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2019년 중소중견 Plus+ 단체보험 지원사업 참가 안내

사업개요

강원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수출시 발생하는 수입자 위험ㆍ신용장 위험ㆍ수입국 위험 최소화를 위해 단체보험 가입시 보험료를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강원소재 기업으로 전년도 수출실적 1천만불 이하 업체

☞ 단체보험료 전액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본사 또는 공장(OEM 공장 포함)이 강원도 내에 소재한 기업으로 전년도(2018년도) 수출실적 1천만불 이하 업체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사업내용 : 수출기업의 대외거래 안정성 제고 및 수출활성화를 위해 수출보험료 지원

ㅇ 보장내용 : 가입일로부터 1년간 수출시 발생하는 수입자위험/신용장위험/​수입국위험을 최대 5만불, 피해액수의 최대 95%까지 보장

– 무보에서 기 시행중인 중소중견 Plus+ 보험의 단체보험 버전임

ㅇ 보험료 : 무 료 (무역협회에서 보험료의 100%를 부담)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 강원도수출기업서포트(tradesupport.gwd.go.kr)

ㅇ 신청 서류 : 전년도 또는 최근 1년간 수출실적증명서, 사업자등록증, 신청서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한국무역협회강원지역본부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33-257-4070 홈페이지URL http://www.kita.net/
담당자명 박소은
담당자 이메일 angelar104@kita.net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한국무역협회강원지역본부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33-257-4070 홈페이지URL http://www.kita.net/
담당자명 박소은
담당자 이메일 angelar104@kita.net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강원도수출기업서포트(tradesupport.gwd.go.kr) → 사업신청 → 수출경쟁력강화지원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한국무역보험공사(033-765-1066)

ㅇ 한국무역협회 강원지역본부 박소은

– Tel : 033-257-4070, E-mail : angelar104@kita.net

[전북] 2019년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해드림 특례보증 시행 안내

사업개요

전라북도 내 일본의 수출규제조치(화이트리스트 배제),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위기를 겪고 있는 소상공인의 경영위기 극복을 위해 특례보증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전라북도 내 화이트리스트 배제조치로 인해 피해를 입거나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등 대상

☞ Track별 3천만원 이내 ~ 2억원 이내 보증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Track1 : 화이트리스트 배제조치로 인해 피해를 입거나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중소기업, 신보 또는 기보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피해기업 지원 관련 보증’ 거래가 없는 중소기업(소상공인 포함)
– Track2 : 대표자 개인 신용등급 6등급 이상(1~6등급)인 소기업ㆍ소상공인
– Track3 : 대표자 개인 신용등급 7등급 이하(7~10등급)인 소기업ㆍ소상공인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사업규모 : 전국 1.2조원

ㅇ 보증한도
– Track1 : 같은기업당 재단 보증금액 2억원 이내
– Track2 : 같은기업당 재단 보증금액 7천만원 이내
– Track3 : 같은기업당 재단 보증금액 3천만원 이내

ㅇ 보증료율
– Track1 : 연 0.5%(고정)
– Track2,3 : 연 0.8%(고정)

ㅇ 취급은행 :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수협은행, SC제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ㅇ 보증기간 : 2년 이내(일시상환), 7년 이내(분할상환)

ㅇ 시행일 : ‘19.8.16. ~ ‘19.12.31. 또는 한도소진시 까지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전북신용보증재단 및 취급은행 각 영업점 상담 문의(하단의 문의처 참조)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전북신용보증재단 담당부서 본점 및 지점
전화번호 하단의 문의처 참조 홈페이지URL https://www.jbcredit.or.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전북신용보증재단 담당부서 본점 및 지점
전화번호 하단의 문의처 참조 홈페이지URL https://www.jbcredit.or.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전북신용보증재단(jbcredit.or.kr) → 알림마당 → 공지사항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전북신용보증재단
– 전주본점(063-230-3333)
– 군산지점(063-452-0341)
– 익산지점(063-838-9374)
– 정읍지점(063-533-6411)
– 남원지점(063-633-7611)

[제주] 서귀포시 2019년 3차 예비마을기업 육성사업 공고

사업개요

제주도 서귀포시 내 법인, 회사, 협동조합 등 조직(단체)를 대상으로 지역 일자리 창출 및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예비마을기업으로 지정하고, 교육, 기본 및 전문 컨설팅, 상품개발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소재 법인 또는 단체

☞ 1개 기업당 10백만원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신청자격 : 서귀포시 소재 법인 또는 단체에 한하여 신청 가능

ㅇ 선정요건
– 공동체성
ㆍ 예비마을기업은 출자자 개인의 이익과 함께 마을기업 전체의 이익을 실현해야 함
ㆍ 예비마을기업의 모든 회원은 예비 마을기업(법인)에 출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공동체 일원으로서 예비마을기업의 계획과 운영에 참여하여야 함
ㆍ 예비마을기업의 출자자는 5인 이상이어야 함
* 마을규모, 지역범위, 사업내용 등에 비추어 공동체성을 보장할 만큼의 충분한 수의 출자자를 갖추도록 노력해야함
** 10인 이상이 출자할 것을 권장함

– 공공성
ㆍ 예비마을기업은 마을기업의 경제적 이익과 함께 지역사회 전체의 이익을 실현해야 함
ㆍ 최대 출자자 1인의 지분은 30% 이하여야 하며, 특정 1인과 그 특수관계인*의 지분의 합이 50% 이하여야 함
* ①배우자 및 직계 존비속, 형제ㆍ자매 ②배우자 및 직계 존비속이 50% 이상을 출자하고 있는 법인 ③배우자 및 직계 존비속,형제ㆍ자매가 이사의 과반수이거나 출연금의 50% 이상을 출연하고 그 중 1인이 설립자로 되어 있는 비영리법인
ㆍ 예비마을기업은 법인 전체를 지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ㆍ 예비마을기업은 활동을 통해 마을공동체 활성화와 지역사회에 공헌하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사업계획서 상의 지역사회공헌 활동 (또는 이에 상응하는 공헌)을 반드시 이행해야 함
ㆍ 예비마을기업 명의로 특정 정당 또는 후보를 지지해서는 안 되며, 선거홍보에 마을기업명을 노출하거나 마을기업활동을 활용하면 안 됨

– 기업성
ㆍ 예비마을기업은 각종사업을 통해 수익을 추구하는 경제조직이어야 함
ㆍ 예비마을기업의 사업은 시장경쟁력이 있어야 함
ㆍ 예비마을기업은 지속가능해야 함
ㆍ 기업으로서 조직형태는 민법에 따른 법인, 상법에 따른 회사, 협동조합, 농어업 경영체법에 따른 영농조합 등 법인이어야 함

– 지역성
ㆍ 예비마을기업은 지역에 뿌리를 두고 설립ㆍ운영 되어야 함
ㆍ 예비마을기업은 지역에 소재하는 자원을 활용한 사업을 해야 함
ㆍ 예비마을기업은 지역 주민이 주도하는 기업이어야 함
* 예비마을기업 자부담(보조금의 20%)은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출자(법인 출자금 포함)하여야 함
* 예비마을기업 출자자(회원)의 70% 이상, 고용인력의 70% 이상은 지역 주민이어야 함. 단 출자자가 5인인 경우는 5인 모두 주민이어야 함

지원조건 및 내용

ㅇ ‘19년 지정계획 : 예산 범위 내 예비마을기업 지정(서귀포시만 해당)

ㅇ 사업기간 : 약정체결일 ~ 2019. 12. 31.

ㅇ 지원금액 : 1개 기업당 10백만원(민간경상사업보조)
– 교육, 기본 및 전문 컨설팅, 상품개발, 마케팅 준비 등(시설비 사용 불가)

ㅇ 지원혜택 : 2020년 신규마을기업으로 신청시 가점 부여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우편 또는 방문 접수
– 접수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마을활력과

ㅇ 신청 서류 : 사업신청서, 사업계획서, 예비마을기업 회원명단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기초자치단체 담당부서 서귀포시 마을활력과
전화번호 064-760-2243 홈페이지URL http://www.seogwipo.go.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기초자치단체 담당부서 서귀포시 마을활력과
전화번호 064-760-2243 홈페이지URL http://www.seogwipo.go.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제주특별자치도(www.jeju.go.kr) → 도정뉴스 → 도정소식 → 입법ㆍ고시ㆍ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마을활력과(064-760-2243)

[제주] 2019년 식품가공시설 장비 현대화 지원사업 대상자 추가 모집 재공고

사업개요

제주도 지역 생산자단체, 농산물가공업체 등 식품제조업체 등을 대상으로 지역 식품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식품가공 현대화 장비를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제주도 지역 농업법인, 생산자단체, 농산물 가공업체 등 식품제조업체(법인) 등

☞ 각 업체별 9,800천원 이내 지원(보조 70%)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사업대상자
– 농업회사법인, 영농조합법인, 생산자 단체
– 농산물가공업체, 식품제조업체 등 법인
* 총출자금 1억원 이상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및 동법시행령 제3조 기준에 해당하는 중소기업 중 상시근로자 300명 미만 또는 자본금 80억원 이하에 해당하는 중소기업

ㅇ 지원자격 및 요건
– 농업법인의 경우, 「농어업 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라 농어업경영정보를 등록한 경우에 지원(등록할 정보가 없는 유통가공법인 제외)
– 법인은 총출자금이 1억원 이상이고 1년 이상 운영실적이 있는 법인
ㆍ 영농조합법인은 5인 이상인 법인으로서 조합원 5인 모두 농업인이어야 함.
ㆍ 농업회사법인은 농업인 출자지분이 1/10이상이어야 함.
ㆍ 단, 작목반(비법인)이 농업법인(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으로 전환된 경우에는 작목반과 농업법인의 총 운영 실적이 1년 이상일 것
– 농산물가공업체, 식품제조업체 등 법인인 경우 지원
ㆍ 총출자금 1억원 이상 / 운영실적 1년 이상일 것
– 건물 내 고정식 기계설비인 경우 사업부지는 당해 법인의 명의로 소유권 등기가 되어 있어야 하며, 담보제공 및 지상권 설정 등 재산권에 제약이 있어서는 안됨.(단, 당해 법인 명의가 아니더라도 개별사업지침에서 정한 보조시설의 사후관리기간 이상으로 지상권 또는 전세권 등을 설정한 경우에는 가능)
* 세부사항은 농림축산식품분야 재정사업관리 기본규정에 의함.

ㅇ 지원제한
– 동일사업 보조사업자 보조사업 종료 후 3년 이내 추가 지원 제한
– 사업 포기 이력이 있는 업체에 대해서는 3년간 보조지원 제한
– 최근 5년 이내 정부지원사업(보조, 융자)의 부당사용 사례가 있는 업체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사업규모 : 1개소 내외

ㅇ 사업기간 : 2019. 9월 ~ 2019. 12월

ㅇ 사업비 : 9,800천원(국비 49, 도비 19, 자담 30)
– 각 업체별 9,800천원 이내 지원(보조 70%)
* 개소당 사업비는 사업성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사업계획 수립시 자부담 추가 가능
* 사업비는 부가가치세 제외 기준(공급가만 해당)

ㅇ 사업내용 : 품질향상, 신제품 개발 등 식품 가공 현대화 장비 지원
* 지원제외 : 기존 건축물 개보수 및 신축비용, 차량 및 지게차 등

지원절차

신청  접수

소관부서 자체심사

위원회 심의  결정

보조사업자 선정결과 통보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방문 접수
– (63122)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문연로 6(연동), 제주특별자치도청 식품원예과
ㅇ 신청 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사업자등록증 등

가점우대제도

ㅇ GAP 인증
ㅇ 6차산업 인증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제주특별자치도 담당부서 식품원예과
전화번호 064-710-3175 홈페이지URL http://www.jeju.go.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제주특별자치도 담당부서 식품원예과
전화번호 064-710-3175 홈페이지URL http://www.jeju.go.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제주특별자치도(www.jeju.go.kr) → 도정뉴스 → 도정소식 → 입법ㆍ고시ㆍ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제주특별자치도청 식품원예과(064-710-3175)

[대전] 2019년 Game Start Lab 지원사업 참가기업 모집 공고

사업개요

대전지역 초기기업 및 소규모 게임기업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게임 아이디어 발굴을 위하여 알파버전 이상 게임개발 비용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대전인 창업3년 미만 게임 제작업 또는 배급업 등록 기업

☞ 기업 당 최대 20,000천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공고일 기준으로 소재지가 대전인 창업3년 미만 게임 제작업 또는 배급업 등록 기업

ㅇ 지원 제외대상
– 공고일 이전 출시 또는 상용화된 게임인 경우
– 단순 OEM, 버전업 작품, 타인 작품 모방 및 타인의 저작권 무단 침해한 경우
– 지원금액은 신청일 기준 3개년간 최대 10억원을 초과하는 사업자
– 신청일 현재 우리원 제작 지원사업의 수혜를 받고 있는 경우
– 신청일 현재 신청과제와 동일과제로 정부, 지방자치단체, 정부사업대행기관, 우리원 등 으로 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과제를 수행하고 있거나 완료한 경우
– 신청일 현재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으로부터 지원사업 전반에 참여가 제한 중인 기관, 사업자,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지방세·국세 체납 등)
– 신청일 현재 우리원 지원사업 관련 반납금/기술료/관리비 등 각종 채무가 있는 기업/개인
– 신청일 현재 사업자(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가 대·중소기업상생협력촉진에관한법률 제2조 제2호의 대기업과 그  계열사(「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제2조 제3호에 따른 계열회사를 말한다)인 경우
※ 해당 조건에 대한 증명은 신청자의 서약서 제출에 의함.
※ 허위사실 확인 시 선정취소 및 지원금 전액 환수 조치, 향후 관련 사업 제재조치 함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사업기간 : 협약체결일로부터 ~ 2019년 12월 14일까지

ㅇ 지원분야 : 창의적인 아이디어 기반의 알파버전 이상 게임개발 비용 지원

ㅇ 지원규모 : 기업 당 최대 20,000천원 / 4개사 내외 지원

ㅇ 지원내용

분 야

내 용

지원금

2회 분할지급

1

협약체결 및 지원금 신청(1)과 이행(지급)보증보험 제출 시 총 지원금의 70% 지급

2

중간보고 및 집행증빙서류 검토 후 ‘적정’ 일 경우 잔여 지원금 30% 지급

보험증권

이행(지급)보증보험증권

제출시기

제출형태

보험기간

협약체결 후 14일 이내

이행(지급)보증보험증권

협약기간+60

※ 이행(지급)보증보험증권 제출시기에 미제출 시 지원 취소 및 협약 해지 등 후속 처리

기술료

‘콘텐츠지원사업관리규칙’ 및 진흥원의 규정규칙지침 등을 근거하여 징수

성과조사

사업종료 후 차기년도부터 5년간 관리기관에서 요청 시지원성과조사서 의무 제출

ㅇ PMS 온라인 사업신청 매뉴얼(☞다운받기)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후 서류는 방문 제출
–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사업관리시스템(pms.dicia.or.kr)
– 접수처 : 대전시 유성구 대덕대로 512번길 20(도룡동) CT센터 2층 콘텐츠사업단 사무실

※ 발표자료 및 프로토타입 시연 동영상은 별도 이메일(jhyoo@dicia.or.kr) 제출

ㅇ 신청 서류 : 지원사업신청서, 사업자등록증, 게임제작업 또는 배급업 등록증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담당부서 대전글로벌게임센터
전화번호 042-479-4191 홈페이지URL http://dicia.or.kr
담당자명 유재희
담당자 이메일 jhyoo@dicia.or.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담당부서 대전글로벌게임센터
전화번호 042-479-4191 홈페이지URL http://dicia.or.kr
담당자명 유재희
담당자 이메일 jhyoo@dicia.or.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dicia.or.kr) → 알림마당 → 사업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재)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대전글로벌게임센터 유재희 주임
– Tel : 042-479-4191, E-mail : jhyoo@dicia.or.kr

2019년 날마다컨설팅 및 수요맞춤지원 공고(DKworks 디자인주도 제품개발지원센터)

사업개요

중소ㆍ중견기업의 제조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디자인 신상품 기획, 제품의 품위 품질, 홍보ㆍ마케팅 등에 대한 상시 컨설팅 및 수요 맞춤 프로그램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제조기반 중소ㆍ중견기업☞ 1:1 컨설턴트 매칭, 신상품 기획ㆍ개발ㆍ홍보 수요맞춤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제조기반* 중소ㆍ중견기업
* 완제품 제조업 또는 부품소재산업에서 완제품 제조업으로 사업 다각화를 희망하는 기업

ㅇ 신청제외 기업(수요맞춤지원 신청시)
– 다음 각 호의 사항 중 해당할 경우 신청 제외 대상으로 함
ㆍ 기업의 부도 및 세무당국에 의하여 국세, 지방세 등의 체납 처분을 받은 경우
ㆍ 민사집행법에 기하여 채무불이행자명부에 등재되거나, 은행연합회 등 신용정보 집중 기관에 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된 경우
ㆍ 파산ㆍ회생절차ㆍ개인회생절차의 개시 신청이 이루어진 경우
ㆍ 최근 2년 결산 재무제표상 부채비율이 연속 500% 이상인 기업 또는 유동 비율이 연속 50% 이하 기업 및 최근 결산 기준 자본전액잠식 기업
* 단, 창업 3년 미만의 스타트업은 제외
ㆍ 외부감사 기업의 경우 최근년도 결산감사의견이 “의견거절” 또는 “부적정”
ㆍ 기업신청서 등 제출서류가 불성실 작성이거나 거짓인 경우
ㆍ 기타 평가위원회에서 부적격 의견일 경우 등의 사유 발생 시 제외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원분야
– 디자인주도의 신상품 기획, 개발, 홍보

ㅇ 지원규모 : (컨설팅) 총 90건, (맞춤지원) 30개사
* 컨설팅 결과 우수기업 대상 선정으로 맞춤지원 실시

ㅇ 추진일정 : 9~11월 상시 접수, 매월 매칭ㆍ지원
* 컨설팅은 신청서 접수 순으로 90건 완료시 종료

ㅇ 지원내용

– 날마다컨설팅 : 1:1 컨설턴트 매칭, 1개월 이내, 기업당 최대 2회 지원 가능

 

지원내용

지원방법

날마다 컨설팅(1개월)

– 전담 컨설턴트 (디자인ㆍ경영ㆍ기술 분야 전문가매칭

– 기업 내부역량 및 제품(서비스분석 등 기업 현재상황 진단

– 기업의 내외부 환경 및 비즈니스모델 분석

– 제품 방향성 등 상품성 진단 및 솔루션 도출

전담 컨설턴트 1(디자인/경영/기술 중)

– 서면 상담

– 현장 방문

– 컨설팅보고서 제공

ㆍ 컨설턴트 매칭
① 기업에서 제출한 서면 자료를 바탕으로 해당 수행업무에 가장 적합한 컨설턴트 후보 3명 추천
② 수요기업에서 해당 분야 전문가 1,2,3 순위 선택
③ 일정에 부합하는 최종 컨설턴트 1명 매칭

– 수요맞춤지원 : 신상품 기획ㆍ개발ㆍ홍보 중 1개 부문, 2개월 이내
ㆍ 지원 방법
* 신상품 기획ㆍ개발 : KIDP – 수혜기업 – 수행업체 간 3자 협약 실시
※ 수행업체는 KIDP에서 별도 모집 공고를 통해 선발
* 홍보물제작 : KIDP에서 선정한 기 수행업체를 통해 제작 지원

지원절차

공고 접수

컨설턴트 매칭

날마다 컨설팅

월별 보고회

수요 맞춤지원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접수
– E-mail : dkworks@kidp.or.krㅇ 신청 서류 : 신청서, 기업현황, 경영현황, 청렴서약서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한국디자인진흥원 담당부서 DKworks 제품개발지원센터
전화번호 02-853-9324 홈페이지URL http://www.kidp.or.kr/
담당자명 이용민
담당자 이메일 yongminlee@kidp.or.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한국디자인진흥원 담당부서 DKworks 제품개발지원센터
전화번호 02-853-9324 홈페이지URL http://www.kidp.or.kr/
담당자명 이용민
담당자 이메일 yongminlee@kidp.or.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한국디자인진흥원(www.kidp.or.kr) → 기업지원 → G벨리 DK Works 제품개발지원센터 → 공지사항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한국디자인진흥원 DKworks 제품개발지원센터 이용민 주임연구원
– Tel : 02-853-9324, E-mail : yongminlee@kidp.or.kr

[강원] 2019년 4차 지역콘텐츠사업화 지원사업 모집 공고(지역저작권서비스센터운영사업)

사업개요

강원권 소재 중소기업의 지식재산 경쟁력 강화 및 보유 저작물의 사업화를 위하여 콘텐츠 개발 및 시제품 제작, 전시회 참가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강원권 콘텐츠, IT/SW 기업 및 1인창조기업 및 중소기업, 예술인 등

☞ 최대 5백만원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강원권 콘텐츠, IT/SW 기업 및 1인창조기업 및 중소기업, 예술인 등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사업기간 : 2019. 1. ~  2019. 12.

ㅇ 지원분야 및 내용
– 지역 콘텐츠 사업화 지원
ㆍ 지원목적 : 보유 저작물의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한 도내 관련 기업 발굴 및 육성 등
ㆍ 지원규모 : 지원 분야에 따른 지원 총 1개사(사업비 소진 시 지원 불가)

* 필요시 저작권 사업화 진단 및 컨설팅 지원 서비스 병행
ㆍ 지원 분야

분류

지원내역

비고

지역 콘텐츠

사업화 지원

– 콘텐츠 개발 및 시제품 제작

– 홍보물 제작 및 전시회 참가 지원 등 사업화 지원

최대 5백만원

(부가세 미포함 및 자부담)

* BI/CI 개발 비용 지원 불가
* 사업화에 필요한 순 비용만 사업비로 책정해야함. 책정한 비목들은 반드시 올바르게 실 집행 되어야하며, 이에 따라 선정 및 최종 평가 시 불이익이 따를 수도 있음

* 기존 계획 변경 시 사전 승인 필요

지원절차

공고/신청ㆍ접수

서면평가 및 선정

선정 결과 안내

진흥원 홈페이지 공고

및 온라인ㆍ방문 접수

평가위원회 개최 통한
평가 및 선정

각 기업 별
선정 결과 안내

중간 평가

성과물 제출  결과 보고

최종 평가  정산

현장 점검 및 진행 상황 확인 등 중간 평가 실시

각종 성과물 제출 및

결과 보고

최종 평가 및

사업비 지급ㆍ정산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우편 및 방문 접수

– E-mail : kwapyright@gmail.com

– 접수처 : 강원 강릉시 경강로 2326번길 4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정보문화사업본부

ㅇ 신청 서류 : 2018년 저작권 지원사업신청서, 사업자등록증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강릉과학산업진흥원 담당부서 강원저작권서비스센터
전화번호 033-650-3388 홈페이지URL http://www.gsif.or.kr
담당자명 곽민선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강릉과학산업진흥원 담당부서 강원저작권서비스센터
전화번호 033-650-3388 홈페이지URL http://www.gsif.or.kr
담당자명 곽민선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강릉과학산업진흥원(www.gsif.or.kr) → 알림마당 → 사업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강릉과학산업진흥원 강원저작권서비스센터 곽민선 담당자(033-650-3388)

2019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5차 추가 신규과제 공모 알림 (대학 등)

2019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5차 추가 신규과제 공모 알림(대학 등)

1 . 관련: 연구운영과-4174 (2019 .9 .4 . )

2 . 농촌진흥청에서는 대내외 농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현장애로기술 해결, 미래 선
도 유망 기술 개발 및 실용화 촉진을 위하여 추가 신규과제를 아래와 같이 공모하
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랍니다.

가.  사 업 명 : 2019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나.  공모과제 : 신남 · 북방 정책연계 농업분야 협력 구축 전략 수립 등 5과제
다.  응모자격 : 농진청 소속기관, 대학, 산업체, 국공립 · 민간연구소, 농업기술원및 센터 등 사업자등록증을 제출할 수 있는 소속기관에 재직 중인  자

라. 공모 및 접수 : 2019 .9 .6 . (금) ∼ 9 .16 . (월) 18 : 00까지
마. 응 모 처 : 농촌진흥청 종합관리시스템(AT I S , h t t p : //a t i s . r da .go .k r )
바. 응모방법 등 기타 자세한 사항은 농촌진흥청 종합관리시스템 공지사항 참조

붙임

1 . 2019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5차 추가 신규과제 공고 공고문 1부.
2 . 과제제안요구서(RFP ) 검색방법 및 연구과제 응모방법 1부.
3 . NT I S 유사중복성 검토 서식 1부.(해당 파일은 산학협력단으로 연락을 주시면  개별적으로 보내드리겠습니다.)

홍릉 일대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관련 공청회 안내

홍릉 일대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관련 공청회 안내

서울특별시 공고 제 2019-2369 (2019 . 9 . 5 . )호와 관련입니다.  서울시에선 홍릉일대

바이오의료산업 발전을 위해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제4조 규정에 따라 주민과 관계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오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석과 함께 적극적인 홍보를 부탁드립니다.

< 공청회 개요 >
– 일시 : 2019 . 9 . 19 (목) 14 : 00
– 장소 : 서울바이오허브 지하1층 컨퍼런스홀(동대문구 회기로 117-3 )
– 대상 : 지역주민, 대학, 연구소, 공공기관, 병원 등 홍릉 지역 관계자

붙임 공청회 개최 공고문 1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