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공지

<보건소&gt; A형간염 관리와 예방

2010.04.14 조회수 2,812 강은경
share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최근 A형간염 환자발생이 가장 많은 연령대인 20~30대를 대상으로 A형 간염 예방에 때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자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A형간염이란?


A형간염은 A형간염 바이러스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염으로 환경 및 위생개선과 적절한 예방조치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A형간염은 어떻게 전파될까요?


A형간염은 분변-경구 경로로 전파되며, 대부분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적으로 전파되거나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전파되기도 합니다. 간혹 가족간이나 성접촉에 의해 전염될 수 있고 드물지만 수혈을 통한 전파도 가능합니다.




 


A형간염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전형적으로 고열, 권태감, 식욕부진, 오심, 복통, 진한 소변, 황달이 급격히 발생하고 증상의 발병 양상은 환자의 연령과 관련이 있는데, 6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약 70%에서 간염의 증상이 없으며 증상이 있어도 황달은 동반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6세 이상의 소아나 성인에서는 간염의 증상이 대부분 동반되어 환자의 70%에서 황달이 동반됩니다.


 


A형간염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A형간염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며 대증요법으로 치료합니다.


 


A형간염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A형간염 예방접종을 통해 A형간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의 비용효과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국가에서는 모든 영유아에게 A형간염 예방접종을 권장하지 않고 감염의 위험이 높은 경우에 접종을 권장합니다.


 


1)접종대상


– A형간염의 풍토성이 높은 지역으로 여행하는 경우


(미국, 캐나다, 서유럽, 북유럽, 일본, 뉴질랜드, 호주 이외의 국가)


– A형간염의 풍토성이 높은 지역으로 파견되는 군인 또는 외교관


– A형간염 바이러스를 다루는 실험실 종사자


– 혈우병환자


– 남성 동성 연애자


– 약물중독자


– A형간염 환자와 접촉하는 사람


– 만성 간질환 환자


 


2)접종시기 : 만 1~16세에 1회접종, 접종 후 6~12개월에 2회접종


* 단 접종약에 따라 접종시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시면 질변관리본부 홈페이지 http://www.cdc.go.kr  로 접속하시기 바랍니다.