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외 연구과제 공모

[한국연구재단] 2021년도 한.미 원자력국제공동연구(I-NERI) 신규과제 공모

2021.02.22 조회수 534 산학협력단
share

<2021년도 한·미 원자력국제공동연구(I-NERI) 신규과제 공모>

1. 사업개요
 □ 사업목적
ㅇ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미국 에너지부(DOE, Department of Energy)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I-NERI(International Nuclear Energy Research Initiative) 프로그램을 통한 원자력 선진기술 확보
ㅇ 한·미 공통 관심분야인 원자력 안전 등 원자력 원천·혁신기술을 실효적·경제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한·미 양자 간 공동 연구개발 추진
□ 2021년도 신규과제 지원가능 분야
ㅇ 한·미 I-NERI 위원회(Bilateral I-NERI Committee)에서 합의된 아래의 연구개발 범위 내에서 과제를 선정 지원

순번

항목명

Technologies to enhance the safe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existing nuclear power plants(including plant lifetime management and lifetime extension for LWRs) [가동 원전의 효율성 및 안전성 강화]

Technologies to enhance the safety, operational efficiency, and safeguards and security posture of 4th-generation advanced nuclear reactor designs [4세대 신형 원자로의 효율성안전성안전조치 강화]

Innovative concepts for small modular reactors and microreactors [중소형/초소형 원자로]

Improvements in core nuclear physics [노물리]

Technologies to maximize the safety and proliferation resistance of fuel cycle technologies [핵연료주기의 핵비확산성·안전성 강화]

Hybrid energy systems that integrate nuclear energy with other energy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beyond electricity production [원자력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Advanced nuclear fuels including accident-tolerant LWR fuels, claddings and material [신형 핵연료]

Advanced waste forms characterization and management

[방사성 폐기물 처리]

Decommissioning [해체]

Used nuclear fuel storage and disposition technologies

[사용후핵연료 저장 및 처분]

Nuclear science and ionizing radiation applications, radiation protection, emergency preparedness [방사선 활용방호방재]

Modeling and simulation, including experiments, validation and verification, and data sharing for model benchmarking and validation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Advanced sensors and instrumentation [센서 및 계측제어]

□ 과제접수 방식
ㅇ 한국 측 연구자가 미국 에너지부 원자력국(DOE/NE)의 연구과제를 기수행하고 있는 미국 측 연구자와 사전협의를 거쳐 양측이 분담 수행할 연구내용을 확정한 후 한국 신청자는 한국에, 미국 신청자는 미국에 제안서 제출
※ 미국 측에 상대과제 제안서가 접수되지 않은 경우, 평가대상에서 제외

2. 지원내용 및 규모
□ 지원규모 및 기간

사업명

원자력국제협력기반조성사업

내역사업명

·미 원자력협력 선진화

과제 수

3개 내외

과제 형태

단위 과제 분야 공모

총 지원기간

(‘21년도 지원기간)

2021.7.1.~ 2024.6.30.

(2021.7.1.~ 2022.6.30.)

총 연구비

(‘21년도 연구비)

과제당 총 연구비 600백만원 내외

(과제당 1년당 200백만원 내외)

 

3. 신청자격 및 신청제한
ㅇ (연구책임자의 자격)
– 제출마감일 기준, 「국가연구개발혁신법」제2조제3항에서 정하는 기관 및 단체에 재직 중인 정규직 연구원 이상의 연구자로서, 신청과제의 총 연구기간동안 재직이 보장된 자
– 단위과제 연구과제책임자는 연구개시 후 1년 이내에는 파견 등으로 인한 6개월 이상 연구공백 불가
※ 연구개시 후 1년 이후에는 전문기관의 검토를 통해 제한적으로 허용
ㅇ (참여제한) 신청 마감일 전일까지「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제59조에 의하여 참여제한이 종료된 자는 과제신청 가능
ㅇ (연구개발과제 수의 제한) 연구자가 연구원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연구개발 과제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64조에 의거 5개 이내로 하며, 연구책임자로 수행할 수 있는 과제는 3개 이내임 (세부/단위과제 기준)
– 연구개발과제 수의 제한의 예외사항에 해당되는 연구개발과제는 포함시키지 않음
ㅇ (유사과제) 기존에 유사과제를 수행하거나 참여하고 있는 경우는 중복지원을 지양
– 기존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와 중복과제로 판명 시 선정에서 제외함

4.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신청방법 및 절차
ㅇ 한국연구자정보(http://www.kri.go.kr)에 로그인하여 개인정보 및 논문실적 등록·갱신→ 연구사업통합지원시스템(http://ernd.nrf.re.kr)에 로그인하여  과제구성 → 과제구성 확인 후 계획서(doc) 및 증빙자료*(pdf)업로드 → 저장 → 기관검토요청 클릭 → 주관연구개발기관 담당자(산학협력단 등)가 계획서 검토 후 승인
* (1) 1차 신청용 과제계획서(Joint Mini-Proposal) 1개 파일(DOC, MS-WORD 작성)과 (2) 기타증빙 1개 파일(PDF)로 단위/위탁 과제별 각각 업로드
□ 연구책임자 신청기간 : 2021. 2. 16(화) ~ 3. 17(수) 18:00까지
(주관기관 승인기간 ~3. 18(목) 13:00까지)

  • 담당부서
    산학협력단
  • 전화번호
    02-3399-3927
최종수정일: 2021.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