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소개

[2025학년도 기준] 교과목 정보는 입학년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교과목 정보는 교무처 학사지원팀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종합시험(Comprehensive Exam)

경영학 전반에 걸쳐 필요한 기초적 개념과 현대 기업의 경영관리를 이해시킨다. 특별히 현대적 기업의 특징, 경영자의 유형, 경영학의 체계, 기업형태, 그리고 경영자의 기능에 관하여 폭넓게 연구한다.

한국어학 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본 과목은 한국어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개념과 한국어 운용의 원리를 학습하는 수업이다. 그리고 이를 다양한 상황에 적용하여 한국어에 대한 올바른 지식, 탐구하는 자세를 갖추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을 비롯하여 한국어 담화와 텍스트 특성 등에 대해 연구한다. 이 과목에서 학습한 내용은 한국어 원에게 필수적인 전공 지식이 될 것이며, 이 밖에 자연어처리, 언어간대조, 통번역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핵심 소양이 될 것이다.

한국어 문법론(Korean grammar theory)

본 과목은 한국어 문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문법 교육 방법론을 검토함으로써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문법교육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외국어 습득론(Foreign language acquisition theory)

본 수업은 타국인에게 자국어를 가르치려는 사람, 또는 다양한 계층의 대상에게 제2언어를 가르치는 언어교원 지원자들을 대상으로한다. 이 수업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반 지식으로 언어 습득의 일반적 원리, 제2언어 습득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수업을 통해 인간이 언어를 습득하는 절차와 이를 설명하는 다양한 관점과 주장들을 살피게 될 것이며 한국어의 학습과 습득을 활성화 하는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대조언어학(Contrastive linguistics)

본 과목은 국가나 문화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언어 습관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어를 습득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을 알아보는 수업이다. 이 수업의 목표는 이러한 문화적 또는 언어적 차이에 대해 배우고 외국어를 배울 때 주의해야 할 영역을 파악하는 것에 있다.

한국어 교육론(Korean Learning and Teaching Theories)

본 과목은 한국어교육학 분야를 처음 접하는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학 분야에 대해 전체적인 내용을 개론한다. 국어적 지식을 비롯하여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교육 내용을 함께 소개한다.

한국어 표현교육론(Methodology for Teaching Korean Speaking and Writing)

본 과목은 외국어 교육 관점에서 말하기와 쓰기 이론과 원리를 탐구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이루어진 한국어 표현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및 교수 방법을 모색하는 수업이다. 말하기 및 쓰기의 특징과 교육론 개괄, 교육의 흐름 및 원리, 말하기 및 쓰기 활동과 교육방법, 평가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한국어 이해교육론(Methodology for Teaching Korean Listening and Reading)

본 과목은 외국어 교육 관점에서 듣기와 읽기 이론과 원리를 탐구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이루어진 한국어 이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및 교수 방법을 모색하는 수업이다. 듣기 및 읽기의 특징과 교육론 개괄, 교육의 흐름 및 원리, 말하기 및 쓰기 활동과 교육방법, 평가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한국어 발음교육론(Methodology for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본 과목은 외국어 교육 관점에서 한국어 발음에 대해 탐구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이루어진 한국어 발음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및 교수 방법을 모색하는 수업이다. 한국어의 음운체계와 음절구조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발음 교육의 흐름 및 원리, 발음 교육방법, 평가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한국어 문법교육론(Teaching Grammar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본 과목은 외국어 교육 관점에서 한국어 문법에 대해 탐구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이루어진 한국어 문법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및 교수 방법을 모색하는 수업이다. 한국어 문법의 특징과 교육론 개괄, 교육의 흐름 및 원리, 문법 교육 방법, 평가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한국어 교육과정론(Studies on Curriculum Design in Teaching Korean)

본 과목은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 원리를 섭렵하고 교육 대상, 교육 목적, 교육 기간 등 주어진 교수 환경에 이를 적용해 보는 수업이다. 기존의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다양한 상황에 맞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능력을 키운다.

한국문화 교육론(Korean Culture Education Theory)

본 과목은 외국어 교육 관점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는 한국 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과 교수 방법을 소개하는 수업이다. 문학, 뮤지컬, 연극, 영화, 드라마, 광고 등을 활용하여 실제 한국 문화 수업을 구성하는 방법과 과정을 학습하고 실행한다.

한국어 평가론(Studies in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본 과목은 교육 평가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고 평가의 기능과 구성 요소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평가의 목적과 종류, 방법 등에 대해 포괄적으로 살피며, 숙달도 평가, 성취도 평가, 진단평가, 배치평가의 문항 출제와 채점에 관한 실습을 포함한다. 최근 기술이 발전하며 주목받고 있는 자동 출제와 자동 채점의 현황과 원리 등에 대해서도 다룬다.

한국어교육과 테크놀로지((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echnology)

본 과목은 한국어교육 분야의 기술 접목과 응용에 대해 다룬다. 수업을 통해 다양한 에듀테크의 개발 상황과 이를 활용한 교수법을 배운다. 또한 한국어교육 분야의 테크놀로지 개발의 근간을 이루는 (학습자) 언어 분석 기법을 다루며 온라인 한국어교육 콘텐츠 기획과 제작 실습을 통해 기술 활용 역량을 키운다.

한국어교육 실습(Teaching Practicum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본 과목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데 필요한 교육 이론과 원리를 학습하고 수업 참관을 통해 수업 방식을 분석하고 토론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모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교안을 작성하고 모의 수업을 진행한다.

한국사회와 다문화현상 이해(Understanding Korean Society and Multicultural Phenomenon)

본 과목은 문화 다양성의 개념 및 바람직한 다문화 사회 모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문화사회 안에서 다양한 구성원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역량을 배양하도록 구성되어있으며 이 과목을 통해 다문화 사회를 이해하고 구성원들을 바라보는 인식 및 태도를 갖출 수 있다.

아시아 사회의 이해(Understanding Asian Society)

본 과목은 원아시아재단의 후원을 받아 운영하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설된 강의로 아시아 각 나라와 다양한 민족들이 서로의 문화를 통하여 각자의 사고를 깊이 이해함으로 조화와 연합의 지역공동체를 건설해 나가는 방안을 모색한다.

한국 전통문화 현장실습(캡스톤디자인)(Korean Traditional Culture Field Practice (Capstone Design))

본 과목은 글로벌한국학과 전공생이 국내외의 외국인들에게 한국문화를 알리고, 그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체험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 우리나라는 세계의 중추 국가로서 글로벌화되어 가고 있으며, 우리의 장구한 역사와 전통, 다양하고 역동적인 사회와 문화를 알릴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즉, 한국의 문화를 잘 모르는 외국인들에게 한국문화를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그것을 교육할 수 있는 과목이다. 이는 한국문화에 대한 단순한 소개뿐만 아니라 때때로 그것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나 ‘만드는 방법’ 등을 통해 구현된다.

한국학 입문(종합설계)((Korean Studies Introductory Comprehensive Design))

본 과목은 한국학의 주요한 연구분야, 주제, 연구경향과 연구방법론에 대한 입문적 학습과 훈련을 통하여 한국학 연구자로서, 특히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학 교육자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이해와 소양을 갖도록 한다. 한국학 연구자, 교육자로서 필요한 학제간 연구방법과 연구자적 자질을 갖추도록 한다.

한국의 역사(Korean history)

본 과목은 한국의 고대사, 중세사, 근대사, 현대사에 대하여 학습하여 한국 역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역사인식을 향상하는 수업이다. 수강생들은 독서, 강의, 토론 등을 통해 한국 역사와 문화에 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의 철학과 종교(Korean philosophy and religion)

본 과목은 한국 사회와 문화를 형성해 온 오랜 전통의 기반으로 한국의 철학과 종교를 심도있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전통 종교, 불교, 유교의 주요 특성을 연구하고, 근대에 유입된 기독교 사상이 한국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공부한다. 또한 근현대 유입된 서양철학 사조들이 한국 사회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본다.

한류 콘텐츠 입문(Introduction to Korean Wave Content)

본 과목은 한류를 바탕으로 한 콘텐츠 전반을 살펴보면서 가장 한국적인 콘텐츠를 여러 산업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볼 수 있는 수업이다. 세계 속에서 한류의 열풍이 본격화된 것은 2000년대를 넘어서면서부터이다. 초창기 K-드라마와 K-팝에서 활성화된 것이 한국의 음식과 영화 등 문화 전반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인 현대 사회에서 한류 콘텐츠 활용 방법은 학과 인재상으로 성장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 영화의 이해(Understanding Korean Cinema)

본 과목은 한국영화의 형식, 영화의 표현양식, 영화의 발전과정에 대하여 강의한다. 대표적 대중예술매체인 동시에 현대사회의 일부분이 된 영화매체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 특히 영화가 가지고 있는 예술양식으로서의 이해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수업 내용을 구성한다.

한류와 한국문학(Korean Wave and Korean Literature)

본 과목은 한국문학이 세계 속에서 어떤 위치에 놓여 있는지에 대해서 살피고자 하는 수업이다. 한류의 영향은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나날이 성장하고 있다. 문학은 한 문화권의 기반이 되는 문화 현상임에도 현재 한국 문학의 영향은 대중문화의 그것에 미치지 못하는 형편이다. 수업에서는 문학과 비교할 수 있는 해외 문학 또한 비교 대상으로 삼는다. 이를 바탕으로 문학의 세계화가 지닌 의미에 대해서 이해하도록 하고, 나아가 한류라고 하는 문화 현상 속에서 문학이라는 공간이 지닌 위상에 대해서 재고하고자 한다.

한국의 자연과 문화답사(Korea's Nature and Culture Exploration)

본 과목은 한국의 기후, 환경, 생태계에 대한 기초적인 학습과 함께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한국의 산, 강, 해안, 주요 명승지에 대한 현장 체험을 통해 외국인 학생은 한국사회에 대한 이해와 친밀도를 높이며, 내국인 학생의 경우 외국인에게 한국의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효과적 방법을 체득하는 수업이다.

한류 드라마 콘텐츠(Korean Wave drama contents)

본 과목은 국제적 흐름에 부합하는 한류 콘텐츠 기획과 실제를 학습힌다. 특히, 한국 드라마 위상을 재확립하고 이에 맞는 인재상 발굴, 육성에 집중한다. 한국 드라마의 역사와 특징과 산업적 현황에 대하여 학습하며, 한국 현대사회에서 드라마 콘텐츠가 지니는 의미와 한류문화와 관련한 동향 등에 대하여 학습 및 토론한다.

한류 콘텐츠와 번역(Korean Wave Content and Translation)

본 과목은 콘텐츠가 번역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현상들을 고찰하고 이 과정을 통해 번역된 콘텐츠가 지닐 수 있는 의미와 바람직한 번역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학습하도록 한다.

한류 음악과 예능 콘텐츠(Korean Wave music and entertainment contents)

본 과목은 국제적 흐름에 부합하는 한류 콘텐츠 기획과 실제를 학습힌다. 특히, 한국 예능의 위상을 재확립하고 이에 맞는 인재상 발굴, 육성에 집중한다. 한국의 전통 음악부터 현대 음악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파악하고, 한국 현대사회에서의 대중음악이 지니는 의미와 한류문화와 관련한 K-pop의 동향, 그리고 음악이 예능 콘텐츠와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하여 학습 및 토론한다.

한류 콘텐츠 판권과 개발(Content Copyright and Distribution)

본 과목은 개별 콘텐츠별 특성에 따른 마케팅 목표달성을 위한 유통경로 시스템의 설계와 그 운영관리에 초점을 맞추며, 나아가 최근의 국내외 콘텐츠 유통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유통구조의 혁신에 대해서도 심층 분석한다.

한류 콘텐츠 상품 기획과 실습(캡스톤디자인)(Korean Wave Content Product Planning and Practice(Capstone Design))

본 과목은 디지털 뉴미디어 사회의 이슈가 되는 트렌드 상품에 관한 전반적 이해를 도모한다. 아울러 한류 흐름에 부합하는 상품의 기획과 실습을 현장 참여 위주로 논의한다. 다변화된 미디어와 다양한 소비층에게 접목 가능한 실제적 콘텐츠 기획과 제작, 가공 및 유통의 전 단계를 실무와 더불어 실제 경험할 수 있는 세미나식 수업을 지향한다.

국제교류 실무현장(캡스톤 디자인)(International Exchange Practice Site (Capstone Design))

본 과목은 교육기관의 국제교류센터, 다문화센터, 국제교류와 관련한 공공기관 · 비영리 기관에서 요구되는 직무능력 및 지식에 대하여 학습하여 국제교류와 관련한 실무현장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한다.

한국문화와 글로벌비즈니스(Korean Culture and Global Business)

본 과목은 한류 문화산업과 글로벌 비즈니스를 연결시켜서 글로벌 시장의 화폐흐름과 국제수지, 전자무역, 해외직접투자 이론, 기업의 글로벌 비즈니스 실행 사례, 세계 경제통합 등 글로벌 비즈니스의 특성과 형태에 대한 지식을 문화산업과의 관련성 속에서 연구한다.

한류 문화기획 실무론(캡스톤디자인)(Korean Wave Participation of Korean Contemporary Culture (Capstone Design))

본 과목은 국제적 흐름에 부합하는 한류 콘텐츠 기획과 실제를 학습힌다. 특히, 한류 문화기획의 위상을 재확립하고 이에 맞는 인재상 발굴, 육성에 집중한다. 문화연구와 문화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프로그램 개발 및 문화생산 과정을 조직화하며 문화연구와 문화산업을 활성화하는 문화기획을 실천적으로 접근한다.

한류 콘텐츠와 공연예술(Korean Wave Content and Korean Performing Art)

본 과목은 한국의 다양한 콘텐츠 및 공연예술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더불어 실제 공연을 경험하도록 설계되었다. 영화, 드라마, 만화, 웹툰 등 한류 콘텐츠의 연극, 뮤지컬, 콘서트 등으로의 장르 전환과 그 융복합적 관계에 대해 배우며 이를 통해 문화콘텐츠제작 및 전문가가 되기 위한 과정을 간접 경험할 수 있다.

문화비교 입문(Introduction to Culture Comparison)

본 과목은 한국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인류 역사의 주요 문화의 흐름을 분석하고 각 문명권의 주요한 특징들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트랜스 컬쳐론적 관점에서 한국 문화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받았는지 알아보고, 문화예술의 주요 장르별 특징과 상호 영향관계를 함께 이해한다.

대중문화와 비평이론(Popular Culture and Critical Theory)

본 과목은 한국 문학과 문화의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들을 공부함으로 한국의 대중문화 전반을 장르별로 비평할 수 있는 토대를 학습하는 수업이다.

스토리텔링과 미디어 콘텐츠(Storytelling and Media Content)

본 과목은 스토리텔링이 각 매체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이론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습하기 위한 것이다. 스토리는 수 없이 많은 매체를 통해서 구현되고 있다. 이것은 소설을 벗어나 영화나 방송 드라마 같은 영상물로도 제작되고 있는 상황이다. 디지털 매체가 발전하면서 게임을 비롯한 체험형 미디어로까지 그 영역은 확장되고 있는 중이다.

미디어 콘텐츠 제작의 입문(Introduction design of Korean Studies Media Content Production)

본 과목은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고 한국어를 교육하는 데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미디어, 즉 사진과 영상 등 미디어 전반의 간단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익히고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 콘텐츠 제작의 심화(Advanced Course of Media Content Producion)

본 과목은 미디어 콘텐츠 제작 입문에서 배웠던 영상 기획 및 제작법을 다양한 한류 문화와 접목 시켜서 소개할 수 있는 심화된 영상 제작 과정을 배우고 다양한 실습을 통해서 심화된 영상 제작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한류 영상 기획과 실무(Video Planning and Practice for Korean Wave Media Contents)

본 과목은 미디어 콘텐츠 제작 심화에서 배웠던 영상 기획 및 제작법을 다양한 한류 문화와 접목 시켜서 소개할 수 있는 심화된 영상 제작 과정을 배우고 다양한 실습을 통해서 심화된 영상 제작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의 도시문화(Korean City Culture)

본 과목은 주요 도시들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고 세계에 알릴 수 있게 설계되었다. 이 수업을 들은 학생들은 한국의 도시들을 답사하고 영상으로 제작하게 되며 이를 통해 한국의 도시문화가 갖는 특성들을 배울 수 있다.

한류 문화 예술 콘텐츠(Korean Wave Culture and Art Content)

본 과목은 최근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한국의 문화 예술 콘텐츠를 검토하고, 이에 다양한 비평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문화 부문에서의 한국적 특수성과 세계적 보편성의 접점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미래에 한류로서 주목받을 가능성이 있는 문화 예술 콘텐츠를 발굴하고 예견할 수 있는 글로벌한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한국 여행 콘텐츠 기획(Korea Travel Content Planning)

본 과목은 글로벌 시장 환경에 경쟁력을 높이고자 한국의 관광자원 및 관광지리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다양한 관광자원을 활용한 콘텐츠를 기획한다.

소셜 미디어 콘텐츠 기획과 제작(Planning and Producing Social Media Content)

본 과목은 미디어 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 콘텐츠를 분석, 기획, 제작할 수 있는 실무 능력을 양성하기 위한 학습을 진행한다. 다양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해당 플랫폼의 대표적 콘텐츠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는 능력을 기른다.

한국어 독해연습(Korean Reading Practice-Intermediate)

본 과목은 기본적으로 TOPIK 2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다양한 유형의 읽기 텍스트를 통해 시험 대비뿐만 아니라 실제 상황에서의 독해 실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TOPIK 2 읽기 영역의 문제 유형을 살피고, 같이 풀어보며 연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유형에 해당하는 지문을 실제 상황에서 찾아보고 읽고 이해하면서 실전 한국어 독해 실력을 높일 수 있다

한국어 청취연습(Korean Listening Practice-Intermediate)

본 과목은 기본적으로 TOPIK 2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다양한 유형의 듣기를 통해 시험 대비뿐만 아니라 실제 상황에서의 듣기 실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TOPIK 2 듣기 영역의 문제 유형을 살피고, 같이 풀어보며 연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유형에 해당하는 지문을 실제 상황에서 찾아 들으며 실전 한국어 청취 실력을 높일 수 있다.

한국어 작문연습(Korean Writing Practice-Intermediate)

본 과목은 기본적으로 TOPIK 2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다양한 유형의 쓰기를 통해 시험 대비뿐만 아니라 실제 상황에서의 쓰기 실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TOPIK 2 쓰기 영역의 문제 유형을 살피고, 같이 풀어보며 연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유형에 해당하는 지문을 실제 상황에서 찾아보고 쓰면서 실전 한국어 작문 실력을 높일 수 있다.

외국인을 위한 취업 글쓰기(Writing Korean language course for job)

본 과목은 토픽 3급을 이수하여 글로벌한국학과에 입학한 외국인 학생들의 취업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 과정을 이수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외국인 학생들은 한국에서 취업을 위해 보다 쉽게 취업을 준비해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외국인을 위한 고급 한국어 과정(Advanced Korean for Foreigners)

본 과목은 기본적으로 TOPIK 2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다양한 유형의 쓰기를 통해 시험 대비뿐만 아니라 실제 상황에서의 쓰기 실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TOPIK 2 쓰기 영역의 문제 유형을 살피고, 같이 풀어보며 연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유형에 해당하는 지문을 실제 상황에서 찾아보고 쓰면서 실전 한국어 작문 실력을 높일 수 있다.

최종수정일 : 2025년 February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