련 아이템 기획모집 및 구성 |
ㅇ 유공자 포상, 기술제품홍보 행사, 청년‧중‧고생의 참여 확산 등 – 대한민국산업기술대상 및 산업기술 유공자 포상, 임베디드S/W경진대회, 산업융합분야 해커톤대회 개최 등 |
-
- □ 출품기관 모집내용
- ㅇ 5대 핵심전략투자 분야 관련 정부 R&D 또는 자체 R&D로우수한 기술‧제품을 개발하여 기술적‧경제적 성과를 창출하거나 개발중인 기관(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
(5대 핵심전략투자 분야) |
‧ 편리한 수송 : 전기‧수소자동차, 자율주행차, 친환경 스마트 조선 해양플랜트, 차세대항공(드론포함) ‧ 건강 : 디지털 헬스케어, 맞춤형 바이오 진단‧치료, 스마트 의료기기 ‧ 스마트리빙 : 스마트홈, 서비스로봇, 웨어러블 및 가상‧증강기술, 미래형디스플레이, 지능정보서비스 ‧ 친환경 에너지 : 수소에너지, 재생에너지, 지능형 전력시스템, 에너지효율향상, 청정생산, 원자력안전 및 해체 ‧ 제조혁신 : 첨단소재, 차세대반도체, 첨단 제조공정‧장비, 스마트산업기계, 스마트 엔지니어링, 3D프린팅 |
** 각 분야 관련된 소재부품, 융복합기술 등도 해당분야로 간주함 ** 각 분야의 자세한 범위는 신청홈페이지 붙임 분류표 참조 |
- * 기술 또는 사업화에 혁신적인 성과(세계최초, 혁신적 신기능, 기존시장 대체, 신시장 개척 등)가 있거나 기대되는 기타분야의 우수 신기술‧제품도 가능(필요시)
- – 연구자 및 일반인이 기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직‧간접적으로 시연 또는 체험 가능한 기술‧제품이 있는 기관 우대
- * 5대 핵심전략투자 분야 및 미래산업 관련 체험존 별도 운영 예정
- ㅇ 혁명적인 미래산업사회로 가기 위한 제품‧부품‧소재 등의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거나 관련 파급효과가 매우 큰 도전적/고난도 기술․제품
- ㅇ 시장규모나 파급효과가 크고 일본 등에 수입의존하던 것을 사업화완료, 개발완료 또는 개발중인 품목(소재·부품·모듈·장비 등)(추가) – 신청서에 해당사항 표기 요망
- ㅇ 신청기간 : 2019. 7. 8 (월) ~ 8. 23 (금) (연장)
- ㅇ 신청요령
- □ 출품기관 선정 및 출품참가기관 지원내용
- ㅇ 출품 제품‧기술의 기술성, 경제성, 전시효과 및 부스운영 계획기준으로 심사하여 우수한 기관을 출품기관으로 선정 (‘19.9월중)
- ㅇ 전시회 참가비 : 무료
- * 단, 독립부스 신청기관은 자체부담(체험존에 출품하는 경우 부스비용 일부 지원가능)
- ㅇ 출품기업에 대한 기술․제품 홍보, 우수전시기업 포상 등
- * 세부 지원사항은 신청홈페이지 붙임자료 참조
- □ 문의처
- ㅇ 문 의 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성과확산팀 (Tel: 042-712-9231, 9214)
‘2019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 분야 혁신성장 기업, 우수 기업 및 연구자상’ 시상계획 공고
◇ 목적
- 바이오분야 산업발전에 기여한 우수 기업 및 연구자의 공로를 치하하여 그간의 노고를 격려하고, 바이오산업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혁신성장 기업을 포상하여 예비창업자들의 창업의욕 배양 및 경영인들의 자긍심 고취와 더불어 바이오 산업계의 사기진작을 도모
◇ 시상일시 : 2019년 11월 12일(화)
◇ 시상부문
- (혁신성장 기업 부문) 기술혁신 및 경영성과를 통한 국가경제산업발전 및 글로벌시장 진출, 일자리 창출 등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기업
- * 스타트업과 중소⋅중견⋅대기업의 두 부문에서 우수 기업 각 1개씩 선정
- [바이오 혁신성장 기업상 선정 대상 기준]
■ 바이오산업 기술혁신에 탁월한 성과(R&D 활성화, 특허 확대 등)을 달성하여 타의 모범이 되는 기업
■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에 탁월한 성과(매출증대, 투자유치, 수출활성화 등)을 달성하여 타의 모범이 되는 기업
■ 기업의 경영활동 및 기술개발을 통하여 기타 경제산업 발전효과를 유발하고 이로 인한 고용확대에 공헌한 기업 - (우수 기업 부문) 산업부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로, 매출‧수출 신장, 고용 확대 등 사업화 성과를 도출한 기업
- (우수 연구자 부문) 산업부 R&D를 통해 개발된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우수 기술 개발 및 산업화에 직접적 공로가 있는 연구자
- [우수 기업 및 연구자 선정 대상 기준]
■ 산업부 R&D 지원을 통해 최종평가에서 ‘혁신성과’, ‘보통’ 판정을 받은 기술 (중간평가 시 ‘조기종료(혁신성과, 보통)’ 판정을 받은 기술 포함) 또는 과제 진행 중이라도 탁월한 성과를 도출한 기술
* 바이오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이외 산업부 타사업 과제도 바이오분야 해당될 경우 선정 가능
* 바이오분야 : 의약/산업/융합/그린 바이오분야 산업부 전 R&D사업
■ 바이오 분야 연구관련 단체의 장이 추천 또는 신청
ㅇ 바이오분야 산·학·연 기관 및 한국바이오협회, 한국생물공학회 등
◇ 시상방식
- 바이오 혁신성장 기업 및 산업부 바이오R&D 우수 기업 및 연구자 부문을 선정하여 시상식 개최
- * 시상식 당일 세부일정은 별도 공지 예정
◇ 시상내용
- 혁신성장 기업 :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2개 (스타트업 1개, 중소·중견·대기업 1개)
- 우수 기업 :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1개, 한국바이오협회장상 1개 (총 2개 기업)
- 우수 연구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1개, KEIT 원장상 1개 (총 2명)
- * 장관상 수상 기업 및 연구자는 시상식 당일 수행 연구내용에 대해 발표 진행 예정
- * KEIT 원장상 및 한국바이오협회장상은 우수한 기업 또는 연구자가 많을 경우 수상자가 추가될 수 있음
2. 신청(추천) 자격
◇ 바이오 혁신성장 기업 부문 기본요건
- 바이오분야 기업
- * 스타트업과 중소⋅중견⋅대기업의 두 부문에서 우수 기업 각 1개씩 선정
- 상훈법령(정부포상업무지침 포함) 및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포상 처리지침 준용
◇ 우수 기업 및 우수 연구자 부문 기본요건
- 산업기술혁신사업 중 바이오분야 지원과제 수행자
- 해당분야 공적기간이 최소 5년 이상인 자
- 상훈법령(정부포상업무지침 포함) 및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포상 처리지침 준용
◇ 기업표창(바이오 혁신성장 기업 및 우수기업) 제한사항
- 포상추천일 기준, 최근 2년 이내 단체표창을 받은 분야와 동일한 분야의 공적으로 추천되는 경우
- 기 포상받은 공적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 최근 2년간 산업재해 등과 관련하여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명단이 공표된 사업장(민간단체에만 적용)
- * 다만, 사업장 또는 그 임원 등이 그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업무에 관한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 하지 아니한 경우로 고용노동부가 인정하는 때는 추천할 수 있음
- 공정거래관련법 위반 법인(민간단체에만 적용)
- – 최근 2년 이내 3회 이상 고발 또는 과징금 처분을 받은 법인(단체)
- * 고발 및 과징금을 동시에 받은 경우(동일사건번호)는 1회로 처리
- – 최근 1년 이내 3회 이상 시정명령 처분을 받은 법인(단체)
- * 다만 사업장 또는 그 임원 등이 그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업무에 관한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 하지 아니한 경우로 공정거래위원회가 인정하는 때는 추천할 수 있음
- 회계법인의 감사의견이 “의견거절”, “부적정”, “한정”인 상장회사
-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법령위반으로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을 받은 법인(단체포함)
- * 다만 포상추천일 기준, 참여제한 종료일이 경과한 경우 추천 가능
- 「근로기준법」등에 의하여 임금체불과 관련하여 명단공개 또는 전국은행연합회에 자료제공이 된 체불사업주(단체)
- – 최근 3년간 근로기준법 제43조의2, 같은 법 시행령 제23조의2에 의한 체불사업주로서 명단이 공개된 자 및「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른 회생절차개시 결정을 받거나 파산선고를 받은 체불사업주와 「임금채권 보장법 시행령」제5조에 따른 도산 등 사실인정을 받은 체불사업주
- – 최근 3년간 근로기준법 제43조의3, 같은 법 시행령 제23조의4에 의한 체불사업주로서 종합신용정보집중기관(전국은행연합회)에 체불자료가 제공된 자 및「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른 회생절차개시 결정을 받거나 파산선고를 받은 체불사업주와 「임금채권보장법 시행령」제5조에 따른 도산 등 사실인정을 받은 체불사업주
- * 포상추천일 이전 체불사건이 권리구제로 취하 또는 체불임금을 청산한 경우 추천 가능
- 산업통상자원부 공적심의회에서 표창대상으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우수기업 표창에만 적용)
- 기타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장관표창이 부적합한 경우
◇ 개인표창(우수연구자) 제한사항
- 형사처벌 등을 받은 자
- 표창추천일 기준, 직전 장관표창 수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지 않은 자
- 최근 2년간 산업재해 등과 관련하여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명단이 공표된 사업장의 임원(사업장 관할 등기 또는 미등기임원)
- * 다만, 사업장 또는 그 임원 등이 그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업무에 관한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 하지 아니한 경우로 고용노동부가 인정하는 때는 추천할 수 있음
- 공정거래관련법 위반 법인의 대표자와 임원
- – 최근 2년이내 3회 이상 고발 또는 과징금 처분을 받은 법인(단체 포함)의 대표자와 등기임원
- * 고발 및 과징금을 동시에 받은 경우(동일사건번호)는 1회로 처리
- – 최근 1년 이내 3회 이상 시정명령 처분을 받은 법인(단체포함)의 대표자와 임원
- * 다만, 사업장 또는 그 임원 등이 그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업무에 관한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 하지 아니한 경우로 공정거래위원회가 인정하는 때는 추천할 수 있음
- 회계법인의 감사의견이 “의견거절”, “부적정”, “한정”인 상장회사의 대표자와 임원
-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법령위반으로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을 받은 자 또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을 받은 법인(단체포함)의 대표자와 그 임원
- * 다만 표창추천일 기준, 참여제한 종료일이 경과한 경우 표창추천 가능
- 「근로기준법」에 의하여 임금체불과 관련하여 명단공개 또는 전국은행연합회에 자료제공이 된 체불사업주(개인)
- – 최근 3년간 근로기준법 제43조의2, 같은 법 시행령 제23조의2에 의한 체불사업주로서 명단이 공개된 자 및「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른 회생절차개시 결정을 받거나 파산선고를 받은 체불사업주와 「임금채권 보장법 시행령」제5조에 따른 도산 등 사실인정을 받은 체불사업주
- – 최근 3년간 근로기준법 제43조의3, 같은 법 시행령 제23조의4에 의한 체불사업주로서 종합신용정보집중기관(전국은행연합회)에 체불자료가 제공된 자 및「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른 회생절차개시 결정을 받거나 파산선고를 받은 체불사업주와 「임금채권보장법 시행령」제5조에 따른 도산 등 사실인정을 받은 체불사업주
- * 포상추천일 이전 체불사건이 권리구제로 취하 또는 체불임금을 청산한 경우 추천 가능
- 기 포상받은 공적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자
- 산업통상자원부 공적심의회에서 표창대상자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 기타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장관표창이 부적합한 경우
◇ 기타 유의사항
- 포상 대상자 추천 시 공적내용의 진실성과 적격성, 객관적 사실 관계 등을 확인하고, 기타 추천제한 사유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청
- 향후 공적내용이 사실과 다르거나 장관포상업무지침상의 추천제한 사유에 해당될 경우 수상 전후에 관계없이 포상 철회 또는 취소될 수 있음
- 표창 신청 시 공적조서에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재 유무 등 허위 사실을 기재한 경우 포상 철회 또는 취소될 수 있음
3. 선정절차 및 평가기준
◇ 선정절차
- 신청접수 → 사전검토(요건심사) → 선정위원회(수상자 선정)
- * 사전검토 : 접수문건 확인 및 부도, 휴‧폐업, 회계현황, 국가 R&D 참여제한 여부 등 요건 부적절 사항 검토
- * 필요시 성과관련 증빙 확인을 위한 면담조사 실시
◇ 평가기준
부문 | 평가항목 | 평가세부기준 |
---|---|---|
바이오 혁신 성장 기업 |
기술혁신 | ◈ R&D 환경 및 활동, 성과 등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의 우수성 |
경영성과 | ◈ 성장성 및 수익성, 안정성, 고용 등 기업의 경영 성과 | |
글로벌 진출 | ◈ 기술협력 및 기술수출, 해외 인⋅허가, 수출액 등 기업의 글로벌 진출 성과 | |
기타 | ◈ 국내외 수상 실적 및 투자유치 현황, 사회공헌 등 기타 경제⋅사회적 기여도 | |
우수 기업 |
사업화 성과 | ◈ 예산투입 대비 매출액/비용절감의 우수성 ◈ 지원과제(개발기술)와 연관성 ◈ 혁신기여도(기술이전, 국산화, 수입대체, 시장개척, 기법 및 공정, 생산성 등) |
파급효과 | ◈ 고용효과(신규 인력 창출 효과) ◈ 기업성장 및 글로벌화 기여도(전체 매출액 기여도, 기술이전, 해외진출 성공 등) ◈ 신시장 창출 기여도(창업기업, 스핀오프 등) |
|
우수 연구자 |
기술의 우수성 | ◈ 기술의 독창성 및 혁신성 ◈ 국내외 경쟁기술과의 비교우위성 ◈ 기술을 통한 지식창출정도(특허, 논문 등) |
파급효과 | ◈ 향후 시장진입 및 확대 가능성 정도 ◈ 개발기술의 전․후방 연방효과 ◈ 미래사회 기술 및 산업에 대한 파급정도 |
4. 관련 서류제출
◇ 신청(추천)서 교부 및 접수
- 관련양식 : [첨부] 참조
- * http://www.keit.re.kr > 알림마당 > KEIT공지 란에서 양식 다운로드 가능
- 신청(추천)서 접수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바이오융합팀 서선영 전임연구원
- – 연락처 : Tel.053-718-8424 / E-mail. live@keit.re.kr
- 접수방법 : E-mail 접수만 가능
- * 직인, 서명 등이 포함된 부분은 해당 페이지를 PDF파일로 송부 후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 접수기한 : 2019. 8. 2. (금) ~ 8. 30. (금) (E-mail 수신기준)
◇ 제출서류 등 참고사항
- 제출서류
- – 신청(추천)서
– 사업자등록증
– 2016년~2018년 대차대조표 및 손익계산서(외감법인 이상인 경우 생략)
– 기타 실적에 따른 증빙서류
– 시상 후보자 이력서
* 우수 연구자 신청 시 소속기관의 사업자등록증 및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제출 - 참고사항
- – 제출서류는 PDF 파일(원본 스캔) 제출(필요시 원본 요청 가능)
– 신청(추천)서의 공적내용은 증빙자료가 있을 경우에만 인정함
– 제출서류는 반환하지 않으며 자세한 서류작성 방법 및 목록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홈페이지 참조
◇ 유의사항
- 포상 대상자 추천 시 공적내용의 진실성과 적격성, 객관적 사실 관계 등을 확인하고, 기타 추천제한 사유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청
- 포상 대상자에게는 범죄경력조회 등을 위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고, 인적사항과 주요공적이 공개됨을 사전에 동의
2019년도 중소기업 기술보호 컨퍼런스 사전신청 안내
제8차 돌연변이 육종기술 전문가 과정(2019) 교육훈련 개최 안내
「제8차 돌연변이 육종기술 전문가 과정(2019)」 교육훈련 공고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2019년 돌연변이 육종기술 교육훈련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고자 교육계획을 공고하오니 관심 있는 육종가 및 연구자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2019.8.5.)
주관 기관
❍ 주관 및 주최: 한국원자력연구원(첨단방사선연구소)
❍ 후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교육 일정 및 장소
❍ 교육기간: 8월28일(수) – 8월30일(금) (합숙 3일)
❍ 교육시간: 1일 8시간 기준
❍ 교육장소: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방사선육종연구센터
[전북 정읍시 금구길 29(신정동 1266번지)]
교육 내용
❍ 교육: 23 시간(세부교육일정 참조)
– 이론교육: 16 시간 / 실습교육: 5 시간
– 오리엔테이션 및 수료식: 2 시간
– 교육 기간 개인시료 무료 방사선조사 가능(개인당 1박스 제한*)
*박스 크기: 60cm(가로)*40cm(세로)*20cm(높이), 부피 초과 시 조사 불가
❍ 방사선과 방사선 조사시설의 기능에 대하여 이해하고 방사선 조사방법 및 화학돌연변이제 조제 및 처리방법 등을 현장 실습
– 방사선조사처리 실습은 가급적 교육생이 직접 준비한 시료를 대상으로 추진함으로써 실무 적용성을 극대화함
❍ 화훼류, 채소류 및 식량작물 등 실제 연구자가 사례발표 형식으로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교육이수 후 바로 현장 적용이 가능하도록 입체적 교육 실시
교육 대상
❍ 대상인원: 15 ~ 20명 내외(최대 20명)
❍ 대상자: 민간육종가(업체, 개인육종가*), 직무육종가(기관) 및 대학(원)생
*개인육종가: 작물별 전문 재배가로 향후 육종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가 있는 자
교육비
❍ 연구소 지원: 강의료, 교재비 및 조사 실습비
❍ 참가자 개인부담: 숙박비 및 식비
– 숙박비: 2인실-3만원, 1인실–5만원(첨단방사선연구소 게스트하우스)
- 2박 3일 기준, 1·2인실 각 선착순 배정
- 8월 23일 까지 담당자 계좌 이체, 영수증 교육 당일 배포
– 식비: 24,000원, 미 입금 개인 지출(연구소 내부 6식)
- 구내식당 자판기 이용(4,000원×6식)
교육수료
❍ 해당 교육 일정을 모두 수료한 자에게 수료증 수여
❍ 교육 종료 시 수료자에게 교육과정 설문 실시
2019년도 안전인증역량강화사업(소비자제품안전기술기반조성)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2019년도 안전인증역량강화사업(소비자제품안전기술기반조성)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2019년도 안전인증역량강화사업(소비자제품안전기술기반조성)의 신규지원 대상 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해당 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신청요령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목적
- 안전취약 위해제품, 융복합제품의 안전기준 연구와 신종유해물질 등 위해성 평가 및 시험검사방법 개선연구 등을 통한 소비자 제품안전 강화
지원구분
- (기술개발) 융․복합제품 안전기준 적기마련, 어린이 안전취약·사고다발 제품 및 기술진보 제품의 안전기준 제·개정 등
- (기반조성) 안전관리 사각제품의 위해성 평가, 위해제품 효율적 차단을 위한 안전 관리체계 개선 및 기업 자율적 제품안전경영체계 구축 등
지원규모
- 신규지원 예산 : 37.34억원 이내
지원조건
- 지원금액 : 과제당 정부출연금 2억원/년 이내
- 지원기간 : 12개월
지원 방식
- 공모 방식 : 지정공모 및 자유공모(품목지정형 자유공모 포함)
- ① 지정공모형 과제 : 해당 과제 제안요구서(RFP)의 내용 및 자격요건, 사업기간 등을 반영하여 사업계획서 제출
- ② 자유공모형 과제 : 사업 수행자가 자유롭게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을 제안하여 제출
- ③ 품목지정형 과제 : 제시된 품목 내에서 자유공모방식으로 과제 및 수행기관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품목요약서의 내용을 참고하여 제안 품목과 관련한 사업계획서 제출
지원대상분야
- [1] 기술개발과제 : “자유공모” , “품목지정”방식으로 지원
- 1목표 : 융복합제품 안전기준 적기마련, 어린이 안전취약·사고다발 제품 및 기술진보 제품의 안전기준 제·개정 등
- 2지원 대상 : 기술혁신 가속화 등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융복합제품, 기술진보 제품 및 어린이 안전취약․사고다발 제품 등의 안전성 확보 등
- 3주관기관 : 비영리기관
- 4참여기관 : 제한 없음(4-1. 신청자격 참조)
- 5지원기간 : 12개월 이내, 정부출연금 : 2억원/년 이내
- 6기술료 : 비징수
- * 식품, 의약품, 화장품, 의료기기, 소방기구, 독극물, 자동차, 철도, 항공, 무기류, 고압 가스용기 등 타 법에서 관리·운영하는 품목은 동 사업에서 지원 제외
- * 세부내용은 첨부-2. 품목요약서 참조
- 자유공모 : 기술개발과제 지원대상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과제 신청
- 품목지정(7건) : 제안 품목의 지원범위에 맞춰 과제 신청[첨부-2. 품목요약서 참조]
-
구분 과제명 사업비 기간 주관 기술료 1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이차전지의 안전기준(안) 개발 2.0억원
이내12개월 비영리 비징수 2 소비자보호를 위한 소형 전자기기용 이차전지 시험·인증 기준(안) 개발 3 개인형 이동수단에 대한 제품안전성 강화방안 마련 4 전지 탑재 이동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안전기준(안) 개발 및 전기차 충전기 안전기준 최신 국제표준 부합화 5 벽지 내 중금속 위해성 평가 및 안전기준 개발 6 실내용 바닥재 안전기준 개정안 개발 7 자동차용 휴대용 잭 안전기준 개정안 개발
- [2] 기반조성 과제 : “지정공모”, “자유공모”,”품목지정” 형태로 지원
- 1목표 : 안전관리 사각제품의 위해성 평가, 위해제품의 효율적 차단을 위한 안전 관리체계 개선 및 기업 자율적 제품안전경영체계 구축 등
- 2지원 대상 : 시중유통 비 관리제품 및 신규 화학물질의 위해성평가 연구와 제품 유통관리체계 개선 및 제품 안전경영체계 구축 등
- 3주관기관 : 비영리기관
- 4참여기관 : 제한 없음(4-1. 신청자격 참조)
- 5지원기간 : 12개월 이내, 정부출연금 : 2억원/년 이내
- 6기술료 : 비징수
- 지정공모(8건) [첨부-1. 과제제안요구서(RFP) 참조]
-
구분 과제명 사업비 기간 주관 기술료 1 리콜이행 관리를 위한 전주기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2.0억원
이내12개월 비영리 비징수 2 제품안전 사전대응을 위한 위해정보 수집·분석체계 연구 및 논리모형 개발 3 제품안전정보포털 전문화를 위한 플랫폼 구축 개발 연구 4 소비자제품 위험수준 평가방법 개발 및 시스템 구축 5 어린이제품 안전기준 심층분석을 통한 품목별 가이드라인 발간 6 기업의 혁신성 제고 및 효율적 안전기준 제·개정을 위한 어린이제품 안전관리정보시스템 개발방안 연구 7 어린이제품 안전관리 대상 유해물질 동시 스크리닝 시험방법 개발 8 소비자제품 화학물질 모니터링 및 위해정보 전산화 기반 구축
- * 세부내용은 첨부-1. 과제제안요구서(RFP) 참조
- 자유공모 : 기술개발과제 지원대상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과제 신청
- 품목지정(3건) [첨부-2. 품목요약서 참조]
-
구분 과제명 사업비 기간 주관 기술료 1 전자담배기기의 안전확보를 위한 위험성 검증 기반조성 2.0억원
이내12개월 비영리 비징수 2 야외 운동기구 안전성 평가시스템 구축 및 실증평가 3 금속장신구의 민간자율 안전관리 구축을 위한 기반조성
평가항목
- * 기술성 및 개발능력 (50)
- – 사업/개발목표의 적정성과 명확성(10)
- – 기술의 혁신성과 차별성(10)
- – 기술개발 추진전략 및 체계의 적정성(10)
- – 총괄책임자 및 연구팀 능력(10)
- – 기술적(사회적) 파급효과(10)
- * 안전성 활용 및 사업화 가능성 (50)
- – 안전성향상의 가능성(10)
- – 안전기준화 가능성(10)
- – 사업화계획의 적정성(10)
- – 시장진입가능성 및 성장성(10)
- – 경제성 및 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10)
신청방법 및 제출기한
- 1공고기간 – 2019. 08. 02(금) ~ 09. 02(월)
- 2신청서 및 관련 양식 교부 – 양식교부 : 2019. 08. 12(월) ~ 09. 02(월) / 양식교부 및 접수안내 : 산업기술지원 사이트(itech.keit.re.kr)
- 3온라인 접수기간 – 2019. 08. 19(월) ~ 09. 02(월) 18:00까지
- 4온라인 접수마감 – 2019. 09. 02(월), 18:00까지
- * 18시 정각에 접수가 마감되니 유의하시기 바라며, 18시 이전에 과제번호를 부여받은 과제에 한하여 같은날 24시까지 제출대상 서류의 추가 업로드, 보완 등이 허용됩니다. 18시 이후, 새롭게 접속하여 신청 및 제출 절차를 시작하는 것은 절대 불가합니다.
- * 기관·인력 신규가입을 위한 법인실명인증, 개인실명확인은 해당 인증기관(서울신용평가정보)의 사무처리 시간(~18:00) 내에만 가능하고 미인증으로 인한 기관·인력의 신규등록 불가 시 온라인접수 진행이 되지 않으니 유의 바랍니다.
-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itech.keit.re.kr)을 통해서만 첨부 서류 접수
- 신청방법 : 계획서 및 첨부서류는 온라인 접수(오프라인 서류 제출 불필요)
- 접수처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itech.keit.re.kr) → 연구과제수행 > 과제접수 메뉴(주관기관이 대표로 온라인제출)
- ㅇ 접수시 시스템에 신청항목 입력 및 전자파일 업로드
- ※ 접수 마감일에는 접속 과부하로 인하여 접수가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접수 요망. 또한, 접수 마감일 18시 이후 신규접수 불가
- ※ 접수 시에는 주관기관의 총괄책임자가 로그인하여 입력·제출이 원칙(itech.keit.re.kr 회원가입 필요)
- ※ 직인이 필요한 별첨 서식의 경우 스캔본 업로드를 원칙으로 하나, 일부 온라인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서식의 경우는 전자서명 등으로 대체 가능
- ※ 제출된 서류 및 사업계획서 등이 허위, 위․변조, 그 밖의 방법으로 부정하게 작성된 경우 관련 규정에 의거, 선정 취소 및 협약해약 등 불이익 조치함
-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지원분야 및 신청자격 등 자세한 사항은 공고문 및 사업별 안내문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과제접수 & 기관등록 매뉴얼
- 과제접수와 기관등록시 아래의 매뉴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과제접수 매뉴얼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 과제접수 매뉴얼.pdf 붙임참조
- [ 기관등록 매뉴얼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 회원가입(기관정보관리) 매뉴얼.pdf 붙임참조
문의처
- 1신청서류 온라인 제출 관련 문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R&D상담콜센터 (☎ 1544-6633)
- 2과제접수/신규 평가 등 절차 관련 문의
-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책과] (☎ 043-870-5412)
-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표준인증팀] (☎ 053-718-8272)
[시장밀착형 지식서비스기술개발사업(가칭)]신규사업 기획을 위한 수요조사 공고
[시장밀착형 지식서비스기술개발사업(가칭)]신규사업 기획을 위한 수요조사 공고
- 안녕하십니까?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은 산업기술 분야의 기술 기획과 정책 활동을 통해 국가 R&D사업이 우수한 연구 성과를 창출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 국가연구개발사업 중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식서비스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이 2021년 일몰됨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은 2021년부터 2027년까지 신규 지식서비스R&D사업의 기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이를 위해 산·학·연 전문가 분들의 향후 2021년부터 2027년까지 지식서비스 관련 기술개발 수요를 파악하여 신규사업 기획에 활용하고자 하오니, 귀하(기관)께서 제안하실 의견이 있으시면 기술수요조사 양식을 참고하시어 2019년 8월 12일(월) 18시까지 산업기술지원 홈페이지(itech.keit.re.kr)를 통해 전산 접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9. 7. 16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
기술수요조사
- 목적
- ㅇ 제조업과 서비스 산업의 역량강화 및 경쟁력 동반 향상을 위해 지원되고 있는 지식서비스 신규사업(예타)에 대한 다양한 산·학·연 의견 수렴을 위한 기술수요조사 실시
- 조사항목
- ㅇ 제안기술의 명칭, 지원 필요성, 개발 목표와 내용, 국내외 동향, 고용창출 효과, 규제개선 요구사항, 기대 및 파급효과
기술수요조사서 제안 내용
- 산업문제해결형 제조융합서비스 개발
- – 전통제조산업의 문제해결 및 고부가가치화와 유통물류 서비스 개발 등
- 소비자밀착형 생활산업기반서비스 개발
- – 삶의 질과 관련된 생활산업과의 연계 및 지식서비스 도입으로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제공 등 고부가가치 제품 창출 유도
- 혁신기술연계 서비스 고도화
- – 에듀테크(이러닝), 스마트컨설팅, 스마트케어 등 미래사회의 변화 대응을 위한 융합형 신서비스 창출 지원
조사대상
- 제조융합서비스, 생활산업서비스, 서비스산업 고도화에 관심이 있고 참여 의사가 있는 국내외 기업, 대학, 연구소, 학회/협회 및 개인
조사기간 및 접수방법
- 기술수요조사 기간 : 2019.7.16.(화) ~ 8.12(월) 18:00까지
- 접수방법 : 산업기술R&D정보포털(itech.keit.re.kr)을 통한 전산접수
-
- * 기술수요조사서 작성 후 산업기술 R&D 정보포털(http://itech.keit.re.kr)에서 전산 등록
-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http://itech.keit.re.kr)에 접속하여 로그인 후, [Join-R&D→수요조사제안서 제출] 선택 후 수요조사 공고목록에서 ‘시장밀착형 지식서비스기술개발 신규사업 기획을 위한 수요조사 공고’ 선택
- * 수요조사양식을 다운로드하여 작성 후, 기본정보입력 및 수요조사서 파일 업로드
기술수요조사 제안서 작성시 유의사항
- 신규사업개요 및 핵심과제를 확인하고 사업성격에 맞는 수요조사서 제출 요망
- 수요조사서의 각 항목은 가능한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작성하되 추정치 제시도 가능함
- 아래의 경우는 접수대상 및 기초자료 활용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음
- – 산업부 및 타부처 사업에서 기지원 또는 지원 예정된 기술수요
- – 신규사업기획 방향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 – 산업부 R&D 사업 성격에 맞지 않은 경우
- – 전산 접수완료를 하지 않은 경우, 접수기간 이후에 수요조사 제안서를 제출한 경우
- – 홈페이지를 통한 접수 및 제출이 아닌 개별적 방법으로 제출하는 경우
- * 예시) 방문, 우편 또는 이메일을 통해 기술수요조사서를 제출하는 경우 등
- – 첨부파일(수요조사제안서) 등 관련 자료를 누락한 경우, 첨부된 기술수요조사 양식 이외의 양식으로 기술수요조사서를 제출하는 경우
- 금번 수요조사는 신규지원 과제를 선정하는 것이 아니고, 신규 후보 사업 및 기술 발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것으로 해당 결과에 대한 이의신청 절차는 없음
- 제출된 서류는 일절 반환하지 않으며, 동 사업의 신규과제 발굴을 위한 참고자료로만 사용됨
- – 제안사항의 검토․활용을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제출된 내용을 관련 전문가 등 제3자에게 공개하거나 제3자와 공유할 수 있음
- * 상기 제3자(전문가 등)에 대해서는 법적, 제도적 보안유지 준수의무에 대한 보안서약서를 징구
- – 제안 기술수요에 대해서는 제안자가 권리 등을 주장할 수 없음
문의처
- ㅇ 자세한 사항은 아래 담당자에게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1기술수요조사 및 사업내용 등 관련 문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엔지니어링디자인팀] ( ☎ 053-718-8223, 8227)
- 2전산등록(itech.keit.re.kr) 및 제출 관련 문의 – [ R&D상담 콜센터 ] ( ☎ 1544-6633 )
2020년 [글로벌 주력산업 품질대응 뿌리기술개발사업]과제 기획을 위한 수요조사 공고
2020년 [글로벌 주력산업 품질대응 뿌리기술개발사업]과제 기획을 위한 수요조사 공고
-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 제 17조의 규정에 따라 뿌리기술 R&D 신규과제 기획을 위한 수요조사 접수기간을 아래와 같이 연장하여 실시함을 공고합니다.
기술수요조사
- 목적 : [글로벌 주력산업 품질대응 뿌리기술개발사업] 2020년 신규 과제(품목형) 기획을 위한 연구개발(R&D) 수요 발굴
- 수요조사 범위 : 3개 산업 13개 핵심모듈내 171개 부품
- 사업개요
- ㅇ 사 업 명 : 글로벌 주력산업 품질대응 뿌리기술개발(R&D)
- ㅇ 사업내용 : 뿌리산업의 애로(내수시장 한계, 수요사 점유율 하락) 해결을 위해 수출 촉진의 일환으로 해외 글로벌 기업이 요구하는 기술 간극 극복 뿌리기술개발
- ㅇ 사 업 비 : 2020년 138억원 지원예정 (기재부 최종 심의 결과에 따라 일부 조정가능)
- ㅇ 지원규모 : 과제당 총 사업기간 3년 내외, 총 정부출연금 30억 내외
- ㅇ 수행기관 : (주관기관) 뿌리기술전문기업 또는 뿌리기업확인서 발급기업* , (참여기관) 뿌리기업, 대학, 연구소 등
- * 수행기관에는 뿌리기업전문기업 1개사와 뿌리기업확인서 발급기업 1개사가 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으로 각각 의무 참여(참여기관에 타 뿌리기업 추가 참여 가능)
수요조사 범위 및 내용
- 글로벌 수요기업*으로 수출가능한 “13개 핵심부품 모듈내 171개 부품과**과 관련된 제품생산을 위한 뿌리 공정기술에 대한 수요조사 실시
- * 글로벌 수요기업 : 동 사업의 기술개발품을 구매하는 글로벌기업으로 3개 산업군별로 별도 지정
- (자동차산업 분야 12개사, 기계-중장비산업 분야 10개사, 전자산업 분야 13개사)
- ** 기 지정된 13대 글로벌 수요대응 핵심부품 모듈내 171개 부품군에 한하여 수요조사 실시
- 지원분야 : 금형, 주조, 소성가공, 용접·접합, 표면처리, 열처리등 6대 뿌리기술분야로서 “뿌리산업 진흥 및 첨단화에 관한 시행령에 고시된 세부기술분야”(2011.11)
수요조사 접수방법
- 접수방법 : 아래 2가지 방법중 택1
- ① 산업기술지원(i-Tech site)를 통해 전산접수 : (시스템 로그인 후 + 수요조사 양식(별첨1)을 작성후 첨부파일로 시스템에 업로드)
- ② 이메일 접수 (수요조사 양식(별첨1)을 e-mail의 첨부파일로 송부) (ppuri@keit.re.kr 로 이메일 송부)
- 수요조사 공고 및 접수기간 : 2019. 7. 22(월) ~ 8.23(금) 18:00까지
- * 접수 마감일 18시까지 첨부파일 제출이 완료된 수요에 한하여 접수 인정됨
수요조사 작성․제출시 유의사항
- 수요산업 관련사항중 5개 항목(수요산업, 모듈명, 부품코드, 부품명, 수요기업)은 반드시 별첨2) 리스트 파일을 참조하여 입력
-
- ① 아래 제시된 글로벌 Top10 해외기업과 Top500 국내기업 (총35개 기업)의 수요에 한해 과제 발굴
수요산업 글로벌 수요기업 자동차 【12개사】 General Motors (미국), Ford Motor (미국), Toyota Motors (일본), Honda Motor (일본), NISSAN Motor (일본), Volkswagen (독일), Daimler (독일), BMW Group (독일), Hyundai Motor (한국), Kia Motor (한국), SAIC Motor (중국), Dongfeng Motor (중국) 기계-중장비 【10개사】 General Electric (미국), Caterpillar (미국), Deere (미국), Illinois Tool Works (미국), Parker-Hannifin (미국), Siemens (독일), Mitsubishi Heavy Industries (일본), Komatsu (일본), Sinomach (중국), CRRC (중국) 전자 【13개사】 Apple (미국), Dell Technologies (미국), Intel (미국), HP (미국), Cisco Systems (미국), Hitachi (일본), Sony (일본), Panasonic (일본), Samsung Electronics (한국), LG Electronics (한국), SK Hynix (한국), Huawei Investment & Holding (중국), Lenovo Group (중국) - ② 별첨으로 첨부된 13개 모듈내의 171개 부품(글로벌 35개 기업의 주요 수요 부품)에 한하여 수요 발굴
-
- 국가예산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 R&D 사업 과제로 기 지원되었던 과제는 제외
-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its.go.kr) 및 산업기술지원사이트(itech.keit.re.kr)를 사전에 미리 검색하여 기 개발 또는 기 지원된 과제가 아닌 경우만 제출하여야 함
- 아래의 경우 수요조사대상에서 제외됨
- – 접수기간 내에 수요조사서를 제출하지 않고 추후 개별 제출
- – 요구양식 이외의 양식으로 수요조사서 제출
향후 추진일정
- 차년도 신규과제 기획에 활용 (8월 ~ 11월)
- *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접수된 기술수요는 공고 대상 과제로 기획하여 연차별 정부예산 범위내에서 우선순위 순으로 지원예정
(후순위 미기획 수요는 자동으로 과제 Bank에 포함되어 21년 과제 기획시 활용예정)
문의처
- 본 공고문 내용 및 관련자료(양식 및 별첨)는 산업기술지원사이트(itech.keit.re.kr) > 사업공고 > 과제기획공고 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 동 수요조사 관련 질문사항은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1기술수요조사 및 사업내용 등 관련 문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뿌리PD실 , 이병현 책임] ( ☎ 053-718-8343, ppuri@keit.re.kr)
- 2전산등록(itech.keit.re.kr) 및 제출 관련 문의 – [ R&D상담 콜센터 ] ( ☎ 1544-66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