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스마트공장 구축기업 홍보 지원 사업 공고

사업개요

부산지역 스마트공장 구축 완료기업의 전국적 구매처 확보와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비즈니스 플랫폼 등록을 통한 기업 홍보를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부산지역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 지원사업의 수행을 통한 스마트공장 구축 완료기업(부산지역 공급기업 포함)

☞ 기업당 최대 50만원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및 규모
– 부산지역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 지원사업의 수행을 통한 스마트공장 구축 완료기업 (부산지역 공급기업 포함) 120개사
* 총 예산의 범위 내에서 선착순 접수 및 선정

 

ㅇ 참여제한 사항
– 휴ㆍ폐업중인 기업
– 파산, 회생절차, 개인회생절차 신청이 이루어진 경우
– 국세 및 지방세 체납 중인 기업
– 기업의 부도, 자본전액잠식
– 제출서류(신청서 등) 미비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추진목적
– 정부(부산시)지원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 지원 사업을 수행한 부산지역 기업(공급기업 포함)에 사업운영자가 방문하여 등록정보 조사 후 관련정보의 실시간 정보공유 및 홍보를 통한 기업의 전국적 구매처 확보와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함

 

ㅇ 지원내용
– 정부(부산시)지원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 지원 사업 수행 완료기업(부산지역 공급기업 포함)의 비즈니스 플랫폼을 이용한 기업 홍보 및 경쟁력 강화
– 지원범위 : 지원기업의 플랫폼 사이트 홍보비 지원 (기업당 최대 50만원)

지원절차

홍보채널 개발

수요조사

신청서 접수

대상기업 선정

협약  착수

기업현장 방문

기업정보 등록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접수
– E-mail : smartfactory@btp.or.kr

ㅇ 신청 서류 : 신청서, 기 수행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협약서 및 완료보고서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부산테크노파크 담당부서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전화번호 051-974-9195 홈페이지URL http://www.btp.or.kr/
담당자명 조해용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부산테크노파크 담당부서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전화번호 051-974-9195 홈페이지URL http://www.btp.or.kr/
담당자명 조해용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부산테크노파크(www.btp.or.kr) → 정보마당 → 사업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부산테크노파크 부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조해용 주임연구원(051-974-9195)

[전북] 2019년 2차 전북천년명가(全北千年名家) 모집 공고

사업개요

전라북도내 성장 잠재력이 있는 소상공인의 100년 이상 존속ㆍ성장을 위하여 경영, 금융, 마케팅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전북 도내 30년이상 사업영위 소상공인 및 가업승계자

☞ 경영(업체당 20,000천원), 홍보, 멘토링 등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선정대상 : 도내 30년이상 사업영위 소상공인* 및 가업승계자**
* 업종 무관(단, 유흥업, 도박 등 불가), (하단의 [첨부파일] 지원제외업종 참고)
** 업체 대표자의 직계가족으로 가업을 승계한 업체

 

ㅇ 신청요건
– 대상 : 도내 30년(공고일 기준) 이상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소상공인 및 직계가족으로 가업(동일업)을 승계한 업체
※ 하단의 [첨부파일] 붙임2. 소상공인 확인 기준 참조
– 업력 : 공고일 기준 사업자등록증‘개업연월일’을 기준
– 가업승계 : 대표자의 직계가족으로 가업을 승계한 업체
– 업종 : 사업자등록증에 표시된 업종(업태)
ㆍ 신청불가 업종 : 유흥/향락/퇴폐업종 등
– 프랜차이즈 및 대리점 : 프랜차이즈 가맹점 및 대리점의 경우 신청 불가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사업기간 : 2019. 9월 ~ 11월

 

ㅇ 선정규모 : 5업체 정도

 

ㅇ 지원내용

– 경영지원 : 업체당 20,000천원(시설개보수, 마케팅 등 인건비 제외)
– 홍보지원 : 방송사 연계 업체별 TV 홍보 스팟, 프로그램
– 마케팅 지원 : 인증현판, 전북 투어패스 연계
– 멘토링 지원 : 업종별 전문멘토 매칭을 통한 경영지도
– 금융지원 : 전용 특례보증, 이차보전 지원(2~3%)
– 기타지원 : 프랜차이즈화 지원사업 가점 부여(도소매, 음식업)

지원절차

모집 공고

신청 및 접수

선정업체 서류평가

선정업체 현장평가

1차 결과발표

발표평가

최종발표

지원사업 실시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우편 및 방문 접수
– (54843)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945-6 소상공인희망센터

 

ㅇ 신청 서류 : 참여 의무사항 및 이행 확약서, 사업자등록증, 2016-18년 매출액 확인서류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전라북도경제통상진흥원 담당부서 소상공인팀
전화번호 063-717-1304 홈페이지URL http://www.jbba.kr/
담당자명 박영규
담당자FAX 063-717-1330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전라북도경제통상진흥원 담당부서 소상공인팀
전화번호 063-717-1304 홈페이지URL http://www.jbba.kr/
담당자명 박영규
담당자FAX 063-717-1330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전라북도소상공인희망센터(jbsos.or.kr) → 알림마당 → 지원사업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전라북도경제통상진흥원 소상공인팀 박영규 선임담당관

– Tel : 063-717-1304, Fax : 063-717-1330

제18차 세계한상대회 기업전시회 홍보부스 참여 모집 공고

사업개요

유망 소상공인 프랜차이즈의 국내ㆍ외 시장진출 및 다양한 판로채널 확보를 위하여 ‘제18차 세계한상대회 기업전시회’ 참가 시 업체별 홍보부스를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유망프랜차이즈 지원사업 및 공단 지원사업 수혜업체

☞ 업체별 홍보부스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신청자격 : 유망프랜차이즈 지원사업(1순위) 및 공단 지원사업(2순위) 수혜업체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전시회 개요
– 행사명 : 제18차 세계한상대회 기업전시회
ㆍ 행사기간 : 2019. 10. 22(화) ~ 24(목), 3일간
ㆍ 행사장소 :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ㅇ 지원규모 : 15개 내외

 

ㅇ 지원내용 : 업체별 홍보부스 지원
* 업체별 홍보부스 최대 2개 이내(기본부스) 지원
* 박람회 내 상담건, 계약건(금액) 등 공단 요청자료 제출 협조 필수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접수
– E-mail : fc@semas.or.kr

ㅇ 신청 서류 : 참가신청서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담당부서 유통혁신실
전화번호 042-363-7753 홈페이지URL http://www.semas.or.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담당부서 유통혁신실
전화번호 042-363-7753 홈페이지URL http://www.semas.or.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www.semas.or.kr) → 알림마당 → 공지사항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유통혁신실(042-363-7753, 7759)

[충남] 2019년 SW융합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대상과제 재공고(SW융합클러스터2.0사업)

사업개요

충남 지역 중소ㆍ중견 SW융합기업 및 디스플레이 기업의 신산업 창출 및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DNA(Data, Network, AI) 기반 SW 융합을 통해 신기술ㆍ신제품 개발, 사업화 연계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충남 지역 중소ㆍ중견 SW융합기업 및 디스플레이 기업이 주관기관으로 참여

☞ 과제당 3.5억원 이내 지원(총 사업비의 75% 이내)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주관기관 : 충남지역 소재 중소ㆍ중견 SW융합기업 및 디스플레이 기업

※ 접수당일 현재 본사 소재지가 충남인 기업(단, 타 지역 기업의 경우 협약 후 5개월 이내 본사 이전 가능한 기업 포함)
※ 컨소시엄 구성 시 주관기관 참여율 및 배정예산 50% 이상 필수
– 참여기관 : 제안분야의 상용화(개발)에 참여하는 기업, 대학, 연구소 등
※ 참여기관 지역제한 없음

 

ㅇ 지원제외대상 : 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이 아래에 해당될 경우 신청 불가
– 기지원 여부 : 신청과제가 정부 및 지자체 등 공공기관으로부터 지원된 과제와 비교하여 판단요소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 참여제한 여부 : 접수마감일 현재 신청기업, 신청기업의 대표 등이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 중인 경우
– 부실위험 여부 : 부도, 휴폐업, 국세(지방세) 체납처분, 자본전액잠식 등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수행기간 : 협약체결일 ~ 2020년 11월
※ 수행기간은 CTP 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ㅇ 지원규모 : 자유과제 350백만원 이내 지원
– 자유 : 350백만원 내외(협약일 ~ 2020. 11. 30 이내)

지원금

민간부담금

자유

과제당 3.5억원 이내 지원

(총 사업비의 75% 이내)

 2019년도 : 1.5억원 이내 지원

총 사업비의 25% 이상 의무매칭(현금비율 20% 이상)

※ 과제 선정평가 시, 지원금은 조정될 수 있음

 

ㅇ 지원분야 자유과제 10개 이내 [과제평가에 따라 과제 수 변경가능]
– 자유 :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SW융합기술 및 데이터를 활용한 디스플레이 기반 신제품/신서비스 상용화
ㆍ 제안분야 : 융복합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 제조공정 관련 ICT 포함)

분야

지원분야

지원기간

지원범위

기술사업화

융복합 디스플레이

협약일~2020.11.30.

과제당 3.5억원 이내 지원(총 사업비의 75% 이내)

 2019년도 : 1.5억원 이내 지원

– 총 사업비의 25% 이상 의무매칭(현금 비율 20% 이상)

※ 디스플레이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IoT 기술 융합서비스(제품) 우대
ㆍ 융복합 디스플레이 : 디스플레이와 IT 기술(빅데이터, IoT 등)이 융합된 제품(서비스)
* 예시 : 스마트워치, 스마트미러, 스마트사이니즈 등의 ICT 제품 및 이를 응용한 서비스
* TV, 모니터, 휴대폰 등 대량생산 위주의 디스플레이와 달리, 타산업과 연관되어 새로운 기능이 부가되거나, 새로운 응용 분야와 융합되어 활용되는 등 부가가치가 높고, 새로운 시장창출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로 이종 기술, 특히 SW 등 ICT기술과의 융합을 통하여 다양한 혁신적인 제품(Smart Divice) 및 서비스의 창출이 용이

 

ㅇ 지원조건

– 지원기간 내 완제품 제품 개발 기능 개선 등 혹은 서비스 시장 창출이 가능한 상용화 솔루션 개발이 가능한 과제 지원
※ 사업 기간 내 매출 계약서 세금계산서 등 이 가능한 과제를 우선 지원
– 선정기업은 사업수행 시 발생 수집되는 데이터를 향 후 충남테크노파크에서 구축하는 서비스 플랫폼에 제공하여야 함
– 선정기업은 지원금 억원 당 명 이상을 직접 고용하여야 함
– 선정기업은 이행보증증권을 발급하여 주관기관에 제출해야 함
– 선정기업은 종료 후, 매출(계약서, 세금계산서 등) 증빙을 제출해야하며 홍보(대중매체 등 1회)를 추진해야 함

 

ㅇ SW융합 제품ㆍ서비스 상용화 지원사업 공모안내서(☞다운받기)

지원절차

제안서 접수

서면평가(필요시)

발표평가

협약체결 및 지원금 지급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원본은 우편 및 방문 접수 후, 관련 서류는 이메일 제출

– 접수처 : (31035)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직산로 136, 천안밸리 충남테크노파크 정보영상융합센터 지원동 201호

– E-mail : kdh007@ctp.or.kr

ㅇ 신청 서류 : 사업계획서, 사업자등록증, 2017-18년 재무제표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충남테크노파크 담당부서 SW융합팀
전화번호 041-589-0704 홈페이지URL http://www.ctp.or.kr/
담당자명 김동혁
담당자 이메일 kdh007@ctp.or.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충남테크노파크 담당부서 SW융합팀
전화번호 041-589-0704 홈페이지URL http://www.ctp.or.kr/
담당자명 김동혁
담당자 이메일 kdh007@ctp.or.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충남테크노파크(www.ctp.or.kr) → 알림마당 → 공지사항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충남테크노파크 SW융합팀 김동혁 선임(041-589-0704, kdh007@ctp.or.kr)

[경북] 2019년 경북형 스마트 마이스터 사후관리 참여기업 모집 공고

사업개요

경북형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솔루션의 활용도 제고와 추가 고도화를 위해 사후관리 컨설팅 및 고도화 사업 추진 컨설팅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스마트공장 구축 후 1년 이상 중소ㆍ중견기업

☞ 사후관리 컨설팅 및 고도화 사업 추진 컨설팅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스마트공장 구축 후 1년 이상 중소·중견기업(2018년 이전 스마트공장 구축완료 도입기업)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원내용

– 도입기업에 구축된 스마트공장 솔루션 운영현황을 파악하여, 시스템 활용도 제고, 2단계 고도화 계획수립 등에 대한 사후관리 및 컨설팅

– 스마트 마이스터* 1명이 기업 당 1~2일 무상 지도

* 스마트 마이스터 : 스마트공장 구축 과정 지도 및 제조 노하우 전수를 위한 대기업 퇴직자 등 기술 전문가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접수
– E-mail : choibs114@gbtp.or.kr

ㅇ 신청 서류 : 참가신청서, 개인ㆍ기업정보활용동의서, 사업자등록증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경북테크노파크 담당부서 경북스마트제조혁신센터
전화번호 053-819-3059 홈페이지URL http://www.gbtp.or.kr/
담당자명 최봉석
담당자 이메일 choibs114@gbtp.or.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경북테크노파크 담당부서 경북스마트제조혁신센터
전화번호 053-819-3059 홈페이지URL http://www.gbtp.or.kr/
담당자명 최봉석
담당자 이메일 choibs114@gbtp.or.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경북테크노파크(www.gbtp.or.kr) → 알림마당 → 공지사항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경북테크노파크 경북스마트제조혁신센터 최봉석 전임연구원
– Tel : 053-819-3059, E-mail : choibs114@gbtp.or.kr

[경남] 구미시 2019년 하반기 2차 구미국방벤처센터 협약기업 모집 공고

사업개요

경북 구미시 국방분야 관련 중소ㆍ벤처기업을 대상으로 구미국방벤처센터 협약기업을 모집하여 국방분야 기술개발 및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군사업화과제 발굴, 기술개발, 홍보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경북 구미시 소재 국방분야에 적용 가능한 우수 기술을 보유한 중소ㆍ벤처기업

☞ 군 사업화과제 발굴 및 기술개발, 경영컨설팅 및 홍보 등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모집대상 : 경북 구미시에 소재(본사, 공장, 연구소 등)한 중소ㆍ벤처기업으로서 국방분야에 적용 가능한 우수 기술/제품을 보유한 기업

ㅇ 우대기업
– 4차 산업과 연계된 신사업 분야(드론, 초고속네트워크, AI 등)의 업체
– 기존 국방사업 경험을 토대로 국방연구개발 참여 및 매출 확대를 희망하는 업체

ㅇ 제외대상업체
– 신용불량 등으로 금융거래가 제한된 자(법인 포함)
– 2년 이내에 정부조달 부정당업체로 지정된 사실이 있는 자(심사일 기준)
–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이 정한 중소기업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 기타 협약기업 대상으로서 부적당하다고 인정되는 기업

지원조건 및 내용

ㅇ 협약기간 : 5년(매년 협약기간 갱신 심사)

ㅇ 지원사항
– 군사업화과제 발굴, 기술개발 및 시험평가 지원 등 전반적인 국방사업화 지원
– 국방기술품질원 및 외부 전문기술인력을 활용한 기술지원
– 경영컨설팅 및 홍보지원 등 경영지원

– 인증 및 시험등에 소요되는 비용의 지원
– 국방 관련 기술자료 및 정보제공 등

지원절차

모집공고 대외홍보

서류접수

1차 심사(현장점검)

기술기획 실무위원회

결과통보 및 협약체결(2주내)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우편 및 방문 접수

– E-mail : crescent@dtaq.re.kr, leeyk338h@dtaq.re.kr
– 접수처 : (39253) 경북 구미시 구미대로 350-27(신평동) 구미시비즈니스지원센터 3층 309호 구미국방벤처센터

※ 방문, 우편접수시도 협약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파일은 위 E-mail 주소로 필히 별도 제출 요망

ㅇ 신청 서류 : 협약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구미국방벤처센터 담당부서 운영팀
전화번호 054-462-3802 홈페이지URL https://www.dtaq.re.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구미국방벤처센터 담당부서 운영팀
전화번호 054-462-3802 홈페이지URL https://www.dtaq.re.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국방기술품질원(www.dtaq.re.kr) → 알림/신청 → 공지사항(☞바로가기)

문의처

ㅇ 구미국방벤처센터 운영팀(054-462-3802~3)

2019년 2차 일본기술자초청 기술지도사업 기업현장 단기기술지도 참가기업 모집 공고

사업개요

국내 제조 중소ㆍ중견기업의 기술력 향상과 제조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본기술자를 기업 제조현장에 파견, 기업이 안고 있는 애로기술에 대한 원 포인트 지도를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한국 제조 중소ㆍ중견기업

☞ 기술자 초청비(항공료, 자문료) 및 통역 등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대상 및 규모 : 한국 제조 중소ㆍ중견기업 6사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도분야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열처리   표면처리

 조립ㆍ자동화   절삭ㆍ연삭가공    사출성형    화학ㆍ고분자

 기계가공  제품(설비)개발  전기ㆍ전자부품제조  스마트팩토리 관련(로봇센서인공지능)

※ 재단 일본기술자 정보DB 리스트 810명 참조, 최대 2명 지명 가능(리스트는 재단 홈페이지 “일본기술자지도사업(초록색 배너)”에서 확인)

ㅇ 지도기간 : 2019. 10.21(월) ~ 11. 8(금) / 기업별 3일(기업-기술자 간 조정일자)

ㅇ 지도위원 : 일본 기술자 1인, 통역 1인

ㅇ 지도내용 : 제조현장 애로기술에 대한 문제확인, 원인분석, 해결책 제시 및 제조현장 전반에 대한 개선사항 제언 등 자문실시

ㅇ 결과보고 및 후속지도 Follow-Up(지도기업)
– 지도종료 후 10일 내 지도결과보고서 제출 및 후속지도 교섭타진
– 계속 지도의사 희망 시, 중기기술지도 지원프로그램으로 연계지원(기술고문 계약 및 중기지도, 자문료 등 전체 소요경비의 40~50% 지원)

ㅇ 기업부담(참가비) : 60만원/1사
※ 정부지원 : 기술자 초청비(항공료, 자문료) 및 통역 등 지원

지원절차

신청서 송부

기술자 평가

서류심사

지도대상기업 선정안내

지도실시

지도보고서제출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www.kjc.or.kr)

ㅇ 신청 서류 :  참가신청서 및 개인정보 수집활용 동의서, 기업 소개서(공장흐름도 포함)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담당부서 산업협력실 기술지도팀
전화번호 02-3014-9849 홈페이지URL http://www.kjc.or.kr
담당자명 박진영
담당자 이메일 jypark@kjc.or.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담당부서 산업협력실 기술지도팀
전화번호 02-3014-9849 홈페이지URL http://www.kjc.or.kr
담당자명 박진영
담당자 이메일 jypark@kjc.or.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www.kjc.or.kr) → 재단활동 → 모집안내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산업협력실 기술지도팀 박진영 연구원
– Tel : 02-3014-9849, E-mail : jypark@kjc.or.kr

2019년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식품 중소기업 공통 수요 기술개발) 시행계획 공고

사업개요

식품산업의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을 위하여 식품 중소기업의 공통 수요기술을 해결할 수 있는 연구개발 과제를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연구팀에는 식품분야 중소기업이 3개 이상 참여

☞ ’19년도 정부출연금 18억 원 이내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연구기관 신청자격
– 주관연구기관은 반드시 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연ㆍ출자한 연구소로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관(기업은 주관연구기관이 될 수 없음)
ㆍ 국ㆍ공립연구기관
ㆍ 「특정연구기관 육성법」제2조에 따른 연구기관
ㆍ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정부출연연구기관 또는「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ㆍ 「고등교육법」제2조에 따른 학교
– 협동, 위탁기관은 위 호 또는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관
ㆍ 「민법」이나 다른 법률에 따라 설립된 법인인 연구기관
ㆍ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16조와 제19조에 따른 영농조합법인과 농업회사법인
ㆍ 농림축산식품과학기술 분야의 연구인력을 1명 이상 상시 확보하고 있는 기관 및 단체 또는 연구소*(기업체 및 기업부설연구소)
*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업부설연구소
– 연구팀에는 아래 요건을 충족하는 식품분야 중소기업이 3개 이상 참여하여야 함
ㆍ 공고일 기준 사업 개시일(사업자등록일자)이 1년 이상
ㆍ 식품관련 영업신고를 득한(영업등록증 또는 영업신고증 제출 필수) 기업
ㆍ 참여기업별로 공고일 기준 1년 이내 신청과제의 정부출연금 10% 이상 매출실적 보유
* 업종이 식품제조업으로 등록되어 있음을 원칙으로 하되, 유통판매업의 경우 자사 판매를 위한 주문자생산품(OEM)과 같은 형태로 제조를 의뢰하여 판매한 실적을 제출
– 주관연구기관과 참여기업 간에 개발된 연구성과물에 대한 기술이전을 연구종료 이전까지 완료할 것을 확약하는 기술이전 확약서* 제출 필수
* 주관연구기관과 3개 이상 참여기업간 기술이전 확약서를 제출해야 하며, 11월 4일까지 공증(公證)을 받아 제출한 경우에만 최종 인정

ㅇ 연구책임자 신청자격
– 연구책임자는 소속기관에 정규로 재직 중인 자*로서 연구경험과 연구능력을 갖추어야 함
* 연구책임자는 연구기간 중 정년퇴임, 임기만료, 장기 해외연수 등으로 인하여 연구수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아야 함

지원조건 및 내용

ㅇ 공고규모 : ’19년도 정부출연금 18억 원 이내 (단위 : 개, 백만원 이내)

대상 사업

지원유형

지원규모 (이내)

과제 

’19년도 정부출연금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

지정공모

2

300

품목지정

2

300

자유응모

8

1,200

* 지정공모과제의 상세 지원내용은 하단의 [첨부파일] 붙임 1. 의 제안요구서(RFP) 참조
* 예산 상황, 평가결과 등에 따라 연구개발과제별 연구비 등이 조정될 수 있음
* RFP에 명시된 연구비ㆍ연구기간 초과 시 사전심사에서 탈락조치함
* 본 과제에 연구비를 활용하여 장비구입(연구를 위한 임대는 가능), 현금 인건비 편성은 불가

ㅇ 지원 대상
– 지정공모과제(2개 과제)(단위: 백만원 이내)

연번

    

연구기간

정부출연금

페이지

19

총연구비

1

생쌀발효 증류식 소주의 제조공정 표준화

1

150

150

2

한국형 홍차 가공기술 개발 및 제조공정 표준화

1

150

150

 2과제

300

300

– 품목지정과제(2개 과제)(단위: 백만원 이내)

연번

    

연구기간

정부출연금

19

총연구비

1

(김치김치 생산ㆍ유통 관련 공통 애로사항 해결 과제

1

150

150

2

(아로니아국내산 아로니아를 활용한 식품 제조 및 가공기술 등 공통 애로사항 해결 과제

1

150

150

 2과제

300

300

– 자유응모과제(단위: 백만원 이내)

연번

지원분야

연구기간

19 정부 출연금

1

1년 이내 개발 가능한 식품 중소기업들의 기술적인 공통 애로사항 해결 과제

1

1,200백만원

* 과제당 연구기간 1년 이내, ‘19년 연구비 1.5억 원 이내에서 신청 가능

ㅇ 지원 제외 분야 :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개발(임상실험 내용 포함), 수산식품, 주원료로 수입산 농산물을 활용한 제품개발, 참여 기업별 단순 제품개발에 필요한 기술을 목표로 하는 과제는 지원대상에서 제외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 농림식품R&D통합정보서비스(www.fris.go.kr)

ㅇ 신청 서류 : 연구개발계획서, 사업자등록증, 표준재무제표증명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담당부서 식품사업실
전화번호 061-338-9772 홈페이지URL http://www.ipet.re.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담당부서 식품사업실
전화번호 061-338-9772 홈페이지URL http://www.ipet.re.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농림축산식품부(www.mafra.go.kr) → 알림소식 → 공지ㆍ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사업명

담당부서

연락처 (061-338-)

제출서류평가일정선정절차 관련

식품사업실

9772, 9774

신청자격관련규정 관련

사업기획실

9754, 9756

접수시스템 관련

정보운영팀

9843, 9846

2019년 서울어워드 글로벌 소싱페어 투자유치 설명회 참가기업 모집 공고

사업개요

상품 유통마케팅 자금 유치를 통한 서울어워드 우수상품의 B2B거래 및 해외수출을 위해 ‘2019 서울어워드 글로벌 소싱페어’ 투자유치 설명회 참가를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중소기업 우수상품 유통프로젝트

☞ 펀드 투자심의 안건 상정 및 투자 검토 연결, sba 국내외 판로지원 연계 지원 등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모집대상 : 생산,디자인,판로개척 등 유통․마케팅활동에 자금이 필요한 중소기업 우수상품 유통프로젝트

지원조건 및 내용

ㅇ 행사개요
– 행사명 :「2019 서울어워드 글로벌 소싱페어」 투자유치 설명회
– 행사일자 : 2019. 10. 31.(목), 14시~18시
– 장소 : 서울 드래곤시티(용산구 소재)
– 규모 : 10개 프로젝트 내외 제안사업 발표
– 주요내용 : 투자유치를 희망하는 상품 유통프로젝트 PT 및 유망 프로젝트 투자 연결 등

ㅇ 2019 서울어워드 글로벌 소싱페어
– 행사기간 : 2019. 10. 30.(수) ~ 10. 31.(목)
– 전체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내용

일정

비고

해외바이어 교류회

– 비즈니스 매칭상담회 참가 바이어간 네트워킹 및 만찬

10.29() 18:00~21:00

글로벌 유통 세미나

– 국내·외 유통 및 수출 관련 전문 세미나

10.30() 10:00~17:00

추후 모집 예정(무료)

서울어워드 선정상담회

– 서울어워드 우수상품 선정 공개 심사 및 품평회

10.30() 13:00~18:00

모집 중

서울어워드의 밤

– 제조사유통인 네트워킹 및 우수 유통사례 발굴·시상

10.30() 18:00~21:00

비즈니스 매칭상담회

– 서울어워드 기업국내외 바이어 1:1 비즈니스 상담

10.30()~31() 09:00~18:00

모집 완료

유통 컨설팅

– 수출 및 유통 실무 전문가 컨설팅(물류해외 인증글로벌셀링 등)

10.30()~31() 09:00~18:00

현장신청(무료)

펀드투자IR

– 마케팅펀드 연계 상품 프로젝트 투자 유치 피칭

10.31() 14:00~18:00

모집: 9.9 ~ 9.27

ㅇ 지원 지원내용
– (우수 프로젝트 선정 시) 펀드 투자심의 안건 상정 및 투자 검토 연결, sba 국내외 판로지원 연계 지원 등

ㅇ 2019년 서울어워드 글로벌 소싱페어 투자유치 설명회 참가기업 모집 공고문(☞다운받기)

지원절차

참가기업 모집

서면심사

결과발표

투자유치 설명회 PT

유망 프로젝트 선정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 서울산업진흥원(sba.seoul.kr)

ㅇ 신청 서류 : 참가신청서,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투자제안서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서울산업진흥원 담당부서 마케팅팀
전화번호 02-2657-5807 홈페이지URL http://www.sba.seoul.kr/
담당자명 장선영
담당자 이메일 limpio@sba.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서울산업진흥원 담당부서 마케팅팀
전화번호 02-2657-5807 홈페이지URL http://www.sba.seoul.kr/
담당자명 장선영
담당자 이메일 limpio@sba.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서울산업진흥원(sba.seoul.kr) → 알림사항 → 공지사항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서울산업진흥원(SBA) 마케팅팀 장선영 책임

– Tel : 02-2657-5807, E-mail : limpio@sba.kr

2019년 3차 농식품산업 해외진출지원 융자 사업 지원대상자 모집 공고

사업개요

해외농업자원개발사업자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하여 해외농업자원개발 시설 설치 및 운영, 유통 및 판매에 필요한 비용을 융자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해외농업ㆍ산림자원 개발협력법 제7조에 따라 해외농업자원개발 사업계획을 신고한 자

☞ 총 사업 소요액의 70% 이내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사업대상자
– 해외농업ㆍ산림자원 개발협력법 제7조에 따라 해외농업자원개발 사업계획을 신고한 자 중 아래 지원자격 및 요건을 충족하는 자

ㅇ 지원자격 및 요건
– 해외농업자원개발사업자 중 시설 설치 및 농산물 재배, 축산 등을 위한 토지를 임차, 매입 등의 방법으로 확보하였거나, 현지 기업 지분참여 등이 확정된 자
– 해외농업자원개발 해당국에서 투자승인을 받는 등 융자 결정 후 즉시 사업 추진이 가능한 자
– 해외농업ㆍ산림자원 개발협력법 제33조(비상시 해외농업자원의 반입명령)에 의하여 비상 시, 개발한 자원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정부의 반입명령 수용이 가능한 자
– 식량 순수입 빈곤국(식량 원조 수혜 등), 정치적 불안정 등으로 투자ㆍ국외여행 등에 우려가 있는 국가로 진출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지원 대상에서 제외
– 우선지원 요건
ㆍ 밀, 옥수수, 콩 등 식량ㆍ사료작물로서 국내 수급 여건상 수입이 불가피한 작물로 해외농업자원개발하는 사업자
ㆍ 해외 개발 농산물을 국내로 도입한 실적이 있는 사업자
ㆍ 민간환경조사사업, ODA 등 관련 정책사업 참여 실적이 있는 사업자
ㆍ 중소기업인 사업자

지원조건 및 내용

ㅇ 농식품산업 해외진출지원 융자금액 : 68.7억원 이내

ㅇ 융자조건 : 연리 2%, 5년 거치 10년 균등상환, 담보 필요
※ 담보종류 : 부동산, 지급보증서, 이행·지급보증보험증권, 등록국채, 기명지방채, 정기예금

ㅇ 사업자별 지원한도
– 지원 대상(사용용도) 소요사업비의 70% 이내
– 신규 융자대상자는 40억원, 기 지원 융자대상자는 30억원 이내이나, 하반기에는 융자금 집행상황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운영
* 융자 신청시에는 한도에 상관없이 기업이 필요한 융자금액 전액 신청
– 다년차 융자금 집행계획이 수립된 경우 전 기간 융자금에 대해 일괄 신청이 가능하며, 융자금은 연차별로 분할하여 지급(최대 3년)

ㅇ 자금융자 대상 및 사용용도
– 해외농업자원개발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사업권의 취득 및 영농 사업에 필요한 자금
ㆍ 해외농업자원개발 생산에 필요한 영농비(종자, 비료, 농약, 사료 등 구입비)
– 해외농업자원개발에 소요되는 시설의 설치 및 운영 자금
ㆍ 시설 및 기계ㆍ장비 등의 설치, 매입, 임차 등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
– 해외농업자원개발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토지의 임차 및 매입 자금
– 해외농업자원을 구매하는 데 필요한 자금
– 해외농업자원개발을 통하여 생산되거나 확보된 해외농업자원의 저장ㆍ가공ㆍ유통ㆍ판매 등에 필요한 자금
ㆍ 해외농업자원의 저장ㆍ가공ㆍ유통ㆍ판매 관련 시설 및 기계ㆍ장비 등의 설치, 매입, 임차 등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
– 단, 해외농업자원개발에 필요한 비용 중 인건비는 융자 지원대상에서 제외
* 해외농업자원 : 밀, 콩, 옥수수, 면화, 원유(原乳), 그 밖에 「농업ㆍ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제3조제6호에서 정하는 농산물 중 같은법 시행령 제2조제1호의 농작물재배업과 제2호의 축산업 활동으로부터 생산되는 산물

ㅇ 지원기준 및 사업의무
– 지원기준 : 총 사업 소요액의 70% 이내, 자부담 30% 이상
ㆍ 타 정부기관으로부터 유사사업을 지원받은 것이 확인된 경우 당해 연도 총 사업 소요액의 70%에서 유사사업 지원액을 뺀 나머지 소요액 이내를 지원
– 사업의무
ㆍ 융자금 수령 후 1개월 내 현지송금, 1년 내 융자금의 143% 집행하고 관련 증빙 제출(집행완료 후 현지 집행점검 시행)
ㆍ 비상시 반입명령에 따라 확보 자원의 국내 반입 의무

지원절차

공고  접수

융자대상자 선정

융자약정체결 지급

농어촌공사

서류심사 및 2단계 융자심의

융자대상자농어촌공사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우편 및 방문 접수
– 전남 나주시 그린로 20 한국농어촌공사 해외사업처 융자사업담당자

ㅇ 신청 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확약서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한국농어촌공사 담당부서 해외사업처
전화번호 061-338-6475 홈페이지URL http://www.ekr.or.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한국농어촌공사 담당부서 해외사업처
전화번호 061-338-6475 홈페이지URL http://www.ekr.or.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농림축산식품부(www.mafra.go.kr) → 알림소식 → 공지ㆍ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한국농어촌공사 해외사업처(061-338-64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