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2019년 대전 일본 무역사절단 참가업체 모집 공고

사업개요

대전 소재 중소 제조업체의 해외진출을 위하여 ‘2019 대전 일본 무역사절단’ 참여시 상담장 임차료, 현지 차량 임차료, 통역비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대전 소재 본사 또는 공장등록 중소 제조업체

☞ 바이어 발굴 용역 소요경비, 시장조사비, 통역비 등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관내 본사 또는 공장등록 중소 제조업체

지원조건 및 내용

ㅇ 파견개요

– 파견지역 : 일본(후쿠오카, 나고야, 도쿄)
– 파견기간 : 2019. 10. 27(일) ~ 11. 2(토), 6박 7일

– 참가품목 : 종합품목

 

ㅇ 지원내용

– 바이어 발굴 용역 소요경비, 시장조사비
– 상담장 임차료, 현지 차량 임차료, 통역비, 항공료 40%(1社당 1人 한도)
ㆍ 개별업체 소요경비 : 항공료(60%), 숙식비(체재비) 등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후 서류는 이메일 제출
– 온라인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hp.kosmes.or.kr)
– E-mail : jeonyj0415@kosmes.or.kr

 

ㅇ 신청 서류 : 사업자등록증 및 공장등록증, 품목설명서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42-862-9203 홈페이지URL http://hp.kosmes.or.kr/
담당자명 전예지
담당자 이메일 jeonyj0415@kosmes.or.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42-862-9203 홈페이지URL http://hp.kosmes.or.kr/
담당자명 전예지
담당자 이메일 jeonyj0415@kosmes.or.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hp.kosmes.or.kr) → 알림광장 → 공지사항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문의처

담당자

전화번호

E-MAIL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전예지 사무원

042-862-9203

jeonyj0415@kosmes.or.kr

대전시 기업창업지원과

박선희 주무관

042-270-3702

psh7417@korea.kr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 주관기관(대기업 등) 모집(2019년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사업 공고)

사업개요

민간이 협업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추진하여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 및 민간의 자발적 확산체계 마련을 도모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중소ㆍ중견기업과 협력하여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이 가능한 대기업ㆍ공공기관ㆍ민간기관(협업기관과 컨소시엄 가능)

 

☞ 주관기관(대기업 등)이 중소ㆍ중견기업과 협력하여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경우, 정부가 구축비용의 일부를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신청자격 및 우대요건
– 신청자격 : 중소ㆍ중견기업과 협력하여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이 가능한 대기업ㆍ공공기관ㆍ민간기관(협업기관과 컨소시엄 가능)
ㆍ 협업기관은 정부 지원금 위탁운영에 결격사유가 없고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 역량을 소유한 공공ㆍ민간기관
– 우대요건 : 중소ㆍ중견기업과 즉시 매칭 가능한 공급기업 확보, 중소ㆍ중견기업에 노하우 전수 등이 가능한 전문인력 보유 등

지원조건 및 내용

※ 동 공고는 대ㆍ중소상생협력을 위해 정부와 함께 중소기업을 지원할 주관기관(대기업 등)을 모집하는 공고이며, 중소ㆍ중견 기업 모집은 주관기관 선정 후 주관기관(또는 협력기관)에서 별도로 할 예정입니다.

 

ㅇ 지원내용
– 주관기관(대기업 등)이 중소ㆍ중견기업과 협력하여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경우, 정부가 구축비용의 일부를 지원
* 제품설계ㆍ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해 IoT, 5G,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ㆍ제어기ㆍ센서 등 구입 지원
ㆍ 주관기관이 타 기관(협업기관)과 컨소시엄을 이루어 참여할 경우, 협업기관에 한해 중소ㆍ중견기업 모집ㆍ선정 등에 필요한 운영비 지원

 

ㅇ 지원조건
– 유형 1 : 주관기관과 중소ㆍ중견기업이 총 사업비의 70%를 부담하여 스마트공장구축 시 정부가 30%(최대 5천만원) 지원
ㆍ 주관기관은 총 사업비의 30% 이상을 현금으로 부담하여야 함

 

정부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총 구축비용

30%

(최대 5천만원)

70%

30%이상

40%이내

– 유형 2 : 기초수준(레벨 1~2, 2,000만원 내외)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경우 기업부담 없이 정부와 대기업이 100%* 지원
* 지원 : 정부 50%(최대 1천만원), 대기업 50%
** 유형2는 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원
– 의무사항 : 주관기관에서 지원한 중소ㆍ중견기업의 경우 구축 완료시점에서 스마트공장 수준확인제도를 통해 수준측정

 

ㅇ 사업기간 : 최대 6개월 (단, 연장신청을 통해 최대 3개월 연장가능)

지원절차

사업공고

신청접수

주관기관 선정

협약체결

지원기업 모집선정

사업추진

사업완료보고  평가

정부지원금 지급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it.smplatform.go.kr)

ㅇ 신청 서류 : 신청서, 지원 계획서, 사업자등록증명원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민관합동스마트공장추진단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42-388-0753 홈페이지URL https://www.smart-factory.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민관합동스마트공장추진단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42-388-0753 홈페이지URL https://www.smart-factory.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www.mss.go.kr) → 알림소식 → 법령정보 → 훈령ㆍ예규ㆍ고시ㆍ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사업별 담당기관 연락처

구분

기관명

연락처

공고내용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국번없이 1357

신규구축 및 고도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민관합동스마트공장추진단)

042-388-0753, 0757~0760, 0764

1644-1736

(02-6050-2777)

대중소 상생형

시범공장

업종별 특화

로봇활용 제조혁신지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053-210-9532, 9533, 9536

스마트 마이스터

대한상공회의소

02-6050-3855

스마트화역량강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042-388-0758

스마트공장 수준확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042-388-0759

 

ㅇ 지역별 접수 및 문의처(제조혁신센터, TP)

지역

기관명

연락처

서울

서울테크노파크

02-944-6017

부산

부산테크노파크

051-974-9205

대구

대구테크노파크

053-602-1859

경북

경북테크노파크

053-819-3055

포항

포항테크노파크

054-223-2242

광주

광주테크노파크

062-602-0312

전남

전남테크노파크

061-729-2819

제주

제주테크노파크

064-720-3075

경기

경기테크노파크

031-500-3100

경기북부

경기대진테크노파크

031-539-5142~4

인천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032-260-0613

대전

대전테크노파크

042-930-4331

충남

충남테크노파크

041-589-0705

세종

세종지역산업기획단

044-865-9622

울산

울산테크노파크

052-219-6633

강원

강원테크노파크

033-248-5675

충북

충북테크노파크

042-270-2334

전북

전북테크노파크

063-832-6053

경남

경남테크노파크

055-259-5014

2019년 3차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사업 모집 공고

사업개요

중소기업 근로자의 직무능력향상과 기업 경쟁력 제고를 도모하기 위해 업무관련 지식, 노하우를 확산할 수 있도록 학습조 활동, 인프라 구축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학습조직화 실시계획을 수립하여 학습조직화 사업을 실시하는 우선지원 대상기업 또는 사업주단체

☞ 학습조 활동지원, 외부전문가 지원, 우수사례확산, 인프라 구축 지원 등 4가지 유형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근로자 대표와 협의를 거쳐 학습조직화 실시계획을 수립하여 학습조직화 사업을 실시하는 우선지원 대상기업* 또는 사업주단체**로서,
* 「고용보험법 시행령」제12조에 따른 우선지원 대상기업
** 대기업 등에서 우선지원 대상기업인 협력(회원)사와 함께 참여하는 사업주 단체
ㆍ 컨소시엄형의 경우에는 참여기업이 우선지원 대상기업이어야 함
– 일학습병행제, 사업주훈련 등 직업훈련실적이 있는 기관 혹은 일터혁신 컨설팅 참여기업(노사발전재단 주관)으로­ 상시근로자수가 20인 이상으로 4개조 이상 운영이 가능한 기업(사업장)

 

ㅇ 지원제외 업종
① 지방공기업을 포함한 공공기관 및 비영리사업자(사업주단체는 제외)
② 「한국표준산업분류」상 숙박업(휴양콘도 운영업은 제외), 부동산업, 교육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 기타 개인서비스업, 국제 및 외국기관, 다단계 업종
③ 「풍속영업의 규제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른 업종, 「청소년보호법」제2조제5호에 따른 청소년 유해업종, 「성매매알선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제2조제1항제2호 및 제3호의 행위를 목적으로 하는 업종
④ 「중소기업 직업능력개발 지원사업 실시규정」제4조 제2항에 따라 심사위원회가 부적합하다고 판단하는 업종

※ 컨소시엄형의 경우 참여기업을 기준으로 하며, 계속기업 중 ‘19년도 제외업종으로 전환되는 경우는 지원 불가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선정규모 : 약 15개 내외 신규기업(우선지원 대상기업)
※ 상시 공모로 지원 대상 모집 완료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음

 

ㅇ 지원내용
– 주요내용 : 학습조 활동지원, 외부전문가 지원, 우수사례확산, 인프라 구축 지원 등 4가지 유형 (상시공모의 경우 활동기간 5개월)

ㆍ 유형별 세부 지원내용

유 형

지원내용

지원금

학습조 활동 지원

ㅇ 근로자의 학습모임을 위한 학습 활동비 지원

– 학습주제 : 직무와 관련하여 근로자의 직무능력향상에 도움이 되는 문제해결 중심의 주제

※ 외국어 및 사무능력향상 과정 제외

– 학습조 수 : 1년차 4, 2,3년차 최대 6(우수 2,3년차 최대 8)

– 구성인원 : 5인 이상 10인 이하

– 운영기간 : 5개월 ( 2회 이상 개최)

– 학습모임을 위한 강사료교재구입비교재인쇄비재료비 등 지원

 

ㅇ 학습조직화 활성화를 위한 교육 지원

– CEO 연수

– 학습리더 및 조장 역량교육

※ 단공단에서 선정한 교육기관의 교육에 한함

 

ㅇ 학습리더 및 학습조장 활동비

– 학습리더 :기업 당 1

– 학습조장 :학습조당 1

– 운영기간 : 5개월 (2회 이상 개최)

– 학습조 모임의 효율적 수행과 성과제고를 위해 CEO 관심제고지원금 관리 및 기타 행정업무 등 수행

ㅇ 학습조 활동비

– 운영기간 동안 조당 월 30만원 한도*

단 학습조 활동 인원이 8인 이상일 경우 월 40만원

※ 조당 2개월 6080만원 한도 사용 가능

– 우수 2,3년차 조당 월 40만원 한도*

단 학습조 활동 인원이 8인 이상일 경우 월 50만원

※ 조당 2개월 80100만원 한도 사용 가능

부가세는 기업 부담(기업부담금과는 별도로 부담)

 

ㅇ 학습조직화 활성화를 위한 교육비

– 기업당 200만원 한도

 

ㅇ 학습리더 및 학습조장 활동비

–  10만원 한도 (기업 유형별 동일)

단 학습조장 중 학습리더에게는 월 20만원 한도 지원 (기업당 1인에 한함,중복불가)

– 기업이 학습리더 및 학습조장지원비로 지급한 금액의 100분의 70지원

※ 성과평가 결과에 따라 감액지원가능

외부전문가 지원

ㅇ 학습조직화를 위한 전문 코칭 및 컨설팅 지원

– 학습조직화에 필요한 기업진단학습기반 구축을 위한 CEO, 담당자 동기부여문제 해결에대한 피드백 등 외부전문가의 코칭 및 컨설팅 지원

※ 신규기업에 한함

ㅇ 외부전문가 지원

– 기업당 300만원 한도

– 기업이 외부전문가지원비로 지급한 금액의 100분의 70지원

단 외부전문가는 HR전문가현장전문가로 구분

현장전문가 코칭의 경우 정부지원금(소요비용) 9::1 비율로 의무부담금을 조정

우수사례 확산지원

ㅇ 학습조직화 지원기업의 네트워크 활동비 지원

– 학습조직화를 위한 컨설팅 프로그램 지원

– 학습조직화 학습리더 전담자 대회/워크숍

– 우수기업 현장방문 학습 지원

 

ㅇ 사내 학습조 경진대회 지원 (기업주관)

– 지식제안지식마일리지 우수자 포상금

– 사내 학습조 경진대회 포상금

※ 향후 사내 경진대회 결과성과평가와 연계우수 학습조의 경우 상장 및 학습 인프라 지원 시 우대

ㅇ 학습 네트워크 활동비

– 기업당 100만원 한도(종료기업은 기업당 50만원 한도)

 

ㅇ 우수 경진대회 지원금

– 1년차 100만원 한도

– 2,3년차 200만원 한도 (우수기업 동일)

– 기업이 지원금으로 지급한 금액의 100분의 70 지원

 4개조 이하 : 1 50만원 한도 / 5개조 이상 : 1 100만원 한도

(계속기업의 경우 학습조 수에 관계없이 100만원 한도)

학습인프라

구축 지원

ㅇ 학습모임을 위한 학습공간 구축 지원

– 근로자의 학습모임과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별도로 학습공간을 구축할 경우 이에 소요되는 기자재 등 구입비용 지원

※ 지원대상은 예산범위내 별도로 정함

 

ㅇ 학습공간 구축 지원

– 기업당 2,000만원 한도

– 기업이 학습공간 구축비로 지급한 금액의

100분의 70지원

 

ㅇ 지원기간 : 1년을 원칙으로 하되, 성과평가 결과에 따라 최대 3년 지원

지원절차

지원기업 선정

사업계획서 제출승인  사전지원금 지급

CEO연수/리더  조장 교육

사업실시  모니터링

학습조 활동 완료보고

성과평가  회계정산

사후지원금 정산  지급

사업완료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우편 및 방문 접수

– 접수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지부ㆍ지사(하단의 문의처 참조)

ㅇ 신청 서류 : 신청서, 학습조직화 사업수행 계획서, 서약서 등

가점우대제도

ㅇ 사회적기업 인증

ㅇ 노사문화 우수기업
ㅇ 고용창출우수기업
ㅇ 청년친화강소기업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담당부서 소재지 지부ㆍ지사
전화번호 하단의 문의처 참조 홈페이지URL http://www.hrdkorea.or.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담당부서 소재지 지부ㆍ지사
전화번호 하단의 문의처 참조 홈페이지URL http://www.hrdkorea.or.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한국산업인력공단(www.hrdkorea.or.kr) → 소식공간 → 모집중인 사업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한국산업인력공단 지부ㆍ지사 연락처

소속기관

소재지

전화번호

관할구역

서울지역본부

서울특별시

02-2137-0410

서울특별시의 중구ㆍ종로구ㆍ동대문구ㆍ용산구ㆍ마포구ㆍ서대문구ㆍ은평구ㆍ서초구

서울동부지사

서울특별시

02-2024-1732

서울특별시의 성동구ㆍ광진구ㆍ송파구ㆍ강동구ㆍ중랑구ㆍ노원구ㆍ강북구ㆍ도봉구ㆍ성북구·강남구

서울남부지사

서울특별시

02-6907-7176

서울특별시의 관악구ㆍ구로구ㆍ금천구ㆍ동작구ㆍ영등포구ㆍ강서구ㆍ양천구

강원지사

춘천시

033-248-8505

강원도의 원주시ㆍ횡성군ㆍ춘천시ㆍ화천군ㆍ홍천군ㆍ양구군ㆍ인제군경기도의 가평군

강원동부지사

강릉시

033-650-5726

강원도의 영월군ㆍ정선군ㆍ평창군ㆍ태백시ㆍ삼척시ㆍ강릉시ㆍ동해시ㆍ속초시ㆍ고성군ㆍ양양군

중부지역본부

인천광역시

032-820-8608

인천광역시경기도의 부천시ㆍ김포시

경기지사

수원시

031-249-1204

경기도의 안산시ㆍ시흥시ㆍ안양시ㆍ과천시ㆍ의왕시ㆍ군포시ㆍ광명시ㆍ수원시ㆍ화성시ㆍ용인시ㆍ평택시ㆍ오산시ㆍ안성시

경기북부지사

의정부시

031-850-9113

경기도의 고양시ㆍ파주시ㆍ의정부시ㆍ동두천시ㆍ양주시ㆍ구리시ㆍ남양주시ㆍ포천시ㆍ연천군강원도의 철원군

경기동부지사

성남시

031-750-6262

경기도의 성남시ㆍ이천시ㆍ여주시ㆍ광주시ㆍ하남시ㆍ양평군

부산지역본부

부산광역시

051-330-1903

부산광역시의 북구ㆍ사상구ㆍ강서구·중구ㆍ동구ㆍ서구ㆍ사하구ㆍ영도구ㆍ남구ㆍ부산진구ㆍ연제구,경상남도의 김해시ㆍ밀양시ㆍ양산시

부산남부지사

부산광역시

051-620-1934

부산광역시의 동래구ㆍ금정구ㆍ수영구ㆍ해운대구ㆍ 기장군

경남지사

창원시

055-212-7211

경상남도의 진주시ㆍ사천시ㆍ산청군ㆍ거창군ㆍ함양군ㆍ합천군ㆍ하동군ㆍ남해군ㆍ창원시ㆍ함안군ㆍ의령군ㆍ창녕군ㆍ통영시ㆍ고성군ㆍ거제시

울산지사

울산시

052-220-3234

울산광역시

대구지역본부

대구광역시

053-580-2311

대구광역시경상북도의 고령군ㆍ성주군ㆍ칠곡군(석적면 중리국가산업단지 제외)ㆍ군위군ㆍ경산시ㆍ영천시ㆍ청도군

경북지사

안동시

054-840-3015

경상북도의 안동시ㆍ예천군ㆍ의성군ㆍ청송군ㆍ영양군ㆍ영주시ㆍ봉화군ㆍ문경시ㆍ상주시ㆍ구미시ㆍ칠곡군(석적면 중리 국가산업단지)ㆍ김천시

경북동부지사

포항시

054-230-3221

경상북도의 포항시ㆍ영덕군ㆍ울릉군ㆍ경주시․울진군

광주지역본부

광주광역시

062-970-1744

광주광역시전라남도의 나주시ㆍ화순군ㆍ곡성군ㆍ구례군ㆍ담양군ㆍ장성군ㆍ영광군ㆍ함평군

전북지사

전주시

063-210-9219

전라북도 전지역

전남지사

순천시

061-720-8552

전라남도의 여수시ㆍ순천시ㆍ광양시ㆍ보성군ㆍ고흥군

전남서부지사

목포시

061-288-3313

전라남도의 목포시ㆍ신안군ㆍ무안군ㆍ영암군ㆍ진도군ㆍ강진군ㆍ해남군ㆍ완도군ㆍ장흥군

제주지사

제주시

064-729-0723

제주특별자치도 전지역

대전지역본부

대전광역시

042-580-9112

대전광역시충청남도의 금산군ㆍ공주시ㆍ논산시ㆍ계룡시․세종시

충북지사

청주시

043-279-9015

충청북도 전지역

충남지사

천안시

041-620-7617

충청남도의 보령시ㆍ서천군ㆍ부여군ㆍ홍성군ㆍ청양군ㆍ서산시ㆍ

태안군ㆍ천안시ㆍ아산시ㆍ예산군ㆍ당진시

[대구] 북구 2019년 대구액티브시니어축제 참가업체 모집 공고

사업개요

대구시 북구 소재 중소기업, 중소상공인의 체계적인 시니어 건강ㆍ취업지원 시스템 구축과 제품홍보, 판매촉진 및 전시컨벤션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2019 대구액티브시니어축제’ 참가를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대구광역시 북구에 사업자 등록이 된 자

☞ ‘2019 대구액티브시니어축제’ 부스사용료 및 기본 장치비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신청대상 : 공고일 현재 북구에 사업자 등록이 된 자

 

ㅇ 신청제외

– 중소기업 기본법의 중소기업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기업
– 대리점 및 체인점 모집 등 고유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유통사 또는 단순광고 목적의 행사 참가 기업
– 금융기관으로부터 불량 거래처로 규제 중이거나 휴·폐업중인 기업

지원조건 및 내용

ㅇ 2019 대구액티브시니어축제 개요
– 개최기간 : 2019. 10. 4(금) ~ 2019. 10. 6.(일) / 3일간

– 개최장소 : 대구 EXCO 1층
– 행사규모 : 12개 축제 및 이벤트 / 200개 업체 300부스 / 30,000여명
– 주요행사
ㆍ 축제행사 : 시니어패션·뷰티, 장기자랑, 파크골프대회, 미니운동회, 퇴직 일자리상담회 등
ㆍ 전시회 : 취미, 레저, 생활편의기기, 시니어용품, 건강식품 등
ㆍ 세미나 : 참여 기관별 세미나, 물리치료사 보수교육 등

 

ㅇ 모집업체 수 : 북구 소재 10개 업체

 

ㅇ 지원내용 : 참가비 일부 지원(부스사용료 및 기본 장치비)(단위 : 천원)

참가비지원(업체당)

합계

북구청

EXCO

자부담

1,800

1,000

300

500

※ 미지원 비용 : 홍보비 등 부스임차료를 제외한 기타경비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방문 접수

– ㈜EXCO 대구액티브시니어축제사무국(512호)

 

ㅇ 신청 서류 : 참가신청서, 사업자등록증, 제품 카탈로그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기초자치단체 담당부서 북구청 일자리정책과
전화번호 053-665–2662 홈페이지URL http://www.buk.daegu.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기초자치단체 담당부서 북구청 일자리정책과
전화번호 053-665–2662 홈페이지URL http://www.buk.daegu.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대구광역시 북구(www.buk.daegu.kr) → 소통참여 → 알림광장 → 고시공고 게시글 359번 참고(☞바로가기)

문의처

ㅇ 대구광역시 북구청 일자리정책과(053-665–2662)
ㅇ ㈜EXCO 대구액티브시니어축제사무국(053-601–5016)

[인천] 2019년 인천녹색기후산업 관련 국제 전시 참여기업 모집 공고

사업개요

인천지역 내 중소기업의 녹색기술 및 제품의 국내외 홍보 및 마케팅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9년 인천녹색기후산업 관련 국제 전시회 참가를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인천 소재 환경 기술/제품을 보유한 업력 1년 이상의 중소기업

 

☞ 국내외 국제 전시회 참가비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신청대상 : 환경 기술/제품을 보유한 업력 1년 이상의 인천소재 중소기업(중소기업 기본법 제2조 규정에 의한 중소기업)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사업기간 : 2019년 9월 ~ 2019년 12월 13일(수시접수)

 

ㅇ 지원분야 : 4개 분야(친환경, 대기, 폐기물, 수질)
– 친환경제품, CO2 저감, 미세먼지저감, 유해물질저감, 신재생에너지, 공정개선 및 에너지효율 향상, 자원순환 등 녹색기술 관련 분야

 

ㅇ 지원내용 : 국내외 국제 전시회 참가비 지원(국내외 홍보, 마케팅)
– 세부내역 : 참가비, 홍보부스 설치, 홍보물 제작, 통/번역료 등 소요 비용(출장 경비는 제외)

 

ㅇ 지원예산 : 5천만원 이내
– 최대 1천만원/건 이내, 자부담 매칭 20%(현금), 5-10개 기업 지원
– 국내외 국제전시회ㆍ박람회(예시)

월별

국내 국제 전시회

국외 국제 전시회

9

ㅇ 에어페어 – 미세먼지 및 공기산업 박람회 ㅇ 이탈리아 페라라 제염(오염제거전시회

ㅇ 독일 뉴렌버그 도시 환경설비 전시회

10

ㅇ 홍콩 에코 엑스포 아시아

ㅇ 미국 루이스빌 그린산업ㆍ장비 전시회

ㅇ 일본 후쿠오카 지구환경 솔루션ㆍ에너지 첨단기술 전시회

 UAE 두바이 물ㆍ에너지ㆍ기술ㆍ환경 전시회

ㅇ 캐나다 토론토 폐기물 및 재활용 전시회

11

ㅇ 기상기후산업박람회 ㅇ 프랑스 리옹 환경산업 전시회

ㅇ 캐나다 사스카툰 물&폐수 전시회

ㅇ 스페인 마드리드 친환경 제품 전시회

12

ㅇ 태국 방콕 에너지 아시아 산업 전시회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접수

– lucyjyj@itp.or.kr

 

ㅇ 신청 서류 : 신청서, 사업자등록증 및 법인등기부등본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인천테크노파크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32-260-0843 홈페이지URL https://www.itp.or.kr/
담당자명 장윤정
담당자 이메일 lucyjyj@itp.or.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인천테크노파크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32-260-0843 홈페이지URL https://www.itp.or.kr/
담당자명 장윤정
담당자 이메일 lucyjyj@itp.or.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인천테크노파크(itp.or.kr) → ITP 뉴스 → 지원사업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인천테크노파크 장윤정

– Tel : 032-260-0843, E-mail : lucyjyj@itp.or.kr

[경남] 2019년 미래철도 기술 사업화 진흥사업 기술수요 맞춤형 지원과제 추가모집 공고

사업개요

경남지역의 철도관련 중소ㆍ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특허, 기술, 경영 등 전문가 자문 및 특허 출원ㆍ인증 획득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경남 지역 철도관련 중소ㆍ중견기업

☞ 과제당 1,200천원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경남 지역 철도관련 중소ㆍ중견기업

 

ㅇ 신청자격
– 신청기관
ㆍ 신청지역이 부가가치세법 제6조에 따른 납세지로 경남에 주된 사업장(본사, 공장, 연구소)을 보유하고 있는 철도관련 중소, 중견 기업

ㅇ 지원제외대상
– 신청기업, 대표자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에 해당하는 경우
– 신청자격 요건에 맞지 않은 경우 및 기업의 부도
– 국가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 중인 자가 접수마감일 현재 의무사항(보고서 제출, 기술료 납부 등)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
– 국가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 제한 중인 자 또는 기업
– 민사집행법에 기하여 채무불이행자명부에 등재되거나, 은행연합회 등 신용정보 집중기관에 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된 경우
– 최근 결산 기준 자본전액잠식 등
※ 지원제외 사유 해당 여부는 접수마감일을 기준으로 판단하며, 선정된 이후라도 협약 이전에 해당사실이 발생, 발견되는 경우에는 선정 취소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선정규모 : 5개 과제

ㅇ 지원규모
– 지원사업비 : 과제당 1,200천원/5건 지원 (총 6,000천원)

ㅇ 지원기간 : ’19. 9. ∼ ‘19. 11. (3개월)

ㅇ 지원내용 : 특허, 기술, 경영 등 전문가 자문 및 특허 출원ㆍ인증 지원

ㅇ 지원형태
– 과제 지원금은 사업 종료 후 사후정산으로 함
– 본 지원과제들은 기업부담금(현금) 해당 없으며 타 지원 수혜업체 또한 지원 가능
– 전문가 자문, 특허출원 및 인증 과제 동시 신청 가능
– 지원과제 수 및 금액은 선정건수, 예산사정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지원절차

지원신청/접수(기술지원신청서)  

사업계획서 평가  지원여부 결정

(서면평가위원회)

사업수행

결과 보고사업비 정산  피드백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우편 및 방문 접수 후 (원본)서류는 이메일 제출
– 접수처 : 경남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로 18번길 46, 과학기술진흥센터 5층 514호

– E-mail : lyku0428@gntp.or.kr

ㅇ 신청 서류 : 사업신청서, 사업수행기관의 사업자등록증, 최근 3년간 결산 표준재무제표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경남테크노파크 담당부서 과학기술진흥센터
전화번호 055-259-3015 홈페이지URL http://www.gntp.or.kr/
담당자명 이윤구
담당자 이메일 lyku0428@gntp.or.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경남테크노파크 담당부서 과학기술진흥센터
전화번호 055-259-3015 홈페이지URL http://www.gntp.or.kr/
담당자명 이윤구
담당자 이메일 lyku0428@gntp.or.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경남테크노파크(www.gntp.or.kr) → 지원사업 → 지원사업신청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경남테크노파크 과학기술진흥센터 이윤구 연구원
– Tel : 055-259-3015, E-mail : lyku0428@gntp.or.kr

[강원] 2019년 2차 지역SW기업 성장지원사업 기업경쟁력 강화사업 지원기업 모집 공고

사업개요

강원 영서지역에 소재한 IT/SW중소기업의 기술개발력 신뢰성을 제고하고 국제적인 산업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SW관련 인증 및 지식재산권 취득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강원 영서지역에 소재한 IT/SW중소기업

☞ 국내인증(최대 500만원), 해외인증(최대 1,000만원), 특허등록(최대 200만원)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필수조건 : 공고일 기준 강원 영서지역에 소재한 IT/SW중소기업(본사)
※ 춘천, 원주, 홍천, 화천, 횡성, 철원, 양구, 영월, 인제(9개 지역)

 

ㅇ 제외대상

– 국세ㆍ지방세 미납기업
– 참가지원 관련 서류 미비 및 허위사실 등을 기재한 기업

– 강원정보문화진흥원 입주기업인 경우, 공고마감일 기준 임대료 및 관리비 미납인 기업은 지원 불가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사업기간 : 2019년 9월

ㅇ 사업예산 : 50,000,000원 이내 지원(예산 소진 시 까지)

 

ㅇ 지원분야

지원분야

내용

SW관련 인증 및 지식재산권 취득 지원

– 인증지원 : ISO9001(품질경영인증), GS(제품인증(첨부파일 인증지원범위 참조)

– 지재권지원 : SW관련 특허출원/등록 지원

※ 2019년 9월 30일까지 취득된 인증 및 특허출원/등록 지원(사후정산 진행)

 

ㅇ 지원금 지원기준

구분

지원범위

최대 지원금

국내인증

인증 비용 50%까지

최대 500만원

해외인증

인증 비용 50%까지

최대 1,000만원

특허등록

소요 비용 80%까지

최대 200만원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접수

– E-mail : jusuk15@gimc.or.kr

 

ㅇ 신청 서류 : 신청서, 선행기술조사보고서, 인증서 및 특허 등록증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강원정보문화진흥원 담당부서 기업육성2팀
전화번호 033-245-6511 홈페이지URL http://www.gimc.or.kr/
담당자명 이주석
담당자 이메일 jusuk15@gimc.or.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강원정보문화진흥원 담당부서 기업육성2팀
전화번호 033-245-6511 홈페이지URL http://www.gimc.or.kr/
담당자명 이주석
담당자 이메일 jusuk15@gimc.or.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강원정보문화진흥원(www.gimc.or.kr) → 소통의 장 → 공지사항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강원정보문화진흥원 기업육성2팀 이주석 대리(033-245-6511)

[강원] 2019년 2차 지역SW기업 성장지원사업 기업경쟁력 강화사업 지원기업 모집 공고

사업개요

강원 영서지역에 소재한 IT/SW중소기업의 기술개발력 신뢰성을 제고하고 국제적인 산업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SW관련 인증 및 지식재산권 취득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강원 영서지역에 소재한 IT/SW중소기업

☞ 국내인증(최대 500만원), 해외인증(최대 1,000만원), 특허등록(최대 200만원)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필수조건 : 공고일 기준 강원 영서지역에 소재한 IT/SW중소기업(본사)
※ 춘천, 원주, 홍천, 화천, 횡성, 철원, 양구, 영월, 인제(9개 지역)

 

ㅇ 제외대상

– 국세ㆍ지방세 미납기업
– 참가지원 관련 서류 미비 및 허위사실 등을 기재한 기업

– 강원정보문화진흥원 입주기업인 경우, 공고마감일 기준 임대료 및 관리비 미납인 기업은 지원 불가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사업기간 : 2019년 9월

ㅇ 사업예산 : 50,000,000원 이내 지원(예산 소진 시 까지)

 

ㅇ 지원분야

지원분야

내용

SW관련 인증 및 지식재산권 취득 지원

– 인증지원 : ISO9001(품질경영인증), GS(제품인증(첨부파일 인증지원범위 참조)

– 지재권지원 : SW관련 특허출원/등록 지원

※ 2019년 9월 30일까지 취득된 인증 및 특허출원/등록 지원(사후정산 진행)

 

ㅇ 지원금 지원기준

구분

지원범위

최대 지원금

국내인증

인증 비용 50%까지

최대 500만원

해외인증

인증 비용 50%까지

최대 1,000만원

특허등록

소요 비용 80%까지

최대 200만원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접수

– E-mail : jusuk15@gimc.or.kr

 

ㅇ 신청 서류 : 신청서, 선행기술조사보고서, 인증서 및 특허 등록증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강원정보문화진흥원 담당부서 기업육성2팀
전화번호 033-245-6511 홈페이지URL http://www.gimc.or.kr/
담당자명 이주석
담당자 이메일 jusuk15@gimc.or.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강원정보문화진흥원 담당부서 기업육성2팀
전화번호 033-245-6511 홈페이지URL http://www.gimc.or.kr/
담당자명 이주석
담당자 이메일 jusuk15@gimc.or.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강원정보문화진흥원(www.gimc.or.kr) → 소통의 장 → 공지사항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강원정보문화진흥원 기업육성2팀 이주석 대리(033-245-6511)

[충남] 이차전지 시제품제작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사업 참가업체 모집 공고(수시)

사업개요

충남 지역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전후방산업 관련 중소기업의 이차전지산업 시장 우위 선점을 위해 시험/인증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충남지역 소재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전후방산업 관련 중소기업

☞ 최대 5백만원 이내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충남지역 소재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전후방산업 관련 중소기업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원내용

지원프로그램

세부내용

지원기관

지원한도(기업당)

지원형태

건수

번호

프로그램명

1

시험/인증 지원

ㅇ 지원내용

– 국내/외 규격 인증

– 성능 및 안정성 평가

– 환경 및 신뢰성 평가

충남TP

5백만원 이내

현금지원

1건

※ 기업지원 금액에서 부가가치세는 제외

 

ㅇ 2019년도 이차전지 시제품제작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사업 수혜기업 모집 공고문 및 상세지원안내(☞다운받기)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우편 및 방문 접수

– E-mail : bsjeong@ctp.or.kr
– 접수처 : (31035) 충남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직산로 136 이차전지기술센터 213호

ㅇ 신청 서류 : 수요 상세기술서, 제무재표(최근 2개년), 사업자등록증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충남테크노파크 담당부서 이차전지기술센터
전화번호 041-589-0739 홈페이지URL http://www.ctp.or.kr/
담당자명 정병선
담당자 이메일 bsjeong@ctp.or.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충남테크노파크 담당부서 이차전지기술센터
전화번호 041-589-0739 홈페이지URL http://www.ctp.or.kr/
담당자명 정병선
담당자 이메일 bsjeong@ctp.or.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충남테크노파크(www.ctp.or.kr) → 알림마당 → 공지사항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충남테크노파크 이차전지기술센터 정병선

– Tel : 041-589-0739, E-mail : bsjeong@ctp.or.kr

[광주] 2019년 광주글로벌게임센터 글로벌마켓 퍼블리싱 지원사업 참가기업 모집 공고

사업개요

광주 지역에서 개발된 콘텐츠(VR/모바일/PC 등)를 전문 퍼블리셔를 통한 성공적 글로벌 진출을 위하여 서비스, 기술, 마케팅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광주광역시에 두고 게임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

☞ 광주 내 VR/모바일/PC 게임 동남아시아 시장 셀프 퍼블리싱(직접 진출)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사업장소재지를 광주광역시에 두고 게임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
– 2019.10.28. ~ 2019.12.6. 기간 내 동남아시아 타겟 시장에 런칭 가능한 게임
– 2019.10.28.까지 국내 런칭이 가능한 게임에 한하여 지원 가능(런칭 불가시 패널티 적용할 수 있음-세부내용은 협약서에 기재할 예정)
– 게임에 관한 세부 기획서 보유

 

ㅇ 지원조건 : 2019 G²Festa 개최시 전시회 출품 또는 투자상담회 필수 참석

 

ㅇ 지원제외대상

– 부도기업, 국세 또는 지방세를 체납 중인 기업
– 신청일 현재 국가연구개발(또는 지원)사업에 참여제한 조치 중인 기업(대표) 및 사업 책임자
– 우리원 및 정부 관련 기관(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 수행사업의 정산잔액, 기술료 등을 미납한 경우
– 타인의 작품을 모방하거나 타인의 저작권을 무단으로 사용한 경우
– 우리원 또는 다른 기관으로부터 글로벌마켓 퍼블리싱 또는 유사 과제를 동일한 콘텐츠로 진행한 이력이 있는 경우
– 신청일 현재 글로벌 서비스를 진행중인 게임
ㆍ 광주 지역에 지사 설립 후 6개월 이내 지원 불가
※ 지사 설립 : 사업자등록일 기준이며, 최소 3명 이상 근무, 거주 증빙 필요

※ 지원 제외 대상자가 선정 및 지원을 받은 경우는 선정 및 지원 취소, 향후 지원사업에 참여제한 조치됨.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원규모 : 1.2억 / 광주광역시 내 VR&모바일&PC 게임 개발사 3개사 내외
※ 본 지원사업은 직접 지원사업이 아닌 용역사업으로 전문 용역사의 프로세스에 따라 퍼블리싱 지원이 진행됨

 

ㅇ 지원기간 : 2019.9. ~ 2019.12. (약 4개월)

 

ㅇ 지원내용 : 광주 내 VR/모바일/PC 게임 동남아시아 시장 셀프 퍼블리싱(직접 진출)

구 분

내 용

세 부 내 용

서비스

컨설팅

ㅇ 콘텐츠 고도화를 위한 컨설팅

– 튜토리얼 등 유저 경험 개선수익성 제고를 위한 BM 개선피쳐드 선정을 위한 제안주력 국가 제안커뮤니케이션 전략업데이트 제안 등 콘텐츠 상황에 따른 각종 컨설팅 포함

번역지원

(LQA)

ㅇ 현지화를 위한 번역 지원 체계 구축 및 번역 수행(LQA)

– 게임별 원하는 언어 선택 및 예산 한도내에서 지원

테스트

(QA)

ㅇ 게임 품질관리 테스트 체계 구축ㆍ운영(QA)

– 게임서비스 운영을 위한 런칭 전 안정화 테스트 지원

– 게임 런칭 후 사후 관리를 위한 유지보수 테스트 지원

– 글로벌 진출을 위한 권역별ㆍ국가별 맞춤형 현지화 테스트 지원

– 로컬 FGT

고객지원

ㅇ 글로벌 게임 운영(GM, CS, 커뮤니티 관리)

– 게임 서비스 운영 관리 계획 수립

– 이메일 고객응대 서비스 구축 및 운영

– 서비스 모니터링피드백 및 문제해결 지원

– 커뮤니티(SNS 채널이미지 제작 및 콘텐츠 운영

– 커뮤니티 모니터링 및 관리활성화 전략 제공

기술지원

서버

ㅇ 안정된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서버 컨설팅 및 대안 제공

– 서버 구조 분석 및 스트레스 테스트 진행

– 클라이언트 점검 및 검증최적화

– 메모리 누수서버부하 등 서버 취약점 분석 및 해결방안 제공

ㅇ 장비 모니터링관제보안유지 보수 등 수행

– 시스템 상태에 대한 정기적인 리포팅 및 실시간 관제용 사이트 제공(네트워크 트래픽서버상태 확인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 등SDK 적용)

※ 선정된 게임 개발사에서 기술적 협조를 해준다는 전제하에 지원개발사에 오픈을 원하지 않을 시 지원하지 않을 수 있음

※ 서버비용은 선정된 개발사(선정 게임사)에서 지급하고협약기간 종료 후 최소 1년 이상 서비스를 유지하여야함

운영지원

ㅇ 패치업데이트 등 리소스 관리 지원

– 게임출시 전후로 리소스 사전점검 및 컨설팅최적화 진행

– 구글 마켓 정책 등 플랫폼별 리스크 관리

보안

ㅇ 안정적인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보안 컨설팅 및 대안 제공

– 보안 취약점 분석 및 보안 테스트 진행

– 보안 취약점 발견 시 원인 및 해결방안 제공

※ 본 지원사업에서의 보안은 서브적 개념이고 기본 보안은 선정게임 개발사에 모든 책임과 권리가 있음

데이터

분석

ㅇ 게임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 지원

– UX, BM 등 게임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유저 플레이 데이터 분석

– 게임 서비스 및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글로벌 시장 데이터 제공

–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자료 해석시각화리포팅 제공

마케팅

전략수립

ㅇ 마케팅 전략 및 매체 전략 수립

– 효과적인 광고비 집행을 위한 지역별게임유형별 마케팅 전략 수립

– 글로벌 직접 진출을 위한 개발사 마케팅 계획 컨설팅

– 주력 국가타겟 등에 대한 분석 포함

– 구글유튜브인플루언서 등 효율적 광고 집행을 위한 다양한 매체 전략 수립

– 채널 다변화 및 광고효과에 따른 신규 매체 발굴 계획 수립

ㅇ 각 매체별 광고 기획 및 분석

※ 마케팅 전략주력 국가 및 타겟 선정광고 집행 전 매체 전략 등에 대해 각 개발사와 제안사와의 협의 전제

광고제작

홍보

ㅇ 마케팅 전략을 바탕으로 한 광고 크리에이티브 제작

– 제작에 필요한 메인 리소스(이미지영상카피 등)은 개발사로부터 전달받아 수행

– 최소 권역당 1개 이상의 완성된 광고 소재 제작

– 최종 결과물은 각 개발사 승인 필요

– 다양한 매체에 맞는 광고 크리에이티브 배리에이션 (사이즈 조정 등)

ㅇ 매체 전략 수립을 바탕으로 한 광고 집행

– 광고 집행 기간 중 광고 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트래킹

– 광고 효과에 따라 필요할 경우 광고 크리에이티브 교체 또는 매체 변경

– Facebook, Google Ads 등 셀프서브 광고매체 운영

– 광고 및 모객 활동 전반 지원(홍보 이벤트 등)

※ 광고 소재 제작은 개발사와 제안사간의 협의를 통해 진행

분석 및 보고

ㅇ 개발사별 집행된 광고에 대한 중간 및 사후 분석을 통한 광고 효율성 제고

– 광고 집행 결과에 대한 주 1회 보고서 개발사에 공유

– 매체별 성과 분석광고 집행 물량광고 효과/효율 지표 포함
– 빌드별/권역별 인스톨 분석플랫폼별 광고전략 분석 포함

– 광고 집행 결과에 따른 추후 UA마케팅 전략 조언

지원절차

공고 및 접수

선정과제 평가 및 선정

선정 평가 통보

협약 준비

협약 체결

사업수행

사후 관리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접수
– jjy@gitct.or.kr

* 접수제목 : [지원신청]IR 컨설팅 지원사업_기업명
* 첨부파일명 : 글로벌마켓 퍼블리싱 지원사업_기업명 * 압축파일로 제출
※ 접수 후 전화(062-610-2464)로 접수확인 必

 

ㅇ 신청 서류 : 게임설명서, 발표자료, 사업자등록증명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62-610-2464 홈페이지URL http://www.gitct.kr/
담당자명 장지영
담당자 이메일 jjy@gitct.or.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62-610-2464 홈페이지URL http://www.gitct.kr/
담당자명 장지영
담당자 이메일 jjy@gitct.or.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www.gitct.kr) → 알림마당 → 통합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장지영 책임

– Tel : 062-610-2464, E-mail : jjy@gitc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